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해 10월23일 성동구 왕십리동, 은평구 진관내외동, 성북구 길음동 등 3곳을 뉴타운시범지구로 선정한지 4달이 지났다. 강남북간 균형발전이라는 목표로 추진된 뉴타운 계획은 지정초기 개발 기대감으로 해당지역 주민들의 환영을 받기도 했지만 시의 일방적인 추진과 보상수준에 대한 이견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지난 27일 청계천복원구역과 인접한 왕십리뉴타운구역을 돌아봤다.
◇땅값 4배이상 폭등=“뉴타운 지정후 집값은 많이 올랐다. 그러나 거래가 거의 안되기 때문에 실감하지 못하겠다.” 왕십리1동에 거주하는 최 모(46세)씨의 이야기다.
최 씨는 “뉴타운지정으로 혜택을 본 것 청계벽산아파트 등 인근 지역 주민들”이라며 “청계천개발과 뉴타운지정으로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말했다.
마장로에서 20년째 부동산을 운영하고 있는 김 모씨도 “지난해 뉴타운 지정후 가격은 평당 350만원수준에서 1200만원으로 폭등했지만 매매계약을 한건도 못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임대주택 문제 때문에 세입자도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뉴타운 지정당시 5년이상 거주하던 사람들만 임대주택 입주권을 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사가는 사람도 오는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대로변에서 ㅅ부동산을 운영하는 박 모씨도 “뉴타운 지정전인 9월경에 평당 700만원 선이던 땅값이 지금은 평당 1100만원선에서 가격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는 거의 없는 편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뉴타운지정전에 건물을 사들여 돈을 번 사람들 이야기도 나왔다.
ㅅ부동산대표 김 모씨는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뉴타운 발표전후로 건물을 사들여 시세차익을 남겼다. 뉴타운 발표전에 다세대 주택을 매입해 가격이 오른후 팔아 시세차익을 남긴 부동산업소도 있다”고 말했다.
◇“50%이상 주민이 뉴타운 반대”=왕십리뉴타운 구역은 다가구 신축주택이 많고 8000여개에 이르는 각종 상가건물들이 많아 보상가격을 둘러싸고 갈등이 예상된다.
마장로에서 상가를 임대운영하는 김 모씨는 “1구역내 70%이상이 최근 10년내에 자체개량한 건물”이라며 “감정가격에다 20∼30%을 얹어주는 수용가격은 받아들일 수 없다”이라고 말했다.
가장 먼저 뉴타운개발이 시행되는 왕십리뉴타운 1구역 주민 상당수는 시주도의 뉴타운 개발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왕십리뉴타운은 3개 구역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1구역은 공영개발로 먼저 시행되고 2,3구역은 민간재개발로 진행된다.
왕십리1동 지역발전회 이창식 회장(새마을금고 이사장)은 “주민들의 동의도 없이 강행하는 뉴타운개발은 독재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라며 “1구역 주민 60%이상이 반대하고 있는만큼 시는 밀어부치기식 개발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왕십리구역주택재개발추진위원회 관계자도 “1구역 개발을 찬성한 주민이 45%에 달한다. 곧 3분의 2이상의 동의를 얻어 주민 자력으로 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지난 27일 청계천복원구역과 인접한 왕십리뉴타운구역을 돌아봤다.
◇땅값 4배이상 폭등=“뉴타운 지정후 집값은 많이 올랐다. 그러나 거래가 거의 안되기 때문에 실감하지 못하겠다.” 왕십리1동에 거주하는 최 모(46세)씨의 이야기다.
최 씨는 “뉴타운지정으로 혜택을 본 것 청계벽산아파트 등 인근 지역 주민들”이라며 “청계천개발과 뉴타운지정으로 아파트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말했다.
마장로에서 20년째 부동산을 운영하고 있는 김 모씨도 “지난해 뉴타운 지정후 가격은 평당 350만원수준에서 1200만원으로 폭등했지만 매매계약을 한건도 못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임대주택 문제 때문에 세입자도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뉴타운 지정당시 5년이상 거주하던 사람들만 임대주택 입주권을 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사가는 사람도 오는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대로변에서 ㅅ부동산을 운영하는 박 모씨도 “뉴타운 지정전인 9월경에 평당 700만원 선이던 땅값이 지금은 평당 1100만원선에서 가격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는 거의 없는 편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뉴타운지정전에 건물을 사들여 돈을 번 사람들 이야기도 나왔다.
ㅅ부동산대표 김 모씨는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뉴타운 발표전후로 건물을 사들여 시세차익을 남겼다. 뉴타운 발표전에 다세대 주택을 매입해 가격이 오른후 팔아 시세차익을 남긴 부동산업소도 있다”고 말했다.
◇“50%이상 주민이 뉴타운 반대”=왕십리뉴타운 구역은 다가구 신축주택이 많고 8000여개에 이르는 각종 상가건물들이 많아 보상가격을 둘러싸고 갈등이 예상된다.
마장로에서 상가를 임대운영하는 김 모씨는 “1구역내 70%이상이 최근 10년내에 자체개량한 건물”이라며 “감정가격에다 20∼30%을 얹어주는 수용가격은 받아들일 수 없다”이라고 말했다.
가장 먼저 뉴타운개발이 시행되는 왕십리뉴타운 1구역 주민 상당수는 시주도의 뉴타운 개발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왕십리뉴타운은 3개 구역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1구역은 공영개발로 먼저 시행되고 2,3구역은 민간재개발로 진행된다.
왕십리1동 지역발전회 이창식 회장(새마을금고 이사장)은 “주민들의 동의도 없이 강행하는 뉴타운개발은 독재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라며 “1구역 주민 60%이상이 반대하고 있는만큼 시는 밀어부치기식 개발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왕십리구역주택재개발추진위원회 관계자도 “1구역 개발을 찬성한 주민이 45%에 달한다. 곧 3분의 2이상의 동의를 얻어 주민 자력으로 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