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는 북한의 핵계획 시인에 따른 대북 후속조치와 관련, 내년 2월 한국의 차기 대통령 취임 전까지는 “극적인 조치”를 자제할 것이라고 워싱턴 타임스가 18일 보도했다.
워싱턴 타임스는 이날 “북한은 지난 1994년 미국과 맺은 제네바 기본합의서에 규정된 모든 혜택을 잃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한이 잃게될 그같은 혜택에는 현재 진행중인 경수로 건설사업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신문은 미국 행정부 고위당국자의 말을 인용, 미국은 다가올 이라크전쟁이 혼선을 빚을지 모른다는 판단 아래 평양 당국과 핵현안 해결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워싱턴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부시 행정부는 이와 함께 오는 12월 한국 대선에서 당선되는 차기 대통령이 미국의 대북 강경정책을 더욱 지지하고 퇴임하는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폐기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내년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 어떤 극적 조치를 취하는 일을 자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가 현재 피하고자 하는 상황은 북한 문제가 이라크와 얽히는 것”이라면서 “그러나 이것이 미국이 북한 핵현안을 낮은 정책순위로 보거나 아니면 이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고 이 신문은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은 당면한 각종 국제현안에 대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정책검토를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북한이 그동안 제네바 협정에 의거해 받아온 혜택은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최종 결론은 이제는 더이상 논쟁거리가 아니다”라고 못박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편, 제임스 켈리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19일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외신 기자회견을 하고 대북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켈리 차관보는 이날 회견에서 북한 핵 계획 시인에 따른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반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한편 최근 동아시아 상황에 대한 견해를 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워싱턴 타임스는 이날 “북한은 지난 1994년 미국과 맺은 제네바 기본합의서에 규정된 모든 혜택을 잃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북한이 잃게될 그같은 혜택에는 현재 진행중인 경수로 건설사업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신문은 미국 행정부 고위당국자의 말을 인용, 미국은 다가올 이라크전쟁이 혼선을 빚을지 모른다는 판단 아래 평양 당국과 핵현안 해결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워싱턴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부시 행정부는 이와 함께 오는 12월 한국 대선에서 당선되는 차기 대통령이 미국의 대북 강경정책을 더욱 지지하고 퇴임하는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폐기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내년 한국의 차기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 어떤 극적 조치를 취하는 일을 자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가 현재 피하고자 하는 상황은 북한 문제가 이라크와 얽히는 것”이라면서 “그러나 이것이 미국이 북한 핵현안을 낮은 정책순위로 보거나 아니면 이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고 이 신문은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은 당면한 각종 국제현안에 대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정책검토를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북한이 그동안 제네바 협정에 의거해 받아온 혜택은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최종 결론은 이제는 더이상 논쟁거리가 아니다”라고 못박았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한편, 제임스 켈리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19일 워싱턴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외신 기자회견을 하고 대북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켈리 차관보는 이날 회견에서 북한 핵 계획 시인에 따른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반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한편 최근 동아시아 상황에 대한 견해를 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