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상습침수지역 주민에게 지급된 상당수 양수기가 자치구의 관리 소홀로 분실된 것으로 드러났다.
9일 시에 따르면 동대문구는 2001년 물난리 때 주민에게 지급한 양수기 9800여대 가운데 321대를, 중랑구는 5000여대 중 146대를 잃어버리는 등 9개 자치구가 모두 502대를 분실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양수기 대당 가격은 13만1000원으로, 모두 6억5000만원 가량의 예산이 낭비됐다.
이렇게 된 데는 허술한 관리체계가 꼽히고 있다. 현재 각 자치구는 시에서 받은 대부분의 양수기를 침수지역 주민에게 ‘위탁운영’ 형식으로 빌려주고 있지만 이에 대한 관리는 안되고 있어 사실상 무단방치 상태다. 주민들이 이사갈 때 지급받은 양수기를 가지고 가거나 아예 버리고 가는 데도 자치구의 적절한 관리점검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중랑구 김정배 하수과장은 “예전의 경우 이사할 때 전출신고까지 했기 때문에 양수기를 받아놓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전입신고만 하면 돼 입주민들이 그냥 가지고 가거나 버리고 가는 경우가 많다”며 “이에 비해 구와 동사무소 일손은 턱없이 부족해 일일히 점검할 수도 다시 수거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동대문구 하수과 담당자는 “재작년 집중호우 때 만대에 가까운 양수기를 침수피해민에게 주다보니 지급대수는 아는데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나눠줬는지 파악이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말했다.
시에서 파악하고 있는 자치구별 양수기 현황이 사실과 다를 가능성도 제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치구 하수담당은 “동사무소 1∼2명의 인원으로 수백대에 이르는 침수주택 양수기 보유 현황을 직접 확인하기란 불가능하다”며 “상당수의 경우 전화를 걸어 양수기 보유를 확인하지만 솔직히 사실이라고 자신할 수는 없다”고 털어놨다.
지도감독권이 있는 서울시도 책임이 있다고 시인했다. 시 건축과 담당자는 “양수기 지급대상은 가옥당 1대가 원칙이지만 재작년 집중 호우때 경황이 없어 많으면 한 집에 3대씩 지급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주민에게 위탁운영하는 대신 시와 구가 장마전에 주민에게 양수기를 지급했다 가을에 다시 반납받는 방안은 어떻냐”고 묻자 이 담당자는 “자치구의 부족한 인원으로는 어렵다”며 “양수기 일부를 분실하는 것보다 양수기를 지급했다 수거하는 인건비와 보관비가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현재로선 뚜렷한 대책이 없다”고 밝혀 추가 분실이 우려되고 있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9일 시에 따르면 동대문구는 2001년 물난리 때 주민에게 지급한 양수기 9800여대 가운데 321대를, 중랑구는 5000여대 중 146대를 잃어버리는 등 9개 자치구가 모두 502대를 분실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양수기 대당 가격은 13만1000원으로, 모두 6억5000만원 가량의 예산이 낭비됐다.
이렇게 된 데는 허술한 관리체계가 꼽히고 있다. 현재 각 자치구는 시에서 받은 대부분의 양수기를 침수지역 주민에게 ‘위탁운영’ 형식으로 빌려주고 있지만 이에 대한 관리는 안되고 있어 사실상 무단방치 상태다. 주민들이 이사갈 때 지급받은 양수기를 가지고 가거나 아예 버리고 가는 데도 자치구의 적절한 관리점검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중랑구 김정배 하수과장은 “예전의 경우 이사할 때 전출신고까지 했기 때문에 양수기를 받아놓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전입신고만 하면 돼 입주민들이 그냥 가지고 가거나 버리고 가는 경우가 많다”며 “이에 비해 구와 동사무소 일손은 턱없이 부족해 일일히 점검할 수도 다시 수거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동대문구 하수과 담당자는 “재작년 집중호우 때 만대에 가까운 양수기를 침수피해민에게 주다보니 지급대수는 아는데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나눠줬는지 파악이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말했다.
시에서 파악하고 있는 자치구별 양수기 현황이 사실과 다를 가능성도 제기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치구 하수담당은 “동사무소 1∼2명의 인원으로 수백대에 이르는 침수주택 양수기 보유 현황을 직접 확인하기란 불가능하다”며 “상당수의 경우 전화를 걸어 양수기 보유를 확인하지만 솔직히 사실이라고 자신할 수는 없다”고 털어놨다.
지도감독권이 있는 서울시도 책임이 있다고 시인했다. 시 건축과 담당자는 “양수기 지급대상은 가옥당 1대가 원칙이지만 재작년 집중 호우때 경황이 없어 많으면 한 집에 3대씩 지급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주민에게 위탁운영하는 대신 시와 구가 장마전에 주민에게 양수기를 지급했다 가을에 다시 반납받는 방안은 어떻냐”고 묻자 이 담당자는 “자치구의 부족한 인원으로는 어렵다”며 “양수기 일부를 분실하는 것보다 양수기를 지급했다 수거하는 인건비와 보관비가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현재로선 뚜렷한 대책이 없다”고 밝혀 추가 분실이 우려되고 있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