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6일 김두관 신임 행자부 장관과 〈남해신문〉의 관계를 집중 비판한 후, ‘진실’여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이 이날 오전 남해신문이 당시 김두관 군수의 ‘군 기관지’로 활용됐다는 언론 보도를 인용, 공개적으로 주장한 것에 남해신문사는 “대응을 검토하겠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남해신문〉 김광석 편집국장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먼저“〈동아일보〉에 명예훼손 등 법적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후, “한나라당도 우리 신문사측에 확인도 없이 보도내용을 그대로 내보내 명예를 훼손시켰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또 “한나라당이 주요사안을 마치 사실인양 당론으로 내세웠으면, 그 이후라도 피해를 입을 당사자에게 확인을 해봐야 되지 않냐”고 반문했다.
한편 김 국장에 따르면 한나라당측은 이날 저녁까지 전화, 방문, 자료요청 등 〈남해신문〉측에 사실확인을 요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대변인 행정실 관계자도 “아침에 신문을 보고 급하게 보고를 올렸으며, 오후에도 별도의 사실확인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남해신문은 이날 △김두관 당시 발행인의 사직서 (95년 6월 30일) △95년 6월, 7월 월급명세서 △강명규 신임 발행인 취임사 (95년 7월 14일) 등을 공개했다. 이와 별도로 김두관 행자부 장관은 “남해신문이 남해군정을 날카롭에 비판한 수많은 기사들을 보고, 과연 남해신문이 군청 기관지였는지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남해신문〉 김광석 편집국장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먼저“〈동아일보〉에 명예훼손 등 법적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후, “한나라당도 우리 신문사측에 확인도 없이 보도내용을 그대로 내보내 명예를 훼손시켰다”고 말했다. 김 국장은 또 “한나라당이 주요사안을 마치 사실인양 당론으로 내세웠으면, 그 이후라도 피해를 입을 당사자에게 확인을 해봐야 되지 않냐”고 반문했다.
한편 김 국장에 따르면 한나라당측은 이날 저녁까지 전화, 방문, 자료요청 등 〈남해신문〉측에 사실확인을 요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대변인 행정실 관계자도 “아침에 신문을 보고 급하게 보고를 올렸으며, 오후에도 별도의 사실확인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남해신문은 이날 △김두관 당시 발행인의 사직서 (95년 6월 30일) △95년 6월, 7월 월급명세서 △강명규 신임 발행인 취임사 (95년 7월 14일) 등을 공개했다. 이와 별도로 김두관 행자부 장관은 “남해신문이 남해군정을 날카롭에 비판한 수많은 기사들을 보고, 과연 남해신문이 군청 기관지였는지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