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음식물 재활용 처리업체나 농장이 대부분 부실해 시가 보조금 지원 조례 제정 움직
임을 보인 가운데 보조금 지원보다 농장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관내 음식
물 처리 업체 4곳을 조사한 결과 순수한 음식물 처리업을 통해 재활용하는 곳은 단 한 곳.
나머지 3곳은 민원이 발생하고 오리를 통한 재활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제
대로 운영되는 한 곳도 농장을 폐쇄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밝혀져 고양시 음식물 쓰레기 재
활용에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따라 시는 현재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을 현실화하기 위해 재활용업체에 대해 8만
세대에 대해 각 세대당 300원씩, 연 2억8800만원을 보조하는 조례를 제정키로 했다. 현재 음
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로 재활용을 권장하는 고양시내 아파트는 8만여 세대. 이들 세대는
월 평균 800∼1000원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을 수거업체에 지불하고 있다.
그러나 고양시의회 심규현 의원은 "현재 몇 곳 되지 않는 농장에서 고양시 음식물 쓰레기를
모두 감당하기 어렵고 음식물 재활용 농장이 활성화 되지 않는 시점에서 약간의 보조금으로
재활용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심 의원에 따르면 고양시의 보조금 지원 조례 제정은 부천시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남은 음
식물 처리를 위한 부천시민 모임'이란 시민단체가 장기간 실사 끝에 보조금에 관한 정책을
제안한 것이다. 부천시의 경우 이 시민단체를 통해 농장과 음식물 쓰레기통이 관리돼 이용
주민이 늘수록 단가가 내려가는 등 행정상 관리주체 문제가 해결된 사례다.
한편 고양시에서 추진하는 재활용 업체에 대한 보조금 지원 조례는 12월1일 시의회 본회의
를 거쳐 의결된다.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