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복원사업이 시작되는 7월전에 도봉·미아로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대학로와 창경궁로 등에서는 일방통행제 도입이 추진된다. 기존의 청계천복개도로를 운행하는 27개 노선버스는 우회운행하게 되며 도심공영주차장 요금은 최대 30%까지 오른다.
그러나 4∼5개월만에 교통체계의 근간을 바꾸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과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큰 혼란이 예상된다.
시가 11일 밝힌 청계천 복원공사 대비 교통처리종합대책에 따르면 오는 7월 이전까지 대학로는 종로5가에서 혜화동구간, 창경궁로는 혜화동에서 종로4가구간, 돈화문로는 종로3가에서 창덕궁구간에서 각각 일방통행제를 실시한다.
도봉로 의정부 경계구간에서 혜화동까지 15㎞구간과 천호대로 신설동교차로에서 신답4거리까지 3.1㎞ 구간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도입한다.
이밖에도 마장로와 왕십리길이 가변차로로 운영돼 오전에는 도심방향, 오후에는 외곽방향의 차선이 늘어난다.<사진>
동대문운동장∼마장3거리 3.2㎞와 한양공고앞∼왕십리교차로 2.5㎞ 구간에서는가변차로제를 운영하며, 서소문→북창동길 방향 직진과 남대문로→3호터널이나 터널→남대문 방향 좌회전을 각각 허용한다.
또 다음달부터 도심 공영주차장의 일반주차요금을 현행 10분당 800∼1000원에서 1000∼1300원으로 최고 30% 올리고 민영주차장도 같은 수준으로 인상토록 권고하는 한편 기존 가로변의 불법 주·정차행위에 대한 집중단속도 벌여 나갈 계획이다.
지하철 2.4,5호선도 혼잡시간대에 승객들이 몰리는 방지하기 위해 전동차를 추가투입, 현재 시속 26㎞대에서 시속 30㎞로 빠르게 할 계획이다.
음성직 서울시 대중교통정책보좌관은 “버스가 빨라지면 승용차이용자가 21.8% 감소하고 버스이용객이 10.8%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지하철 혼잡시간대 전동차 추가투입으로 이용객이 2만4000명 늘어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교통대책이 추진될 경우 시민 혼란이나 불편, 상권침해를 이유로 한 주변상인들의 반발이 우려되는 데다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교통체계 개편 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질도 예상된다.
서울시가 교통체계를 개선하려면 경찰과 인근 시도와의협의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동안은 별다른 접촉이 없었다.
고속도로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등을 확대 실시하려면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인 경기도 및 건설교통부와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음 보좌관도 11일 교통대책을 밝표하는 자리에서 “지금부터 경찰청과 협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청계천복원본부가 출범직후부터 유관기관과 협의를 시작했어야 한다. 지금부터 협의를 시작해서 청계천공사전에 교통대책을 추진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사진>
그러나 4∼5개월만에 교통체계의 근간을 바꾸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과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큰 혼란이 예상된다.
시가 11일 밝힌 청계천 복원공사 대비 교통처리종합대책에 따르면 오는 7월 이전까지 대학로는 종로5가에서 혜화동구간, 창경궁로는 혜화동에서 종로4가구간, 돈화문로는 종로3가에서 창덕궁구간에서 각각 일방통행제를 실시한다.
도봉로 의정부 경계구간에서 혜화동까지 15㎞구간과 천호대로 신설동교차로에서 신답4거리까지 3.1㎞ 구간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도입한다.
이밖에도 마장로와 왕십리길이 가변차로로 운영돼 오전에는 도심방향, 오후에는 외곽방향의 차선이 늘어난다.<사진>
동대문운동장∼마장3거리 3.2㎞와 한양공고앞∼왕십리교차로 2.5㎞ 구간에서는가변차로제를 운영하며, 서소문→북창동길 방향 직진과 남대문로→3호터널이나 터널→남대문 방향 좌회전을 각각 허용한다.
또 다음달부터 도심 공영주차장의 일반주차요금을 현행 10분당 800∼1000원에서 1000∼1300원으로 최고 30% 올리고 민영주차장도 같은 수준으로 인상토록 권고하는 한편 기존 가로변의 불법 주·정차행위에 대한 집중단속도 벌여 나갈 계획이다.
지하철 2.4,5호선도 혼잡시간대에 승객들이 몰리는 방지하기 위해 전동차를 추가투입, 현재 시속 26㎞대에서 시속 30㎞로 빠르게 할 계획이다.
음성직 서울시 대중교통정책보좌관은 “버스가 빨라지면 승용차이용자가 21.8% 감소하고 버스이용객이 10.8%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지하철 혼잡시간대 전동차 추가투입으로 이용객이 2만4000명 늘어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같은 교통대책이 추진될 경우 시민 혼란이나 불편, 상권침해를 이유로 한 주변상인들의 반발이 우려되는 데다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교통체계 개편 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질도 예상된다.
서울시가 교통체계를 개선하려면 경찰과 인근 시도와의협의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동안은 별다른 접촉이 없었다.
고속도로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 등을 확대 실시하려면 직접적인 이해 당사자인 경기도 및 건설교통부와 사전협의를 거쳐야 한다.
음 보좌관도 11일 교통대책을 밝표하는 자리에서 “지금부터 경찰청과 협의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청계천복원시민위원회 관계자는 “지난해 청계천복원본부가 출범직후부터 유관기관과 협의를 시작했어야 한다. 지금부터 협의를 시작해서 청계천공사전에 교통대책을 추진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사진>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