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이의동 개발계획 저지를 위한 범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18일 수원시 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중앙도시계획심의가 열린 과천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집회를 갖고 도시기본계획안 전면 재작성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날 “2016 도시기본계획이 만들어진 지 얼마되지 않아 도시기본계획을 재작성하는 것은 이의동 행정타운 개발을 위한 것일 뿐 도시의 미래구상과 거리가 멀다”며 “5년도 안돼 재작성하는 이유를 건교부는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의동 개발은 개발이익을 누가 가질 것인가의 문제 그 이하도 이상도 아닌 개발”이라며 “인구 104만의 수원은 과포화상태의 도시로 환경용량이 초과된 고밀도 주거지역으로 전락시키는 도시계획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노건형 수원경실련 사무국장은 “이의동 개발과 관련, 기존 도시기본계획에 정보산업단지로 돼 있었던 것이 2020 도시기본계획안에서 대규모 주택단지로 바뀌었다”며 “이는 부동산투기와 환경파괴, 인구증가만 있을 뿐 삶의 질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는 수원시 도시기본계획안을 제3분과로 회부하고 계획서의 인구, 교통계획 등에 대한 추가설명자료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제3분과에서 자료검토 등 심의를 거쳐 차기 본회의에 상정, 의결하게 된다.
대책위는 이날 “2016 도시기본계획이 만들어진 지 얼마되지 않아 도시기본계획을 재작성하는 것은 이의동 행정타운 개발을 위한 것일 뿐 도시의 미래구상과 거리가 멀다”며 “5년도 안돼 재작성하는 이유를 건교부는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의동 개발은 개발이익을 누가 가질 것인가의 문제 그 이하도 이상도 아닌 개발”이라며 “인구 104만의 수원은 과포화상태의 도시로 환경용량이 초과된 고밀도 주거지역으로 전락시키는 도시계획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노건형 수원경실련 사무국장은 “이의동 개발과 관련, 기존 도시기본계획에 정보산업단지로 돼 있었던 것이 2020 도시기본계획안에서 대규모 주택단지로 바뀌었다”며 “이는 부동산투기와 환경파괴, 인구증가만 있을 뿐 삶의 질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중앙도시계획심의위원회는 수원시 도시기본계획안을 제3분과로 회부하고 계획서의 인구, 교통계획 등에 대한 추가설명자료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제3분과에서 자료검토 등 심의를 거쳐 차기 본회의에 상정, 의결하게 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