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40%가 주택가 생활도로에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우선주차제 등 주차공간 확보나 차량소통 위주의 정책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보행우선지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정 석 연구위원팀이 발표한 ‘서울시 보행우선지구 제도 운영방안’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1년 시내 교통사고를 분석할 결과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507명중 53.4%인 271명이 보행중 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보행중 사고 비율 53.3%는 같은 해 전국 평균 39.2%(8097명중 3171명)보다 높았으며 2000년의 일본(28.4%), 독일(13.2%), 미국(11.3%), 프랑스(10.4%)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특히 보행중 사망자 271명 가운데 73.8%인 200명은 폭 12m이하의 도로에서 사고를 당했으며 이 가운데 73.5%인 147명은 폭 9m미만의 도로에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폭 12m 이하 도로 보행중 사망자 비율은 95년 48.6%, 97년 55.9%, 2000년 68.1%, 2001년 73.8% 등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폭 13m 이상 도로의 경우 보도와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 확충된 데 반해 12m 이하 주택가 생활도로는 보·차도가 분리되지 않은 데다 보행자 안전보다는 거주자우선주차제 도입 등 차량 소통이나 주차공간 확보 위주로 정책이 추진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정연 관계자는 “서울시가 보행우선지구를 도입, 우선 어린이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지정하고 정부는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보행우선도로나 보행우선지구에서는 차량 최고속도 및 통행제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행 서울시 도시계획조례에서는 ‘시는 시민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 확보를 위해 필요할 경우 도시계획에 따라 보행우선지구를 지정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이에 따라 거주자우선주차제 등 주차공간 확보나 차량소통 위주의 정책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보행우선지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 정 석 연구위원팀이 발표한 ‘서울시 보행우선지구 제도 운영방안’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1년 시내 교통사고를 분석할 결과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507명중 53.4%인 271명이 보행중 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보행중 사고 비율 53.3%는 같은 해 전국 평균 39.2%(8097명중 3171명)보다 높았으며 2000년의 일본(28.4%), 독일(13.2%), 미국(11.3%), 프랑스(10.4%) 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특히 보행중 사망자 271명 가운데 73.8%인 200명은 폭 12m이하의 도로에서 사고를 당했으며 이 가운데 73.5%인 147명은 폭 9m미만의 도로에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집계됐다.
폭 12m 이하 도로 보행중 사망자 비율은 95년 48.6%, 97년 55.9%, 2000년 68.1%, 2001년 73.8% 등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폭 13m 이상 도로의 경우 보도와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 확충된 데 반해 12m 이하 주택가 생활도로는 보·차도가 분리되지 않은 데다 보행자 안전보다는 거주자우선주차제 도입 등 차량 소통이나 주차공간 확보 위주로 정책이 추진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정연 관계자는 “서울시가 보행우선지구를 도입, 우선 어린이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지정하고 정부는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보행우선도로나 보행우선지구에서는 차량 최고속도 및 통행제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행 서울시 도시계획조례에서는 ‘시는 시민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 확보를 위해 필요할 경우 도시계획에 따라 보행우선지구를 지정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윤영철 기자 ycyu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