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보상금으로 올해내 304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9일 김포시에 따르면 연차별 도시계획도로 개설계획에 따라 올해 중 임시특별회계 운영 등으로 총 15개 노선에 30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총 521개 도시계획시설 중 주민 재산권과 밀접한 149개소를 개설,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추진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다.
김포도시개발사업은 오는 2016년 인구 40만명을 수용하는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2003년 6월까지 ‘선 계획 후 개발’을 기본원칙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시는 김포 1·2·3동과 고촌면, 양촌면 지역을 도시계획 재정비 구역으로 정하고, 기타 면지역에 대해서는 비도시 관리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특히 국토계획법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위임된 사항에 대해 시급히 조례 제정 등을 통해 토지이용에 따른 혼선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조성신 김포시청 도시개발과장은 “김포시는 90년대 말 준농림지역의 개별입지에 의한 공동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건립으로 도시기반시설과 주민 편의시설이 부족했다” 고 밝혔다.
9일 김포시에 따르면 연차별 도시계획도로 개설계획에 따라 올해 중 임시특별회계 운영 등으로 총 15개 노선에 30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총 521개 도시계획시설 중 주민 재산권과 밀접한 149개소를 개설, 도시개발사업과 연계 추진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다.
김포도시개발사업은 오는 2016년 인구 40만명을 수용하는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2003년 6월까지 ‘선 계획 후 개발’을 기본원칙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시는 김포 1·2·3동과 고촌면, 양촌면 지역을 도시계획 재정비 구역으로 정하고, 기타 면지역에 대해서는 비도시 관리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특히 국토계획법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위임된 사항에 대해 시급히 조례 제정 등을 통해 토지이용에 따른 혼선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조성신 김포시청 도시개발과장은 “김포시는 90년대 말 준농림지역의 개별입지에 의한 공동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건립으로 도시기반시설과 주민 편의시설이 부족했다” 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