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사업을 두 달여 앞두고 서울시의회 청계천 사업 소관 상임위인 건설위원회 장기만(70) 위원장은 복원사업에 따른 문제점보다는 협력 위주의 의정활동을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29일 임시회 폐회에 앞서 “서울시의 교통정책이 청계천 복원과 맞물려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며 “관련 지역인 도봉 강북구에서 진행중인 버스중앙차로제와 간지선제 등도 주민 홍보를 통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청계천 복원과 맞물려 복합적으로 추진되는 시 교통정책을 옹호했다.
특히 장 위원장은 “청계천 복원을 계기로 시작된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은 도심내 진입차량에 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안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버스차로제나 혼잡통행료 징수는 서울시 교통체계를 대중교통에 맞추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중앙버스차로제는 이미 착수단계에 들어섰고, 혼잡통행료 징수 문제는 조사연구 작업이 마무리되는데로 추진할 예정이다.”
장 위원장이 밝힌 서울시 종합 교통대책은 도심 도로망을 대중교통에 맞는 방식으로 재조정한다는데 있다.
장 위원장은 “도로가 사람을 막아서는 안된다. 서울시청 앞 광장 공원 조성계획도 마찬가지다. 차량 중심의 도로정책은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 위원장은 “경찰청 협의만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삭감했던 광장 조성 사업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사업이 곧 착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의회는 서울시청앞 광장 조성 사업예산을 교통정체 등의 이유로 전액삭감한바 있다.
오는 5월20일부터 열리는 임시에서 장 위원장은 매년 구멍이 뚫리는 서울시 수방대책에 대해 구체적인 대책을 촉구할 예정이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장 위원장은 29일 임시회 폐회에 앞서 “서울시의 교통정책이 청계천 복원과 맞물려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며 “관련 지역인 도봉 강북구에서 진행중인 버스중앙차로제와 간지선제 등도 주민 홍보를 통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청계천 복원과 맞물려 복합적으로 추진되는 시 교통정책을 옹호했다.
특히 장 위원장은 “청계천 복원을 계기로 시작된 서울시 교통체계 개편은 도심내 진입차량에 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안까지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버스차로제나 혼잡통행료 징수는 서울시 교통체계를 대중교통에 맞추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중앙버스차로제는 이미 착수단계에 들어섰고, 혼잡통행료 징수 문제는 조사연구 작업이 마무리되는데로 추진할 예정이다.”
장 위원장이 밝힌 서울시 종합 교통대책은 도심 도로망을 대중교통에 맞는 방식으로 재조정한다는데 있다.
장 위원장은 “도로가 사람을 막아서는 안된다. 서울시청 앞 광장 공원 조성계획도 마찬가지다. 차량 중심의 도로정책은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 위원장은 “경찰청 협의만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삭감했던 광장 조성 사업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사업이 곧 착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의회는 서울시청앞 광장 조성 사업예산을 교통정체 등의 이유로 전액삭감한바 있다.
오는 5월20일부터 열리는 임시에서 장 위원장은 매년 구멍이 뚫리는 서울시 수방대책에 대해 구체적인 대책을 촉구할 예정이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