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법대와 경영대 등 인기 모집단위에서 재수생 강세현상이 올해도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는 10일 2003학년도 정시모집 결과 법대와 경영대, 약대 등 인기 단과대에서 재수생 합격자의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등 재수생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최종 합격자 3023명 중 재수생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해 정시모집 때의 37.7%에서 31.2%로 감소, 일부에서 ‘재수생 강세현상이 사라진 것 아니냐’는 성급한 예측이 나왔었다.
그러나 이날 서울대가 발표한 단과대별 재수생 현황에 따르면 법대는 재수생 비율이 42.4%였고 경영대의 재수생 비율은 41.0%, 약대는 48.3%로 전체 재수생 비율을 훌쩍 뛰어 넘었다.
수능 최상위 득점자가 몰리는 의대는 자연대와 함께 집계돼 정확한 수치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역시 재수생의 비율이 50%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합격자의 2∼3배수를 뽑는 1단계 합격자 발표에서는 의대의 재수생 비율이 58.2%로 과반수를 넘었다.
이에 비해 인문대의 재수생 비율은 25.8%에 불과했고 사범대는 27.0%, 공대 29.6%, 농생대 29.4%, 간호대 23.9% 등 비인기학과의 경우 재수생의 비율이 낮았다.
종로학원 김용근 평가실장은 “고득점 학생들은 법대와 의대 등 인기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재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기학과에 재수생의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인기학과에 재수생이 많고 비인기학과에 재학생이 많은 양극화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대는 10일 2003학년도 정시모집 결과 법대와 경영대, 약대 등 인기 단과대에서 재수생 합격자의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등 재수생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서울대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최종 합격자 3023명 중 재수생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해 정시모집 때의 37.7%에서 31.2%로 감소, 일부에서 ‘재수생 강세현상이 사라진 것 아니냐’는 성급한 예측이 나왔었다.
그러나 이날 서울대가 발표한 단과대별 재수생 현황에 따르면 법대는 재수생 비율이 42.4%였고 경영대의 재수생 비율은 41.0%, 약대는 48.3%로 전체 재수생 비율을 훌쩍 뛰어 넘었다.
수능 최상위 득점자가 몰리는 의대는 자연대와 함께 집계돼 정확한 수치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역시 재수생의 비율이 50%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합격자의 2∼3배수를 뽑는 1단계 합격자 발표에서는 의대의 재수생 비율이 58.2%로 과반수를 넘었다.
이에 비해 인문대의 재수생 비율은 25.8%에 불과했고 사범대는 27.0%, 공대 29.6%, 농생대 29.4%, 간호대 23.9% 등 비인기학과의 경우 재수생의 비율이 낮았다.
종로학원 김용근 평가실장은 “고득점 학생들은 법대와 의대 등 인기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재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기학과에 재수생의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인기학과에 재수생이 많고 비인기학과에 재학생이 많은 양극화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