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알려진 ‘고양 금정굴 사건’ 관련 유족들이 전쟁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 실체를 폭로하고, 전쟁 반대 의지를 밝힌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위원회)’는 26일 일산구청에서 ‘금정굴 학살은 빙산의 일각이었다’는 주제로 한국전쟁 당시 고양·파주지역에서 일어난 민간인학살 관련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민간인 학살 문제 해법 마련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은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시작된 뒤 진행된 공개 토론으로, 전쟁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를 고발하는 등 전쟁 반대 분위기도 조성됐다.
심포지엄에서는 △해방공간에서의 좌우 대립과 우익 테러 △고양·파주지역 민간인학살 실태 △금정굴 학살 규명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어떻게 풀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이 오갔다.
이날 사전행사로 ‘금정굴학살과 2002년 9·14 고양시의회’가 상영돼, 민간인 학살에 대한 고양시의 위령사업을 반대했던 시의회 모습도 공개된다.
성공회대 오유석 교수와 신기철 고양시민회 사무국장, 이춘열 고양금정굴 학살 공대위 집행위원장, 이영일 학살규명 전국사회단체협의회 집행위원장 등이 주제를 발표하며, 이이화 재야 사학자,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김득중 성균관대 교수가 지정 토론을 벌인다.
지난 1993년 9월 고양지역 시민단체와 유족들에 의해 알려진 고양금정굴 학살사건은 학살사실이 알려진 이후 지금까지 위령사업과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 유족들과 시민단체의 특별법 제정 요구가 장기화되고 있다.
고양 금정굴 학살사건은 지난 1993년 9월 유족과 고양지역 시민단체들에 의해 처음 알려진 이후 일산 탄현동 일대 유해 발굴작업으로 학살 사실이 확인됐으나, 지금까지 위령사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공대위측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특별법제정을 촉구하는 무기한 농성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전쟁으로 인한 인권유린 실상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위원회)’는 26일 일산구청에서 ‘금정굴 학살은 빙산의 일각이었다’는 주제로 한국전쟁 당시 고양·파주지역에서 일어난 민간인학살 관련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민간인 학살 문제 해법 마련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은 미국의 이라크 침공이 시작된 뒤 진행된 공개 토론으로, 전쟁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를 고발하는 등 전쟁 반대 분위기도 조성됐다.
심포지엄에서는 △해방공간에서의 좌우 대립과 우익 테러 △고양·파주지역 민간인학살 실태 △금정굴 학살 규명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어떻게 풀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이 오갔다.
이날 사전행사로 ‘금정굴학살과 2002년 9·14 고양시의회’가 상영돼, 민간인 학살에 대한 고양시의 위령사업을 반대했던 시의회 모습도 공개된다.
성공회대 오유석 교수와 신기철 고양시민회 사무국장, 이춘열 고양금정굴 학살 공대위 집행위원장, 이영일 학살규명 전국사회단체협의회 집행위원장 등이 주제를 발표하며, 이이화 재야 사학자,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김득중 성균관대 교수가 지정 토론을 벌인다.
지난 1993년 9월 고양지역 시민단체와 유족들에 의해 알려진 고양금정굴 학살사건은 학살사실이 알려진 이후 지금까지 위령사업과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 유족들과 시민단체의 특별법 제정 요구가 장기화되고 있다.
고양 금정굴 학살사건은 지난 1993년 9월 유족과 고양지역 시민단체들에 의해 처음 알려진 이후 일산 탄현동 일대 유해 발굴작업으로 학살 사실이 확인됐으나, 지금까지 위령사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공대위측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특별법제정을 촉구하는 무기한 농성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전쟁으로 인한 인권유린 실상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