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앞으로 건립해야 할 노인 및 전문요양시설은 모두 109개인 것으로 진단됐다.
16일 경기개발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장기요양 보호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도내 노인 인구 중 장기보호대상인구는 전체 노인의 20.7%인 11만7262명이며, 특히 시설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인구는 2.0%인 1만1330명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도가 건립해야 할 요양시설은 모두 109개로 추계했으며 수원 성남 고양 부천 안양 안산 남양주시는 각각 5개의 요양시설 건립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현재 노내 노인복지시설은 재가복지시설이 노인 10만명당 7개이고, 의료 및 주거시설은 10만명 당 1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노인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은 전체 정원 4433명 중 3227명을 보호하고 있어 실제 수용인원이 전체 수요자의 72.8%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의 원인이 시설설비와 인력부족에 있다고 보고 보다 나은 서비스제공을 위해 시설의 사정에 맞춰 인원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일반현황 분석내용에 따르면 도내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5.9%로 국내 전체 노인인구인 7.4%보다 낮았고 노인인구 비율은 도시보다 농촌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각 시·군은 노인복지예산 편성시 노인인구의 구성비율을 고려, 적정한 수준의
노인관련 예산편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산학연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해 공개경쟁을 통해 선정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정순둘 교수팀이 용역작업을 수행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16일 경기개발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장기요양 보호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도내 노인 인구 중 장기보호대상인구는 전체 노인의 20.7%인 11만7262명이며, 특히 시설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인구는 2.0%인 1만1330명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도가 건립해야 할 요양시설은 모두 109개로 추계했으며 수원 성남 고양 부천 안양 안산 남양주시는 각각 5개의 요양시설 건립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현재 노내 노인복지시설은 재가복지시설이 노인 10만명당 7개이고, 의료 및 주거시설은 10만명 당 1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노인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은 전체 정원 4433명 중 3227명을 보호하고 있어 실제 수용인원이 전체 수요자의 72.8%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의 원인이 시설설비와 인력부족에 있다고 보고 보다 나은 서비스제공을 위해 시설의 사정에 맞춰 인원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일반현황 분석내용에 따르면 도내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5.9%로 국내 전체 노인인구인 7.4%보다 낮았고 노인인구 비율은 도시보다 농촌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각 시·군은 노인복지예산 편성시 노인인구의 구성비율을 고려, 적정한 수준의
노인관련 예산편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산학연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해 공개경쟁을 통해 선정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정순둘 교수팀이 용역작업을 수행했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