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 이라크에 파견될 예정인 2차 정부합동 현지조사단 구성에서는 1차 조사단 때와는 달리 민간 전문가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정부 한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나 2차 조사단에는 1차 조사단에 포함됐던 민간 전문가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1차 조사단에 없었던 행정자치부와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가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파견됐던 1차 조사단은 국방부와 외교통상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제 및 국방관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고 이 가운데 순수 민간 전문가 1명이 포함됐었다.
1차 조사단에 포함됐던 박건영 가톨릭대 교수는 당시 강대영 단장의 보고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 정부 조사단의 보고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이러한 논란을 비껴가기 위해 민간인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내에서는 2차 조사단의 경우, 파병 원칙이 이미 결정된 상황에서 파병 성격과 규모,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만큼 민간 전문가를 제외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 내에서는 전투병과 비전투병, 민간 재건지원단 등을 조합한 몇 가지 파병 방안이 제기돼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23일 정부 한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나 2차 조사단에는 1차 조사단에 포함됐던 민간 전문가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1차 조사단에 없었던 행정자치부와 건설교통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가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말 파견됐던 1차 조사단은 국방부와 외교통상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제 및 국방관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고 이 가운데 순수 민간 전문가 1명이 포함됐었다.
1차 조사단에 포함됐던 박건영 가톨릭대 교수는 당시 강대영 단장의 보고와는 다른 목소리를 내, 정부 조사단의 보고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에는 이러한 논란을 비껴가기 위해 민간인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내에서는 2차 조사단의 경우, 파병 원칙이 이미 결정된 상황에서 파병 성격과 규모,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만큼 민간 전문가를 제외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 내에서는 전투병과 비전투병, 민간 재건지원단 등을 조합한 몇 가지 파병 방안이 제기돼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숙현 기자 shlee@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