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1/4분기 음식물쓰레기 처리 현황자료를 보면 종로와 강북 도봉 서대문 마포 강서 영등포 동작 관악 등 9개 자치구가 분리수거율 70%를 밑돌고 있다.
이 가운데 도봉구와 강서구의 경우 단독주택에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가 전혀 안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구 용산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노원 은평 양천 구로 서초 강남 송파 강동 등 14곳은 분리수거율이 100%에 달했고 성동구와 금천구는 각각 91.5%, 96.4%에 이른다.
서울 남부 ㄱ구 관계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분리수거가 잘 되지만 우리구의 경우 단독주택 비율이 높아 수거가 어렵고 주민들의 관심이 낮아 지난 4월에야 시범적으로 4개동에 분리수거를 시작했다”며 “늦어도 내년까지는 단독주택 음식물 분리수거를 완전히 정착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시 관계자는 “아파트가 많은 자치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음식물 분리수거의 수월함이 있어 잘 추진되지만 단독주택이 많은 자치구의 경우 어려움을 극복하고 100% 분리수거를 이뤄내는 곳이 많다”며 “결국 단체장이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느냐 여부가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분리수거 이후 재활용율이 낮은 점도 문제다. 서울시 하루 음식물쓰레기 2500여톤 가운데 1900여톤 75%만이 퇴비와 사료 등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김포매립지에 묻히는 실정이다.
재활용률이 60% 미만에 그치고 있는 자치구는 동대문(54.8%) 중랑(55.1%) 강북(48.7%) 도봉(47.8%) 마포(43.7%) 강서(53.1%) 영등포(53.4%) 동작 (44.7%) 관악(49.6%) 등 9곳에 이르고 있다.
2005년 이후에는 음식물쓰레기 매립이 금지되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ㅇ구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공공처리장을 가지고 있는 자치구의 경우 문제의 심각성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 자치구는 2005년 이후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곳이 없어 관내에 쌓아두는 일도 생길 수 있다”며 “2∼5개구가 함께 이용하는 음식물쓰레기 광역처리장의 건립이 절실하다”고 우려했다.
◇ 광역처리장 추진 현황 = 현재 자체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갖춘 곳은 강동 강남 송파 강서 서대문 도봉구 등 6개 자치구에 불과하다. 그러나 강동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자기구의 음식물쓰레기만 처리하고 있고 시설도 대부분 낡아 향후 수년내에 폐기해야 할 형편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음식물쓰레기 광역처리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순탄치만은 않은 상황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220톤 규모 처리장을 짓겠다고 환경부에 신청서를 제출한 ㅅ구의 경우 사실상 건립을 포기한 상태다. 도시기본설계 변경권을 쥐고 있는 고양시와 경기도가 반대의사를 명백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500톤 규모의 처리장을 관내에 설립하겠다고 나선 ㅇ구도 마찬가지다. 얼마전 환경부에 음식물처리장 건립 신청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해당부지 주민들이 일제히 들고 일어섰다.
ㅇ구 관계자는 “청사진도 세워보지 못한 채 건립 추진 소식이 알려지는 바람에 주민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아 현재 백지화한 상태”라며 “향후 몇 년간은 기존처럼 경기도내 민간처리업체에 음식물쓰레기를 맡겨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ㄱ구와 ㅅ구의 경우 차근차근 추진되고 있는 사례다. 두 자치구 모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뿐 아니라 폐기물 전체를 다룰 수 있는 지하 종합처리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지상에는 주민들의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첨단 공원시설 등 주민편의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ㅇ구 관계자는 “지하1층은 음식물 처리장과 재활용 선별시설·처리장으로, 지하2층은 대규모 주차장으로 만들고 지상층은 모두 공원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예산확보. 시는 광역처리장을 신청한 자치구에 국비와 시비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일단 올 예산이 확정되는 12월말이 돼야 최종 지원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국고 지원의 경우 행자부의 중앙투융자심사와 기획예산처·환경부 등의 국고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이들 부처가 서울의 경우 다른 광역단체보다 시급하지 않다는 판단을 할 경우 내년으로 미뤄질 수가 있다”며 “일단 올해가 안되더라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모두 국고지원을 받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이 가운데 도봉구와 강서구의 경우 단독주택에서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가 전혀 안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구 용산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노원 은평 양천 구로 서초 강남 송파 강동 등 14곳은 분리수거율이 100%에 달했고 성동구와 금천구는 각각 91.5%, 96.4%에 이른다.
