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소비자들은 위축된 경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지난 분기에
비해서는 소비불안심리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도내 10개 도시 5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달 26일부터 11일간 실
시한 2/4분기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6개월간의 경기전망CSI(소비자동향지수)가 69로 기준치(100)에 크게 못 미쳤다.
생활형편전망CSI(79→86)과 가계수입전망CSI(91→95)도 기준치를 밑돌았으나 세 지수 모두 전 분기에 비해 호전돼 불안심리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소비지출계획CSI는 전분기(102)와 비슷한 103으로, 향후 소비지출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출 내역별로 살펴보면 교육비(122→115) 의료보건비(115→119)는 늘리고 의류비(99→94) 외식비(90→91) 교양·오락·문화비(96→94) 여행비(96→93) 지출은 줄이겠다는 소비자가 많았다.
향후 6개월 내 부동산 구입계획이 있는 가계의 비중은 10%로 전 분기(9%)보다 소폭 상승했다. 구입대상 부동산으로는 아파트(79%→63%)가 다소 하락한 반면, 토지(5%→18%)와 단독주택(5%→10%) 비중은 높아졌다. 승용차 구입계획이 있는 가계 비중도 4%로 전 분기보다 1% 상승했다.
이밖에 물가수준전망CSI는 36에서 55로, 금리수준전망CSI도 101에서 127로 높아졌다.
CSI(Consumer Survey Index)는 가계소비심리와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지수로,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좋게 전망한 소비자가 더 많다는 의미이며 100 이하는 그 반대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비해서는 소비불안심리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도내 10개 도시 5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달 26일부터 11일간 실
시한 2/4분기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6개월간의 경기전망CSI(소비자동향지수)가 69로 기준치(100)에 크게 못 미쳤다.
생활형편전망CSI(79→86)과 가계수입전망CSI(91→95)도 기준치를 밑돌았으나 세 지수 모두 전 분기에 비해 호전돼 불안심리가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소비지출계획CSI는 전분기(102)와 비슷한 103으로, 향후 소비지출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출 내역별로 살펴보면 교육비(122→115) 의료보건비(115→119)는 늘리고 의류비(99→94) 외식비(90→91) 교양·오락·문화비(96→94) 여행비(96→93) 지출은 줄이겠다는 소비자가 많았다.
향후 6개월 내 부동산 구입계획이 있는 가계의 비중은 10%로 전 분기(9%)보다 소폭 상승했다. 구입대상 부동산으로는 아파트(79%→63%)가 다소 하락한 반면, 토지(5%→18%)와 단독주택(5%→10%) 비중은 높아졌다. 승용차 구입계획이 있는 가계 비중도 4%로 전 분기보다 1% 상승했다.
이밖에 물가수준전망CSI는 36에서 55로, 금리수준전망CSI도 101에서 127로 높아졌다.
CSI(Consumer Survey Index)는 가계소비심리와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지수로,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좋게 전망한 소비자가 더 많다는 의미이며 100 이하는 그 반대다.
수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