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7일 “북한산 관통도로를 만들기 위해 불암산과 수락산에서 진행 중인 터널공사를 시급히 중지해야 한다”고 노무현 당선자에게 보고한 것과 관련, 시민·사회단체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관통도로 저지 시민사회단체 연석회의’ 관계자는 “건교부의 ‘노선조사위원회 활동기간 3개월 연장’안은 수락산, 불암산 구간에서의 터널공사를 더 진척시키기 위한 시간끌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이런 태도는 노 당선자에게 국민과의 약속을 파기하라고 강요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건교부가 인수위에 ‘북한산국립공원 우회는 가능하나 불암산-수락산 노선은 이미 공사가 진행된 만큼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립공원 훼손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우회, 수락산-불암산으로 연결되려면 ‘국도 3호선 우회도로’(왕복 6차선)와 나란히 국립공원 동쪽능선을 따라가다가 사패산터널 출구 인근에서 수락산으로 가는 노선밖에 없다는 것.
우이령보존회 관계자는 “이 노선은 지난 97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공청회 당시 도로공사가 임의로 제시했던 우회노선 2가지 가운데 하나”라며 “당시 B안은 국립공원 경계를 계속 따라가다가 도봉산 동쪽에서 수락산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국립공원 훼손면적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도로공사 스스로 폐기했던 안”이라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가칭)민관합동 노선선정위원회’를 구성, 객관적이며 책임있는 노선 선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통도로 저지 시민사회단체 연석회의’ 관계자는 “건교부의 ‘노선조사위원회 활동기간 3개월 연장’안은 수락산, 불암산 구간에서의 터널공사를 더 진척시키기 위한 시간끌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이런 태도는 노 당선자에게 국민과의 약속을 파기하라고 강요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한편 최근 건교부가 인수위에 ‘북한산국립공원 우회는 가능하나 불암산-수락산 노선은 이미 공사가 진행된 만큼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립공원 훼손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우회, 수락산-불암산으로 연결되려면 ‘국도 3호선 우회도로’(왕복 6차선)와 나란히 국립공원 동쪽능선을 따라가다가 사패산터널 출구 인근에서 수락산으로 가는 노선밖에 없다는 것.
우이령보존회 관계자는 “이 노선은 지난 97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공청회 당시 도로공사가 임의로 제시했던 우회노선 2가지 가운데 하나”라며 “당시 B안은 국립공원 경계를 계속 따라가다가 도봉산 동쪽에서 수락산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국립공원 훼손면적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도로공사 스스로 폐기했던 안”이라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가칭)민관합동 노선선정위원회’를 구성, 객관적이며 책임있는 노선 선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