서울 남부 ㄱ구 관계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분리수거가 잘 되지만 우리구의 경우 단독주택 비율이 높아 수거가 어렵고 주민들의 관심이 낮아 지난 4월에야 시범적으로 4개동에 분리수거를 시작했다”며 “늦어도 내년까지는 단독주택 음식물 분리수거를 완전히 정착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시 관계자는 “아파트가 많은 자치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음식물 분리수거의 수월함이 있어 잘 추진되지만 단독주택이 많은 자치구의 경우 어려움을 극복하고 100% 분리수거를 이뤄내는 곳이 많다”며 “결국 단체장이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느냐 여부가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분리수거 이후 재활용율이 낮은 점도 문제다. 서울시 하루 음식물쓰레기 2500여톤 가운데 1900여톤 75%만이 퇴비와 사료 등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김포매립지에 묻히는 실정이다.
재활용률이 60% 미만에 그치고 있는 자치구는 동대문(54.8%) 중랑(55.1%) 강북(48.7%) 도봉(47.8%) 마포(43.7%) 강서(53.1%) 영등포(53.4%) 동작 (44.7%) 관악(49.6%) 등 9곳에 이르고 있다.
2005년 이후에는 음식물쓰레기 매립이 금지되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ㅇ구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공공처리장을 가지고 있는 자치구의 경우 문제의 심각성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 자치구는 2005년 이후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곳이 없어 관내에 쌓아두는 일도 생길 수 있다”며 “2∼5개구가 함께 이용하는 음식물쓰레기 광역처리장의 건립이 절실하다”고 우려했다.
◇ 광역처리장 추진 현황 = 현재 자체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갖춘 곳은 강동 강남 송파 강서 서대문 도봉구 등 6개 자치구에 불과하다. 그러나 강동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자기구의 음식물쓰레기만 처리하고 있고 시설도 대부분 낡아 향후 수년내에 폐기해야 할 형편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음식물쓰레기 광역처리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순탄치만은 않은 상황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220톤 규모 처리장을 짓겠다고 환경부에 신청서를 제출한 ㅅ구의 경우 사실상 건립을 포기한 상태다. 도시기본설계 변경권을 쥐고 있는 고양시와 경기도가 반대의사를 명백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500톤 규모의 처리장을 관내에 설립하겠다고 나선 ㅇ구도 마찬가지다. 얼마전 환경부에 음식물처리장 건립 신청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해당부지 주민들이 일제히 들고 일어섰다.
ㅇ구 관계자는 “청사진도 세워보지 못한 채 건립 추진 소식이 알려지는 바람에 주민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아 현재 백지화한 상태”라며 “향후 몇 년간은 기존처럼 경기도내 민간처리업체에 음식물쓰레기를 맡겨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ㄱ구와 ㅅ구의 경우 차근차근 추진되고 있는 사례다. 두 자치구 모두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뿐 아니라 폐기물 전체를 다룰 수 있는 지하 종합처리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지상에는 주민들의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첨단 공원시설 등 주민편의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ㅇ구 관계자는 “지하1층은 음식물 처리장과 재활용 선별시설·처리장으로, 지하2층은 대규모 주차장으로 만들고 지상층은 모두 공원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예산확보. 시는 광역처리장을 신청한 자치구에 국비와 시비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일단 올 예산이 확정되는 12월말이 돼야 최종 지원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국고 지원의 경우 행자부의 중앙투융자심사와 기획예산처·환경부 등의 국고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이들 부처가 서울의 경우 다른 광역단체보다 시급하지 않다는 판단을 할 경우 내년으로 미뤄질 수가 있다”며 “일단 올해가 안되더라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모두 국고지원을 받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