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변인이 김두관 행자부 장관 죽이기에 나섰나.’
한나라 박종희 대변인의 김두관 행자부 장관에 대한 논평이 구설수에 올랐다. 당 지도부의 뜻도 아니었을 뿐 아니라 너무 감정에 치우쳤다는 것이다.
박 대변인은 5일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이 95년 남해군수시절 8개월 동안 지역신문의 대표직을 유지해 지방공무원법을 위반했다’는 내용의 동아일보 보도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김 장관을 사퇴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논평을 발표했다. 논평에서 그는 ‘아주 충격적’,‘치명적인 결함’, ‘몰염치하다’, ‘뻔뻔한 언동’ 등 자극적인 단어들을 동원해 김 장관을 비난했다. ‘선거장관이 선거법위반 전과자라니...’라는 선정적인 논평 제목까지 뽑기도 했다.
더구나 김 장관에 대한 논평은 당 지도부, 특히 당 대표와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희태 대표 권한대행은 6일 저녁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논평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주요당직자 회의에서도 일체 언급이 없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실제로 오전 주요 당직자회의 시작전 박 대변인이 이 문제를 거론하려 하자 제지하기까지 했다. 박 대표는 또“이런 정도의 사안으로 사퇴까지는 안된다”고 말했다. 당의 입이자 대표의 입이라 할 수 있는 대변인이‘장관사퇴 요구’라는 중대한 사안에 대해 대표와 상의도 없이, 오히려 대표의 의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논평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박 대변인은 “당 대표와 상의하거나 당직자 회의에서 논의되지는 않았으며 나의 개인적의 의견이 많이 개입된 것은 사실”이라며 “어떤 부처보다 정치적 중립과 공정성이 요구되는 행자부에 선거법 위반자가 장관을 맡아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의 김 장관에 대한 논평이 감정적이었음은 진대제 정통부 장관에 대한 논평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진 장관의 경우 아들의 이중국적과 병역면제라는 국민 정서상 용납하기 힘든 사안이임에도 한나라당의 논평은 솜방망이에 불과했다. ‘이해할 수 없다’, ‘설득력이 부족하다’등 시종 차분한 어조로 철저한 검증을 촉구했을 뿐이다. 그것도 부대변인 논평이었다. ‘너무 부드럽다(?)’는 지적이 일자 그때서야 다음날 대변인이 논평을 발표했다. 그러나 김 장관을 몰아붙이던 공격성은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었다.
주문내용도 사퇴를 촉구한 김 장관과는 달리 진 장관에게는 “엄중한 조치를 취하라”는 요구가 전부였다.
나아가 김 장관이 군수 취임전에 사퇴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너무 성급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 박종희 대변인의 김두관 행자부 장관에 대한 논평이 구설수에 올랐다. 당 지도부의 뜻도 아니었을 뿐 아니라 너무 감정에 치우쳤다는 것이다.
박 대변인은 5일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이 95년 남해군수시절 8개월 동안 지역신문의 대표직을 유지해 지방공무원법을 위반했다’는 내용의 동아일보 보도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김 장관을 사퇴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논평을 발표했다. 논평에서 그는 ‘아주 충격적’,‘치명적인 결함’, ‘몰염치하다’, ‘뻔뻔한 언동’ 등 자극적인 단어들을 동원해 김 장관을 비난했다. ‘선거장관이 선거법위반 전과자라니...’라는 선정적인 논평 제목까지 뽑기도 했다.
더구나 김 장관에 대한 논평은 당 지도부, 특히 당 대표와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희태 대표 권한대행은 6일 저녁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논평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고 주요당직자 회의에서도 일체 언급이 없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실제로 오전 주요 당직자회의 시작전 박 대변인이 이 문제를 거론하려 하자 제지하기까지 했다. 박 대표는 또“이런 정도의 사안으로 사퇴까지는 안된다”고 말했다. 당의 입이자 대표의 입이라 할 수 있는 대변인이‘장관사퇴 요구’라는 중대한 사안에 대해 대표와 상의도 없이, 오히려 대표의 의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논평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박 대변인은 “당 대표와 상의하거나 당직자 회의에서 논의되지는 않았으며 나의 개인적의 의견이 많이 개입된 것은 사실”이라며 “어떤 부처보다 정치적 중립과 공정성이 요구되는 행자부에 선거법 위반자가 장관을 맡아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의 김 장관에 대한 논평이 감정적이었음은 진대제 정통부 장관에 대한 논평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진 장관의 경우 아들의 이중국적과 병역면제라는 국민 정서상 용납하기 힘든 사안이임에도 한나라당의 논평은 솜방망이에 불과했다. ‘이해할 수 없다’, ‘설득력이 부족하다’등 시종 차분한 어조로 철저한 검증을 촉구했을 뿐이다. 그것도 부대변인 논평이었다. ‘너무 부드럽다(?)’는 지적이 일자 그때서야 다음날 대변인이 논평을 발표했다. 그러나 김 장관을 몰아붙이던 공격성은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었다.
주문내용도 사퇴를 촉구한 김 장관과는 달리 진 장관에게는 “엄중한 조치를 취하라”는 요구가 전부였다.
나아가 김 장관이 군수 취임전에 사퇴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너무 성급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