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버스 억제 통해 교통정체 해소”
청계천 복원사업, 도봉·미아로 중앙차로제 등 서울시 교통정책이 대중버스 중심으로 개편되는 가운데 조성대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이 버스노선 감소론을 주장해 주목됐다.
조 위원장은 대중 버스노선의 경우 주거지역에서 지하철역까지 연결하는 마을버스로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도시의 끝과 끝을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버스는 시내 진입이 어려워 세계적으로 지하철 이용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조 위원장은 “서울시가 중앙차로제나 굴절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데, 버스를 위한 교통정책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굴절버스의 경우 도로의 수명 단축이나 교통사고 등의 위험이 있고, 추가 정체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버스를 통해 교통정체를 해결하려는 발상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조 위원장이 지적하는 환경과 경제성을 동시에 살린 교통정책은 역시 지하철이다. 2기 지하철까지 건설된 시점에서 대중교통 노선 부족은 설득력이 없다는 것.
지하철 활용방안은 20년 넘게 물류와 교통문제를 체험해 온 조 위원장이 선택한 교통대책안이다.
“낮 시간대에는 버스에 3∼4명이 타고 가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고 환경문제도 일으킬 소지가 있다.” 특히 승용차의 도심 진입에 대해서는 시민의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승용차의 도심진입을 억제하고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영차고제 등의 조기 시행도 조 위원장이 내세운 방안중 하나다.
그러나 조 위원장의 교통대책은 장기적 대책에 그쳐, 서울시의 교통정책과 엇박자를 일으키는 부분도 있다.
서울시는 이미 중앙차로제와 굴절버스 도입, 심야버스 확대 등을 검토하거나 시행하고 있어 대중버스를 통한 승용차 진입억제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위원장은 위성도시에서 진입하는 승용차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공영차고지를 주요 간선도로변에 설치한다는 안을 제시했지만, 예산확보와 민원 등의 어려움으로 실현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조 위원장은 “버스를 줄이고 지하철 이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교통정책도 변해야 하지만, 시민들의 교통의식도 장기적으로 필수 요건”이라고 지적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청계천 복원사업, 도봉·미아로 중앙차로제 등 서울시 교통정책이 대중버스 중심으로 개편되는 가운데 조성대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이 버스노선 감소론을 주장해 주목됐다.
조 위원장은 대중 버스노선의 경우 주거지역에서 지하철역까지 연결하는 마을버스로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도시의 끝과 끝을 연결하는 장거리 노선버스는 시내 진입이 어려워 세계적으로 지하철 이용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조 위원장은 “서울시가 중앙차로제나 굴절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데, 버스를 위한 교통정책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굴절버스의 경우 도로의 수명 단축이나 교통사고 등의 위험이 있고, 추가 정체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버스를 통해 교통정체를 해결하려는 발상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조 위원장이 지적하는 환경과 경제성을 동시에 살린 교통정책은 역시 지하철이다. 2기 지하철까지 건설된 시점에서 대중교통 노선 부족은 설득력이 없다는 것.
지하철 활용방안은 20년 넘게 물류와 교통문제를 체험해 온 조 위원장이 선택한 교통대책안이다.
“낮 시간대에는 버스에 3∼4명이 타고 가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고 환경문제도 일으킬 소지가 있다.” 특히 승용차의 도심 진입에 대해서는 시민의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승용차의 도심진입을 억제하고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영차고제 등의 조기 시행도 조 위원장이 내세운 방안중 하나다.
그러나 조 위원장의 교통대책은 장기적 대책에 그쳐, 서울시의 교통정책과 엇박자를 일으키는 부분도 있다.
서울시는 이미 중앙차로제와 굴절버스 도입, 심야버스 확대 등을 검토하거나 시행하고 있어 대중버스를 통한 승용차 진입억제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위원장은 위성도시에서 진입하는 승용차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공영차고지를 주요 간선도로변에 설치한다는 안을 제시했지만, 예산확보와 민원 등의 어려움으로 실현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조 위원장은 “버스를 줄이고 지하철 이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교통정책도 변해야 하지만, 시민들의 교통의식도 장기적으로 필수 요건”이라고 지적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