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미국-중국간 베이징 회담이 23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앞서 3자 회담 중국측 대표인 푸잉(傅瑩) 외교부 아주국장은 22일 저녁 베이징 모처에서 북한의 리근 외무성 부국장 등 북측 대표단을 초청, 만찬을 함께 하며 회담의 주요 일정 및 의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잉 국장은 또 23일 미국측 대표인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를 비롯한 미측 대표단을 모처로 초청해 조찬 회동을 가졌다.
3국은 양자 협의 후 3자 회담을 갖고 작년 10월 이후 중단됐던 북핵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에 착수했다. 미측은 “북핵의 완전한 폐기와 한일 양국의 대화 참여”를, 북측은 “불가침조약 등 체제보장과 대북 적대정책 포기” 등을 주장하며 팽팽히 맞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대화가 처음 시작하니 잘 될 것으로 본다”며 특히 중국의 역할을 기대했다. 정부는 3자 회담의 진행상황 파악 및 미국과의 수시협의를 위해 외교부 이정관 북미1과장을 베이징에 파견했다.
앞서 백악관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포함될 수 있도록 추구할 것이라고 22일 밝혔다.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베이징 회담과정을 통해 초반에 일본과 한국이 함께 참석하도록 추진할 것이며, 양국은 아주 긴밀하게 모든 정보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켈리 차관보와 중국을 방문중인 조명록 북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이 극비리에 회동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외신종합=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앞서 3자 회담 중국측 대표인 푸잉(傅瑩) 외교부 아주국장은 22일 저녁 베이징 모처에서 북한의 리근 외무성 부국장 등 북측 대표단을 초청, 만찬을 함께 하며 회담의 주요 일정 및 의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잉 국장은 또 23일 미국측 대표인 제임스 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를 비롯한 미측 대표단을 모처로 초청해 조찬 회동을 가졌다.
3국은 양자 협의 후 3자 회담을 갖고 작년 10월 이후 중단됐던 북핵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에 착수했다. 미측은 “북핵의 완전한 폐기와 한일 양국의 대화 참여”를, 북측은 “불가침조약 등 체제보장과 대북 적대정책 포기” 등을 주장하며 팽팽히 맞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대화가 처음 시작하니 잘 될 것으로 본다”며 특히 중국의 역할을 기대했다. 정부는 3자 회담의 진행상황 파악 및 미국과의 수시협의를 위해 외교부 이정관 북미1과장을 베이징에 파견했다.
앞서 백악관은 이번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이 포함될 수 있도록 추구할 것이라고 22일 밝혔다.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베이징 회담과정을 통해 초반에 일본과 한국이 함께 참석하도록 추진할 것이며, 양국은 아주 긴밀하게 모든 정보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켈리 차관보와 중국을 방문중인 조명록 북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이 극비리에 회동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외신종합=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