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 행정부는 대북중유지원 중단에도 불구하고 아직 북미 제네바합의를 공식적으로 파기하지 않았다고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가 19일 밝혔다.
켈리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 소재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북미 기본합의서 파기 여부에 대한 결정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면서 “아직 어떠한 최종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으며 최종 선언도 발표한바 없다”고 밝혔다.
켈리 차관보는 이어 “중유공급 중단은 미국이 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취한 조치이며 북한이 먼저 북미합의서가 무효화됐다고 언급했고 미국은 이에따라 협정이 무효화됐다고 추측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켈리 차관보는 이와 함께 북한의 주권을 인정한다는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 전날 발언과 관련 “미국은 북한이 유엔회원국이므로 북한정부를 인정한다”고 밝히고 북한이 합의를 위반하고 핵무기개발을 추구함으로써 문제를 일으켰지만 미국은 부시 대통령의 공언대로 북한을 공격하거나 침공할 의사가 없으며 북한주권에도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켈리 차관보는 이날 워싱턴 소재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북미 기본합의서 파기 여부에 대한 결정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면서 “아직 어떠한 최종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으며 최종 선언도 발표한바 없다”고 밝혔다.
켈리 차관보는 이어 “중유공급 중단은 미국이 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취한 조치이며 북한이 먼저 북미합의서가 무효화됐다고 언급했고 미국은 이에따라 협정이 무효화됐다고 추측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켈리 차관보는 이와 함께 북한의 주권을 인정한다는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 전날 발언과 관련 “미국은 북한이 유엔회원국이므로 북한정부를 인정한다”고 밝히고 북한이 합의를 위반하고 핵무기개발을 추구함으로써 문제를 일으켰지만 미국은 부시 대통령의 공언대로 북한을 공격하거나 침공할 의사가 없으며 북한주권에도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