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분구·분동 등 행정조직개편 과정에서 신설 구, 동의 명칭을 둘러싸고 경기도내 곳곳에서 주민간 갈등을 빚고 있다.
안산시는 고잔 1동 분동과 관련, 신설 동명칭을 둘러싸고 주민간 갈등을 빚어오다 우여곡절 끝에 13일 동 명칭을 ‘호수동’으로 결정했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시는 당초 인구 5만7000명의 고잔 1동을 행정자치부의 과대동 분리 승인에 따라 전철 4호선을 경계로 구도시는 고잔 1동, 신도시는 호수동으로 명칭을 결정하고 관련 조례안을 지난달 시의회에 상정했다.
시는 주민 의견수렴등을 거친 결과, 신설 동 주변에 20만평 규모의 호수공원이 있고 신도시 개념에 부합, 대다수 주민들이 선호한다는 이유로 이 같이 결정했다.
그러나 시의회는 일부 주민들이 법정동이 고잔동인 고잔 1∼3동 중 3동만 호수동으로 정할 경우, 행정동과 법정동이 달라 혼란을 초래할 있다며 반대하자 안건을 계류시켰다가 지난 12일 표결까지 간 결과, 호수동으로 최종 확정했다. 하지만 아파트 단지 밖 주민들은 호수와 아무런 관련도 없이 호수동 명칭을 쓰게 됐다며 반대의사를 밝히고 있어 마찰이 우려된다.
수원시도 인구 5만4440명의 곡선동을 곡선동과 권선2동으로 나누고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곡선동 일부 아파트단지 주민들은 동 이름에 ‘곡’자를 사용하면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동명칭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곡선동이 곡반정동과 권선동의 이름을 따 지어진 만큼, 곡반정동 토박이 주민들은 명칭 변경에 반대하고 있어 주민간 갈등을 빚고 있다.
고양시는 지난해 말 일산구의 분구를 추진했으나 ‘일산’이란 명칭을 둘러싼 민-민 갈등이 심화되자 분구 논의를 일시 중단한 상태다.
시는 지난해 10월 일산구를 분구, 3개 구로 늘리는 내용의 ‘고양시 구 설치 및 분구안’을 마련, 서면 및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러나 전국적 인지도의 일산 명칭사용이 어려운데 따른 집값 하락과 학군 조정 등을 우려한 일부 지역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하자 지역사회 양분 등을 우려, 논의 자체를 중단키로 했다.
이에 앞서 안산시도 지난해 9월 신설 2개 구청의 명칭을 정하는 과정에서 지명위원회가 정한 명칭을 두 번이나 변경하는 혼선을 빚다가 개청시기를 예정보다 한달이나 늦추는 등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이처럼 도내 곳곳에서 신설 동, 구 명칭을 둘러싼 갈등이 일자 최근 의정부시는 분동을 앞둔 호원동과 송산동 등 4개 동의 명칭과 동 경계 등에 대한 주민공청회 등 공개적인 의견수렴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지명위원회나 주민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통해 구와 동의 명칭을 정하지만 주민간 의견차이가 심한 경우, 마찰을 빚고 있다”며 “좀더 공개적이고 폭넓은 의견수렴과 명칭 결정의 기준, 배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시는 고잔 1동 분동과 관련, 신설 동명칭을 둘러싸고 주민간 갈등을 빚어오다 우여곡절 끝에 13일 동 명칭을 ‘호수동’으로 결정했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시는 당초 인구 5만7000명의 고잔 1동을 행정자치부의 과대동 분리 승인에 따라 전철 4호선을 경계로 구도시는 고잔 1동, 신도시는 호수동으로 명칭을 결정하고 관련 조례안을 지난달 시의회에 상정했다.
시는 주민 의견수렴등을 거친 결과, 신설 동 주변에 20만평 규모의 호수공원이 있고 신도시 개념에 부합, 대다수 주민들이 선호한다는 이유로 이 같이 결정했다.
그러나 시의회는 일부 주민들이 법정동이 고잔동인 고잔 1∼3동 중 3동만 호수동으로 정할 경우, 행정동과 법정동이 달라 혼란을 초래할 있다며 반대하자 안건을 계류시켰다가 지난 12일 표결까지 간 결과, 호수동으로 최종 확정했다. 하지만 아파트 단지 밖 주민들은 호수와 아무런 관련도 없이 호수동 명칭을 쓰게 됐다며 반대의사를 밝히고 있어 마찰이 우려된다.
수원시도 인구 5만4440명의 곡선동을 곡선동과 권선2동으로 나누고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곡선동 일부 아파트단지 주민들은 동 이름에 ‘곡’자를 사용하면 좋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동명칭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곡선동이 곡반정동과 권선동의 이름을 따 지어진 만큼, 곡반정동 토박이 주민들은 명칭 변경에 반대하고 있어 주민간 갈등을 빚고 있다.
고양시는 지난해 말 일산구의 분구를 추진했으나 ‘일산’이란 명칭을 둘러싼 민-민 갈등이 심화되자 분구 논의를 일시 중단한 상태다.
시는 지난해 10월 일산구를 분구, 3개 구로 늘리는 내용의 ‘고양시 구 설치 및 분구안’을 마련, 서면 및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러나 전국적 인지도의 일산 명칭사용이 어려운데 따른 집값 하락과 학군 조정 등을 우려한 일부 지역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하자 지역사회 양분 등을 우려, 논의 자체를 중단키로 했다.
이에 앞서 안산시도 지난해 9월 신설 2개 구청의 명칭을 정하는 과정에서 지명위원회가 정한 명칭을 두 번이나 변경하는 혼선을 빚다가 개청시기를 예정보다 한달이나 늦추는 등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이처럼 도내 곳곳에서 신설 동, 구 명칭을 둘러싼 갈등이 일자 최근 의정부시는 분동을 앞둔 호원동과 송산동 등 4개 동의 명칭과 동 경계 등에 대한 주민공청회 등 공개적인 의견수렴절차를 밟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지명위원회나 주민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통해 구와 동의 명칭을 정하지만 주민간 의견차이가 심한 경우, 마찰을 빚고 있다”며 “좀더 공개적이고 폭넓은 의견수렴과 명칭 결정의 기준, 배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