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가 장기적인 안목과 도시기반 시설이 부족한 상태에서 도시계획을 추진해 시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
목포시는 2000년 6월 공업지역인 석현동 일대를 주거지역으로 변경했으나 학교 부지와 도시기반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않고 분양에 나섰다.
신설 예정인 학교는 지난 7일 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뒤늦게 부지를 확보했다.
하지만 주거 지역 한 복판에 위해 시설인 사료공장이 가동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공장이전 계획이 없는 상태다. 이로 인해 만호아파트 사업승인이 반려돼 사업시행자인 근화건설과 목포시가 행정소송을 진행해야 할 상황이다.
특히 이 아파트로부터 20m도 채 안 떨어진 곳에 장례예식장을 허가하면서 입주민과 장례예식장간의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다.
최근 목포시가 추진중인 평화광장 일대 도로공사도 도시계획 잘못으로 도로 곳곳이 차단돼 원활한 교통흐름을 방해하고 있다.
목포시는 대형 유통업체 진출로 교통량이 증가하자 이미 완공된 도로를 뜯어내고 또 다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기반시설이 부족한 도시계획의 표본은 하당 신 도심이다.
상업지역과 공동주택 중심으로 분양된 이 지역은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주·정차 금지구역인 이 지역의 이면도로는 이미 상설 주차장으로 변해 버렸고, 목포시 역시 주·정차 단속에 엄두를 못 내고 있다.
목포시 상동 김 모씨(49)는“시가 땅 팔아먹는데 급급해 도시기반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않아 주차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목포시의회는 잘못 추진된 도시계획 때문에 집단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 시에 종합적인 대책을 요구할 계획이다.
시의회 김대중 의장은“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추진되지 못한 도시계획 때문에 도시 전체가 기형화되고 있다”면서“공무원 중에서 도시계획을 안목 있게 수립할 전문가를 양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목포시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주민공청회나 의회 의견 청취 등 모든 행정 절차를 밟았기 때문에 시만 비난하는 건 무리”라고 반박했다.
목포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목포시는 2000년 6월 공업지역인 석현동 일대를 주거지역으로 변경했으나 학교 부지와 도시기반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않고 분양에 나섰다.
신설 예정인 학교는 지난 7일 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뒤늦게 부지를 확보했다.
하지만 주거 지역 한 복판에 위해 시설인 사료공장이 가동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공장이전 계획이 없는 상태다. 이로 인해 만호아파트 사업승인이 반려돼 사업시행자인 근화건설과 목포시가 행정소송을 진행해야 할 상황이다.
특히 이 아파트로부터 20m도 채 안 떨어진 곳에 장례예식장을 허가하면서 입주민과 장례예식장간의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다.
최근 목포시가 추진중인 평화광장 일대 도로공사도 도시계획 잘못으로 도로 곳곳이 차단돼 원활한 교통흐름을 방해하고 있다.
목포시는 대형 유통업체 진출로 교통량이 증가하자 이미 완공된 도로를 뜯어내고 또 다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도시기반시설이 부족한 도시계획의 표본은 하당 신 도심이다.
상업지역과 공동주택 중심으로 분양된 이 지역은 주차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주·정차 금지구역인 이 지역의 이면도로는 이미 상설 주차장으로 변해 버렸고, 목포시 역시 주·정차 단속에 엄두를 못 내고 있다.
목포시 상동 김 모씨(49)는“시가 땅 팔아먹는데 급급해 도시기반 시설을 충분히 갖추지 않아 주차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목포시의회는 잘못 추진된 도시계획 때문에 집단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 시에 종합적인 대책을 요구할 계획이다.
시의회 김대중 의장은“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추진되지 못한 도시계획 때문에 도시 전체가 기형화되고 있다”면서“공무원 중에서 도시계획을 안목 있게 수립할 전문가를 양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목포시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주민공청회나 의회 의견 청취 등 모든 행정 절차를 밟았기 때문에 시만 비난하는 건 무리”라고 반박했다.
목포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