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말부터 외교통상부 여권과 및 재외공관 민원담당 공무원들은 전화를 받을 때 실명을 밝히고, 유니폼 및 명찰을 착용하는 등 서비스 개선에 나서게 된다.
외교부는 직원들이 전화를 받지 못한 경우 ‘회신전화’를 하게 하고, 중식 시간에도 창구직원을 배치하는 등 민원인들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기로 했다.
외교부가 29일 마련한 3단계 ‘영사민원 서비스 개선방안’ 가운데 내달 말까지 시행될 ‘즉시 시행’안에 따르면 여권과 민원실은 은행처럼 ‘민원 도우미’를 고용, 민원인을 안내하고 서식견본도 비치하게 된다.
여권발급과 같이 시일이 많이 걸리는 민원에 대해선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이용, 완료일을 알려주는 ‘중간회신 제도’를 관용여권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외교부는 특히 장기적으로 수십억의 예산을 들여 ⓔ-Consular Service(ⓔ-영사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영사민원서비스, 수감자 및 사건사고 데이터베이스 확충 및 재외공관-본부-관계부처간 통합정보관리체제 구축 등 영사민원 서비스를 효율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보화 시스템으로, 영사업무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까지 시행될 ‘단기 시행’ 방안에는 여권과 민원실에 신용카드 사용기기와 복사기, 공중전화, 사진촬영기, 인터넷 PC, 케이블TV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영사 직접면담 제도’와 ‘영사 민원대행 제도’를 도입하도록 돼 있다.
내년 말 목표로 추진되는 ‘중장기 시행 방안’에는 초임 외교관의 연수 직후 영사인턴 근무제 도입, 인터넷 민원신청 및 발급 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김 숙 영사민원개선팀장은 “1년 단위로 여권연장 조치를 받아야 하는 해외병역대상자의 경우 현재 공관에 여권연장을 신청하면 두세달이 걸리고 그동안 여권을 사용할 수 없으나 통합정보관리체제가 구축되면 일주일 내지 열흘로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직원들이 전화를 받지 못한 경우 ‘회신전화’를 하게 하고, 중식 시간에도 창구직원을 배치하는 등 민원인들의 편의를 최대한 고려하기로 했다.
외교부가 29일 마련한 3단계 ‘영사민원 서비스 개선방안’ 가운데 내달 말까지 시행될 ‘즉시 시행’안에 따르면 여권과 민원실은 은행처럼 ‘민원 도우미’를 고용, 민원인을 안내하고 서식견본도 비치하게 된다.
여권발급과 같이 시일이 많이 걸리는 민원에 대해선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이용, 완료일을 알려주는 ‘중간회신 제도’를 관용여권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외교부는 특히 장기적으로 수십억의 예산을 들여 ⓔ-Consular Service(ⓔ-영사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영사민원서비스, 수감자 및 사건사고 데이터베이스 확충 및 재외공관-본부-관계부처간 통합정보관리체제 구축 등 영사민원 서비스를 효율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보화 시스템으로, 영사업무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까지 시행될 ‘단기 시행’ 방안에는 여권과 민원실에 신용카드 사용기기와 복사기, 공중전화, 사진촬영기, 인터넷 PC, 케이블TV 등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영사 직접면담 제도’와 ‘영사 민원대행 제도’를 도입하도록 돼 있다.
내년 말 목표로 추진되는 ‘중장기 시행 방안’에는 초임 외교관의 연수 직후 영사인턴 근무제 도입, 인터넷 민원신청 및 발급 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김 숙 영사민원개선팀장은 “1년 단위로 여권연장 조치를 받아야 하는 해외병역대상자의 경우 현재 공관에 여권연장을 신청하면 두세달이 걸리고 그동안 여권을 사용할 수 없으나 통합정보관리체제가 구축되면 일주일 내지 열흘로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