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2일 5∼7층 규모의 중저층 주거단지 조성을 골자로 한‘왕십리뉴타운 개발기본구상안’을 발표했다.
구상안은 시가 당초 1,2,3구역으로 나눠 1구역에 실시하려던 공영개발 방식을 폐기하고 전체를 하나로 묶어 민간개발로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평균 용적률 210% = 구상안에 따르면 왕십리뉴타운 중심지역은 층수를 낮추는 대신 210∼230%의 용적률을 적용해 네모형 아파트단지 가운데 정원을 조성하는 중정형주택이 도입된다.
그리고 청계천복원 및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왕십리부도심개발 등과 연계해 주거, 업무, 상업시설들이 복합된 도심형 공동체가 조성된다.
뉴타운구역 위쪽인 청계천변과 아래쪽 왕십리길에는 중산층 및 장기거주 외국인들이 입주할 수 있는 고층임대주택이 건설되고 세입자와 독신자를 위한 주상복합형·원룸형 임대주택도 들어선다.
◇ 순환재개발 도입 = 시는 뉴타운 중간지역에 있는 시유지 1400평을 시범사업지구로 지정, 100세대이상의 아파트단지를 건설해 재개발지역 주민들을 임시로 입주시키는 순환재개발 방식을 도입한다.
김병일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추진단장은 “전체 4275가구중 3487가구가 세입자인 만큼 순환재개발을 통해 세입자 정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타운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2차선의 마장로는 폭 22.5m의 보행 가로공원(중앙은 차도)으로 바뀐다.
◇ “상업·주거지역 묶어서 개발” = 구상안은 이 일대에서 영업하고 있는 금형공장 등은 도심부적격 업종으로 분류해 시 외곽 이전을 추진하고 벤천기업 등 도심형 산업을 유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왕십리뉴타운지역에는 기계, 금속, 화공 등 1494개의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다.
시는 현재 94%에 달하는 일반주거지역비율을 70%로 낮추고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 비율을 각각 15%으로 높일 계획이다. 시는 또 개발이익이 지역에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역균형방전추진단 관계자는 “7월부터 시행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구청이 재개발구역 지정을 할 수 있다”며 “상업지역 및 준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을 불럭별로 묶어서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해당사자인 주민대표들과 협의를 통해 6월까지 뉴타운기본구상안을 확정짓는다는 계획이지만 지은지 20년이 안된 신축건물이 40%에 달하고 상가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30%이상이 뉴타운을 반대하고 있는 만큼 뉴타운 추진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병일 단장도 “왕십리뉴타운 지역은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지역이다. 주민들이 반대하면 뉴타운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왕십리뉴타운은 성동구 하왕십리동 440번지 일대 10만평에 조성된다. 이 지역은 지난 84년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장기간 건축이 제한되면서 재개발구역이 해제된 상태다.
구상안은 시가 당초 1,2,3구역으로 나눠 1구역에 실시하려던 공영개발 방식을 폐기하고 전체를 하나로 묶어 민간개발로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평균 용적률 210% = 구상안에 따르면 왕십리뉴타운 중심지역은 층수를 낮추는 대신 210∼230%의 용적률을 적용해 네모형 아파트단지 가운데 정원을 조성하는 중정형주택이 도입된다.
그리고 청계천복원 및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왕십리부도심개발 등과 연계해 주거, 업무, 상업시설들이 복합된 도심형 공동체가 조성된다.
뉴타운구역 위쪽인 청계천변과 아래쪽 왕십리길에는 중산층 및 장기거주 외국인들이 입주할 수 있는 고층임대주택이 건설되고 세입자와 독신자를 위한 주상복합형·원룸형 임대주택도 들어선다.
◇ 순환재개발 도입 = 시는 뉴타운 중간지역에 있는 시유지 1400평을 시범사업지구로 지정, 100세대이상의 아파트단지를 건설해 재개발지역 주민들을 임시로 입주시키는 순환재개발 방식을 도입한다.
김병일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추진단장은 “전체 4275가구중 3487가구가 세입자인 만큼 순환재개발을 통해 세입자 정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타운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2차선의 마장로는 폭 22.5m의 보행 가로공원(중앙은 차도)으로 바뀐다.
◇ “상업·주거지역 묶어서 개발” = 구상안은 이 일대에서 영업하고 있는 금형공장 등은 도심부적격 업종으로 분류해 시 외곽 이전을 추진하고 벤천기업 등 도심형 산업을 유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왕십리뉴타운지역에는 기계, 금속, 화공 등 1494개의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다.
시는 현재 94%에 달하는 일반주거지역비율을 70%로 낮추고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 비율을 각각 15%으로 높일 계획이다. 시는 또 개발이익이 지역에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지역균형방전추진단 관계자는 “7월부터 시행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구청이 재개발구역 지정을 할 수 있다”며 “상업지역 및 준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을 불럭별로 묶어서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해당사자인 주민대표들과 협의를 통해 6월까지 뉴타운기본구상안을 확정짓는다는 계획이지만 지은지 20년이 안된 신축건물이 40%에 달하고 상가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30%이상이 뉴타운을 반대하고 있는 만큼 뉴타운 추진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병일 단장도 “왕십리뉴타운 지역은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지역이다. 주민들이 반대하면 뉴타운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왕십리뉴타운은 성동구 하왕십리동 440번지 일대 10만평에 조성된다. 이 지역은 지난 84년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장기간 건축이 제한되면서 재개발구역이 해제된 상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