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판교 신도시에 주택 1만가구를 추가 건설키로 하는 등 개발이 본격화 되는 가운데, 판교개발과 관련 갈등을 빚었던 3개 단체가 최근 원칙적 통합을 합의했다.
그동안 판교개발의 추진을 이끌어 왔던 판교개발추진위원장(위원장 김대진·시의원) , 판교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김영진), 판교주민대책협의회(사무국장 이재환) 등 3개 단체가 통합키로 뜻을 모았다.
김대진 위원장은 “3개 단체를 통합하기 위해 외부단체나 외부인사 등과의 관계를 먼저 정리하고 순수 지역주민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방향으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통합원칙을 강조했다.
판교주민대책위원회, 판교주민대책협의회는 이에 대해 내부적인 방향을 정해 추후 다시 만나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큰 이변이 없는 한 통합될 것이라는 게 참석자들과 주변인들의 평가다.
김대진 위원장과 이재환 주민대책위 사무국장은 “통합하는 게 순리”라며 “주민들이 단합해 판교개발에 한목소리를 낼 때 주민의 의견이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는 달리 그동안 쌓인 깊은 감정을 완전히 털어내야 통합 후 내부갈등을 빚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주민들의 최대 관심인 보상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14일 정부와 민주당의 당정협의 결과를 설명하려 개발위원회 사무실을 방문한 허운나 의원에게 주민들은 ‘공시지가 상향조정’을 요구했다.
이성희 낙생농협조합장은 “판교주민들은 27년간 재산권 행사를 못했을 뿐만 아니라 주변토지와 비교해 공시지가가 너무 낮게 책정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호 판교동자치위원장도 “오산·동탄지역도 공시지가가 주변지역과 너무 차이가 커 표준지가 설정시 기존 인근지가를 참고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14일 당정협의회에서는 판교 신도시를 강남의 대체 주거지로 개발하기 위해 판교에 건설될 주택수를 당초 1만9000가구에서 2만9000가구로 늘리고, 이중 6000가구를 국민임대주택으로 건설해 경기 성남 주민에게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 성남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그동안 판교개발의 추진을 이끌어 왔던 판교개발추진위원장(위원장 김대진·시의원) , 판교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김영진), 판교주민대책협의회(사무국장 이재환) 등 3개 단체가 통합키로 뜻을 모았다.
김대진 위원장은 “3개 단체를 통합하기 위해 외부단체나 외부인사 등과의 관계를 먼저 정리하고 순수 지역주민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방향으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통합원칙을 강조했다.
판교주민대책위원회, 판교주민대책협의회는 이에 대해 내부적인 방향을 정해 추후 다시 만나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큰 이변이 없는 한 통합될 것이라는 게 참석자들과 주변인들의 평가다.
김대진 위원장과 이재환 주민대책위 사무국장은 “통합하는 게 순리”라며 “주민들이 단합해 판교개발에 한목소리를 낼 때 주민의 의견이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는 달리 그동안 쌓인 깊은 감정을 완전히 털어내야 통합 후 내부갈등을 빚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주민들의 최대 관심인 보상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14일 정부와 민주당의 당정협의 결과를 설명하려 개발위원회 사무실을 방문한 허운나 의원에게 주민들은 ‘공시지가 상향조정’을 요구했다.
이성희 낙생농협조합장은 “판교주민들은 27년간 재산권 행사를 못했을 뿐만 아니라 주변토지와 비교해 공시지가가 너무 낮게 책정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호 판교동자치위원장도 “오산·동탄지역도 공시지가가 주변지역과 너무 차이가 커 표준지가 설정시 기존 인근지가를 참고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편 14일 당정협의회에서는 판교 신도시를 강남의 대체 주거지로 개발하기 위해 판교에 건설될 주택수를 당초 1만9000가구에서 2만9000가구로 늘리고, 이중 6000가구를 국민임대주택으로 건설해 경기 성남 주민에게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 성남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