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에 이어 미사일 시험발사 재개를 시사한 가운데 미국은 ‘대화는 하되 협상은 없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하면서도 조만간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과 접촉할 것으로 미국 유력 언론들은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부시 행정부 내 강온파의 대립이 더욱 첨예화되며 혼선을 빚고 있어 북핵문제 해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 정부는 북한의 초강수 전략에도 불구하고 냉정한 대응을 통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지난주 북한 한성렬 유엔주재 차석대사와 회동한 빌 리차드슨 뉴멕시코주 주지사는 12일 ABC방송 일요토론에 출연, “부시 행정부가 당장 해야할 일은 전화기를 들고 유엔본부에서 북한과 실무급 예비회담을 시작한 뒤 더욱 광범위한 고위급회담을 정하는 것”이라며 북한과 즉각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이밖에 민주당 톰 대슐 상원대표 및 상원군사위원장을 지낸 민주당 칼 레빈 상원의원 등도 북한과의 직접대화가 우선 과제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공화당 존 매케인 상원의원 등 부시 행정부 내 매파들은 ‘군사적 대응방안’까지 언급하며 강공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에 ‘끌려가야’ 할지 아니면 관련국들의 대화촉구 속 외교적 고립을 자초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해 딜레마에 빠져있는 양상이다.
정부는 북한의 잇단 초강수전략에도 불구하고 사실상의 의도는 ‘대화’에 있다고 보고 북핵포기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NPT 탈퇴를 엄중한 사태로 받아들이지만 과민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외교적 해결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13일 오전 정부종합청사 별관 집무실에서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의 예방을 받고 △북핵 불인정 △북핵 사태의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한국의 주도적 역할 등 북핵관련 3원칙을 제시했다.
켈리 차관보는 이날 오후 최성홍 외교장관을 예방하고 임동원 대통령 외교안보통일특보 등과도 면담할 계획이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하지만 부시 행정부 내 강온파의 대립이 더욱 첨예화되며 혼선을 빚고 있어 북핵문제 해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 정부는 북한의 초강수 전략에도 불구하고 냉정한 대응을 통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지난주 북한 한성렬 유엔주재 차석대사와 회동한 빌 리차드슨 뉴멕시코주 주지사는 12일 ABC방송 일요토론에 출연, “부시 행정부가 당장 해야할 일은 전화기를 들고 유엔본부에서 북한과 실무급 예비회담을 시작한 뒤 더욱 광범위한 고위급회담을 정하는 것”이라며 북한과 즉각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이밖에 민주당 톰 대슐 상원대표 및 상원군사위원장을 지낸 민주당 칼 레빈 상원의원 등도 북한과의 직접대화가 우선 과제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공화당 존 매케인 상원의원 등 부시 행정부 내 매파들은 ‘군사적 대응방안’까지 언급하며 강공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북한에 ‘끌려가야’ 할지 아니면 관련국들의 대화촉구 속 외교적 고립을 자초해야 할지 결정하지 못해 딜레마에 빠져있는 양상이다.
정부는 북한의 잇단 초강수전략에도 불구하고 사실상의 의도는 ‘대화’에 있다고 보고 북핵포기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NPT 탈퇴를 엄중한 사태로 받아들이지만 과민한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외교적 해결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13일 오전 정부종합청사 별관 집무실에서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의 예방을 받고 △북핵 불인정 △북핵 사태의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한국의 주도적 역할 등 북핵관련 3원칙을 제시했다.
켈리 차관보는 이날 오후 최성홍 외교장관을 예방하고 임동원 대통령 외교안보통일특보 등과도 면담할 계획이다.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