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주택 건축허가 물량이 지난해 대비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8평 이하 주택의 경우 최고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 소형 평수 건축허가의 물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올들어 5월까지 서울시내 주택 건축허가 물량은 아파트와 연립,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 3만2239가구, 단독과 다가구주택 810가구 등 모두 3만304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7만9909가구의 41.4%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지난해 건설경기 활황으로 전년대비 2.5배 이상 건축허가 물량이 늘어난 것에 비교한다면, 올해 건축 물량이 감소했어도 평년 수준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전반적인 경기 불황으로 시내 주택 건설경기 또한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며 “그러나 시민들이 선호하는 25.7∼49평 규모의 주택은 그나마 건설경기가 꾸준히 이어졌다”고 말했다.
25.7∼49평은 지난해 1만4427가구에서 올해 1만3011가구로 감소폭이 비교적 적었다.
주택 규모별로는 △18평 이하가 지난해 2만5782가구에서 올해 6987가구 △18∼25.7평은 3만7858가구에서 1만2306가구 △50평 이상은 1842가구에서 745가구로 최고 4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
자치구별 건축허가 물량은 지난해의 경우 강서구(3088가구), 강남구(1150가구), 송파구(1068가구), ) 등으로 많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송파구(1151가구), 서초구(629가구), 은평구(584가구), 중랑구(530가구) 등의 순으로 많았다.
상가 등 비주거용 건물도 건축허가 물량이 대폭 감소했다. 올해 5월까지 건축허가 물량은 2750채 520만9831㎡로, 지난해 같은 기간 3535채 632만3632㎡에 비해 동수는 22.2%, 면적은 17.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들어 5월까지 서울시내 주택 건축허가 물량은 아파트와 연립,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 3만2239가구, 단독과 다가구주택 810가구 등 모두 3만304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7만9909가구의 41.4%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지난해 건설경기 활황으로 전년대비 2.5배 이상 건축허가 물량이 늘어난 것에 비교한다면, 올해 건축 물량이 감소했어도 평년 수준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전반적인 경기 불황으로 시내 주택 건설경기 또한 크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며 “그러나 시민들이 선호하는 25.7∼49평 규모의 주택은 그나마 건설경기가 꾸준히 이어졌다”고 말했다.
25.7∼49평은 지난해 1만4427가구에서 올해 1만3011가구로 감소폭이 비교적 적었다.
주택 규모별로는 △18평 이하가 지난해 2만5782가구에서 올해 6987가구 △18∼25.7평은 3만7858가구에서 1만2306가구 △50평 이상은 1842가구에서 745가구로 최고 4분의1 수준으로 줄었다.
자치구별 건축허가 물량은 지난해의 경우 강서구(3088가구), 강남구(1150가구), 송파구(1068가구), ) 등으로 많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송파구(1151가구), 서초구(629가구), 은평구(584가구), 중랑구(530가구) 등의 순으로 많았다.
상가 등 비주거용 건물도 건축허가 물량이 대폭 감소했다. 올해 5월까지 건축허가 물량은 2750채 520만9831㎡로, 지난해 같은 기간 3535채 632만3632㎡에 비해 동수는 22.2%, 면적은 17.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