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줄세우기’와 ‘줄서기’가 횡행하고 있다. 학계 종교계 법조계 등 각계 각층의 앞다툰 특정후보 지지선언이 대표적인 사례다. 수십 년 만의 양강 구도는 이런 흐름을 더욱 가열시키고 있다.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지 않으면 뭔가 손해를 입을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마저 조성되는 것이다.
◇ 하루에 두세 번 꼴로 지지선언 = 12일 오전에만 한나라당 기자실에는 세 번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이 후보 지지를 선언하는 자리였다. 대한민국을 걱정하는 교수들, 해외동포, 축산업 단위조합 대표들이었다. 특히 이날 지지선언을 한 교수들은 200명에 달한다. 참여의사를 표시했던 교수들은 2500명에 달하지만 명단공개는 200명으로 한정했다는 부연설명까지 있었다.
여기에 이 후보의 부산유세 일정에 맞춰 미래 부산발전을 위한 교수모임, 부산지역 전·현직 총학생회장 출신들의 지지선언도 이어졌다.
또한 11일에는 박우동 전대법관 등 650명의 법조인들과 한국노총 산하 16개 산별연맹, 부산·경남·대전·강원지역본부 지지도 있었다.
이런 흐름은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지난 11일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 산하 102개 노조위원장 등이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충북지역 종교계·학계 인사 176명의 지지선언도 뒤따랐다. 또한 10일에는 경남지역 전·현직 국회의원과 광역의원, 기초의원, 기초단체장 73명이 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각 후보 진영은 이 같은 지지선언이 대선 막판의 기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며 이런 흐름을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영합하려는 줄서기로 학계 법조계 대학생 노동조합 재외동포 등 사회전체가 몸살을 앓고 있다.
서울지검의 한 소장검사는 “가뜩이나 좁은 법조계가 이편저편 나뉘어 싸우는 것이 그간 대선에서 관행처럼 돼 왔지만 법조계가 바뀌는 것은 없었다”면서 “지지자체가 문제는 아니지만 사회의 어른들이 너무 사익에 눈이 어두워 촐랑대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 과열은 분열을 잉태 = 과열양상에 따른 분열 조짐은 벌써부터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격전지로 꼽히는 부산의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는 12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이회창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인 13일 102명의 현직 위원장과 135명의 전·현직 노조간부들은 ‘지도부 결정을 따를 수 없다’며 오히려 노무현 후보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런 갈등은 대학생들에게까지 번졌다.
10일 오후 경남지역 비운동권 총학생회장 모임인 ‘경남총학생회협의회’와 전·현직 비운동권 총학생회 간부들 모임인 ‘경남청년포럼’이 이회창 후보 지지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행사장 밖에서는 이들의 지지선언에 반대하는 창원대 학생들의 피켓 시위가 있었다.
이회창 후보는 지난 10월초 모든 것을 담는 큰바다 정책을 통한 국민대통합을 역설했다. 노무현 후보도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는 새로운 정치를 실현하겠다고 주장해 왔다. 두 후보진영이 지금 뭐라고 할지 의문이다.
◇ 하루에 두세 번 꼴로 지지선언 = 12일 오전에만 한나라당 기자실에는 세 번의 기자회견이 있었다. 이 후보 지지를 선언하는 자리였다. 대한민국을 걱정하는 교수들, 해외동포, 축산업 단위조합 대표들이었다. 특히 이날 지지선언을 한 교수들은 200명에 달한다. 참여의사를 표시했던 교수들은 2500명에 달하지만 명단공개는 200명으로 한정했다는 부연설명까지 있었다.
여기에 이 후보의 부산유세 일정에 맞춰 미래 부산발전을 위한 교수모임, 부산지역 전·현직 총학생회장 출신들의 지지선언도 이어졌다.
또한 11일에는 박우동 전대법관 등 650명의 법조인들과 한국노총 산하 16개 산별연맹, 부산·경남·대전·강원지역본부 지지도 있었다.
이런 흐름은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지난 11일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 산하 102개 노조위원장 등이 노무현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충북지역 종교계·학계 인사 176명의 지지선언도 뒤따랐다. 또한 10일에는 경남지역 전·현직 국회의원과 광역의원, 기초의원, 기초단체장 73명이 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다. 각 후보 진영은 이 같은 지지선언이 대선 막판의 기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며 이런 흐름을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영합하려는 줄서기로 학계 법조계 대학생 노동조합 재외동포 등 사회전체가 몸살을 앓고 있다.
서울지검의 한 소장검사는 “가뜩이나 좁은 법조계가 이편저편 나뉘어 싸우는 것이 그간 대선에서 관행처럼 돼 왔지만 법조계가 바뀌는 것은 없었다”면서 “지지자체가 문제는 아니지만 사회의 어른들이 너무 사익에 눈이 어두워 촐랑대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 과열은 분열을 잉태 = 과열양상에 따른 분열 조짐은 벌써부터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격전지로 꼽히는 부산의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는 12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이회창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인 13일 102명의 현직 위원장과 135명의 전·현직 노조간부들은 ‘지도부 결정을 따를 수 없다’며 오히려 노무현 후보 지지의사를 밝혔다. 이런 갈등은 대학생들에게까지 번졌다.
10일 오후 경남지역 비운동권 총학생회장 모임인 ‘경남총학생회협의회’와 전·현직 비운동권 총학생회 간부들 모임인 ‘경남청년포럼’이 이회창 후보 지지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행사장 밖에서는 이들의 지지선언에 반대하는 창원대 학생들의 피켓 시위가 있었다.
이회창 후보는 지난 10월초 모든 것을 담는 큰바다 정책을 통한 국민대통합을 역설했다. 노무현 후보도 지역과 계층을 뛰어넘는 새로운 정치를 실현하겠다고 주장해 왔다. 두 후보진영이 지금 뭐라고 할지 의문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