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언론정책에 대한 한나라당의 불만과 비판이 커지고 있다.
지난번 이창동 문광부 장관의 언론취재 방침에 이어, 27일 정부가 부처 공보관회의에서 ‘언론취재 시스템 개선방안’을 확정하자 ‘정부의 언론 길들이기’라는 당내외 반발이 더 거세진 것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신보도지침’의 전 부처 확대”라며 당 차원의 대책마련에 나섰다.
김영일 사무총장은 28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방문취재를 금지하고 브리핑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불러주는데로 받아적으라는 것”이라며 “불리한 정보를 철저히 감추고 언론 비판 기능을 말살하려는 끔찍한 의도”라고 지적했다.
박종희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어제 회의 자료의 대부분이 대언론 소송에 관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오보와의 전쟁’ 선언을 넘어 ‘대언론 선전포고령’”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일을 숨기기 위해 취재를 제한하면 우리 공직사회도 고인물이 썩듯이 부패할 것”이라며 “신보도지침을 즉각 철회하고 언론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지난번 이창동 문광부 장관의 언론취재 방침에 이어, 27일 정부가 부처 공보관회의에서 ‘언론취재 시스템 개선방안’을 확정하자 ‘정부의 언론 길들이기’라는 당내외 반발이 더 거세진 것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신보도지침’의 전 부처 확대”라며 당 차원의 대책마련에 나섰다.
김영일 사무총장은 28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방문취재를 금지하고 브리핑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불러주는데로 받아적으라는 것”이라며 “불리한 정보를 철저히 감추고 언론 비판 기능을 말살하려는 끔찍한 의도”라고 지적했다.
박종희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어제 회의 자료의 대부분이 대언론 소송에 관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오보와의 전쟁’ 선언을 넘어 ‘대언론 선전포고령’”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국민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일을 숨기기 위해 취재를 제한하면 우리 공직사회도 고인물이 썩듯이 부패할 것”이라며 “신보도지침을 즉각 철회하고 언론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