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는 IMF 체제 이후 수주량 감소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더욱이 건설업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채산성까지 악화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내년에는 정부가 SOC 관련 예산을 축소할 방침을 세우고 있어 연쇄도산 가능성까지 조
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 위기는 수주량 감소가 근본 원인이다. IMF 직전인 1997년 건설업계의 통 수
주량은 민간과 정부물량을 합쳐 약 75조원에 달했다. 그러나 1998년에는 전체수주량이 47조
원으로 줄었고 경제 사정이 나아진 지난해도 51조원에 불과했다. 건설업계는 올 상반기에
약 27조9000억원의 일감을 수주해 1997년의 약 7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올해 약 55조원의 일감을 수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건설업체 숫자가 40% 이상 증가해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건설협회 조사에 따르면 1998년 4191개사에 불과했던 건설업체는 올 7월말에 6026개로
늘어났다. 또 1997년 192억원에서 달하던 업체 당 수주액은 올해 90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채산성 악화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건설업체들의 잇단
도산이 이어져 상위 100대 업체 중 37%가 부도로 법정관리·화의·워크아웃에 들어가 있
다.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정부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허가제였던 신규업체 설립요건이 등
록제로 변하면서 건설업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동반부실을 부추겼다는 주장이다. 건설
업계에서는 신규진입 업체들 중 상당수가 일명 페이퍼 컴퍼니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IMF 이후 한 업체가 도산하면 직원들이 설립한 몇 개의 업체가 탄생하는 현상까지 일어나
고 있다.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2001년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IMF 이후 SOC사업은 건설업계
의 유일한 활로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부가 내년 SOC관련 예산을 대폭 축소할 방침을 세우
고 있어 건설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정부는 내년도 SOC 관련 예산을 올해 14조1000천억
원의 85∼92% 수준인 12조∼13조원으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그동안 주택용지 공급원이었던 준농림지는 건축규제 강화와 폐지 등으로 역할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풍부하지 못한 업체들은 사업용지 확보에 비상이 걸렸
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는 내년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IMF 이후 자체사업 능력을 상실한 중견업체들의 연쇄도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정부도 형식적이고 구호성이 강한 부양책이 아닌 일감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부양책
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채산성까지 악화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내년에는 정부가 SOC 관련 예산을 축소할 방침을 세우고 있어 연쇄도산 가능성까지 조
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 위기는 수주량 감소가 근본 원인이다. IMF 직전인 1997년 건설업계의 통 수
주량은 민간과 정부물량을 합쳐 약 75조원에 달했다. 그러나 1998년에는 전체수주량이 47조
원으로 줄었고 경제 사정이 나아진 지난해도 51조원에 불과했다. 건설업계는 올 상반기에
약 27조9000억원의 일감을 수주해 1997년의 약 7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올해 약 55조원의 일감을 수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건설업체 숫자가 40% 이상 증가해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 건설협회 조사에 따르면 1998년 4191개사에 불과했던 건설업체는 올 7월말에 6026개로
늘어났다. 또 1997년 192억원에서 달하던 업체 당 수주액은 올해 90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채산성 악화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건설업체들의 잇단
도산이 이어져 상위 100대 업체 중 37%가 부도로 법정관리·화의·워크아웃에 들어가 있
다.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정부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허가제였던 신규업체 설립요건이 등
록제로 변하면서 건설업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동반부실을 부추겼다는 주장이다. 건설
업계에서는 신규진입 업체들 중 상당수가 일명 페이퍼 컴퍼니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IMF 이후 한 업체가 도산하면 직원들이 설립한 몇 개의 업체가 탄생하는 현상까지 일어나
고 있다.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2001년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IMF 이후 SOC사업은 건설업계
의 유일한 활로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부가 내년 SOC관련 예산을 대폭 축소할 방침을 세우
고 있어 건설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정부는 내년도 SOC 관련 예산을 올해 14조1000천억
원의 85∼92% 수준인 12조∼13조원으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그동안 주택용지 공급원이었던 준농림지는 건축규제 강화와 폐지 등으로 역할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풍부하지 못한 업체들은 사업용지 확보에 비상이 걸렸
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업계는 내년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IMF 이후 자체사업 능력을 상실한 중견업체들의 연쇄도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정부도 형식적이고 구호성이 강한 부양책이 아닌 일감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부양책
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