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9일 불법주차관련 민원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강력한 단속을 원하는 쪽이 절반을 넘는다고 밝혔다.
시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인터넷 민원창구인 ‘시장에게 바란다’와 각 구청의 ‘구청장에게 바란다’ 등에서 제기된 불법주차 관련 민원을 분류한 결과 총 5971건중 단속 강화요청이 57.7%였다.
반면에 단속 또는 과태료처분에 대한 항의는 27.5%, 건의안 제시는 8%, 단속 완화 요청은 5.4%에 불과했다.
단속요청 민원을 발생지역별로 살펴보면, 상가밀집·시장지역(28.3%)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일반주택지역(23%), 버스정류장·전철역부근(15.5%), 아파트지역(15.1%), 기사식당주변(7.4%) 등의 순이었다.
이 기간동안 시와 구청은 단속 요청 민원 3446건을 처리를 위해 1만3371여회에 걸쳐 연인원 4만5960명의 단속공무원을 투입, 6만2216건의 과태료 스티커를 발부했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시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인터넷 민원창구인 ‘시장에게 바란다’와 각 구청의 ‘구청장에게 바란다’ 등에서 제기된 불법주차 관련 민원을 분류한 결과 총 5971건중 단속 강화요청이 57.7%였다.
반면에 단속 또는 과태료처분에 대한 항의는 27.5%, 건의안 제시는 8%, 단속 완화 요청은 5.4%에 불과했다.
단속요청 민원을 발생지역별로 살펴보면, 상가밀집·시장지역(28.3%)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일반주택지역(23%), 버스정류장·전철역부근(15.5%), 아파트지역(15.1%), 기사식당주변(7.4%) 등의 순이었다.
이 기간동안 시와 구청은 단속 요청 민원 3446건을 처리를 위해 1만3371여회에 걸쳐 연인원 4만5960명의 단속공무원을 투입, 6만2216건의 과태료 스티커를 발부했다.
/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