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표본채점 결과 인문계 성적은 상승하고 자연계는 소폭 하락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별 난이도에서 큰 차이가 발생, 계열 내에서도 중위권이 두터워지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일선학교의 진학지도에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6일 오후 전체 수능 응시자의 6.2%인 4만3687명의 답안지를 표본 채점해 전체 수험생 성적을 예측한 결과 5개 영역 원점수 총점은 인문계가 작년보다 4.8점 오르고 자연계는 0.7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가채점 결과 = 전체집단의 원점수 예상 평균점수는 인문계가 211.7점, 자연계가 233.6점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인문계 성적이 오른 것은 인문계 수험생이 어려워하는 수리영역이 평이하게 출제됐고 지난해 어려웠던 사회탐구가 쉬웠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자연계는 지난해 쉽게 출제됐던 과학탐구의 난이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상위 50% 예상 평균점수는 인문계가 269.0점으로 지난 해(265.5)보다 3.5점 올라 전체집단보다 상승폭이 작았고, 자연계는 296.0점으로 작년(297.8)보다 1.8점 떨어져 전체집단보다 하락폭이 컸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올 수능에서는 중하위권보다 중상위권 이상의 성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날 오후 이종승 평가원장은 기자회견에서 “표본채점은 수능 성적의 전체 경향을 알려주고 수험생들에게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가늠케 하기 위한 것”이라며 “표본집단 선정의 제약조건과 추정오차로 인해 최종 결과와 차이는 다소 있다”고 말했다.
◆ 진학지도 비상 = 가채점 결과가 알려지자 각 학교에서는 긴장감이 흐르는데 반해 입시학원들은 느긋한 표정이다. 각 학교와 입시학원들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가채점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입시전문가들은 가채점 결과에 대해 “고 3수험생의 점수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재수생은 상위권을 중심으로 점수가 상승하는 재수생 강세현상이 전망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고교 4년제’가 정착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상위권 학생들의 점수가 많이 떨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서 일선고교에서는 이들이 갈 수 있는 대학과 학과를 찾아내는데 주력하는 동시에 논술과 면접에 집중하는 전략을 짜고 있다.
서울 화곡고 이석록 진학부장은 “법대와 의대·약대, 한의대 등 이른바 인기학과는 재수생들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재학생의 경우 최상위권 외에는 입시 지도에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특히 내년 7차 교육과정 개편을 앞두고 재학생들은 심리적으로 불안한 마음이 많기 때문에 ‘하향 안전지원’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중앙학원 김영일 원장은 “올해 입시에서는 총점 성적보다는 영역별 성적의 강·약에 따라 지원 대학 수준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점수대별, 영역별 평균 등을 참고해 자신의 영역별 강·약을 면밀히 검토하여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원장은 “계열 교차 지원을 허용하는 대학들의 경우, 인문계 학생들 중 상당수가 교차 지원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360점 이상 최상위권에 속하는 학생들 중 교차 지원을 허용하는 일부 대학의 의예, 치의예, 한의예과 등에 상당수 인문계 학생들이 지원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영역별 난이도에서 큰 차이가 발생, 계열 내에서도 중위권이 두터워지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일선학교의 진학지도에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6일 오후 전체 수능 응시자의 6.2%인 4만3687명의 답안지를 표본 채점해 전체 수험생 성적을 예측한 결과 5개 영역 원점수 총점은 인문계가 작년보다 4.8점 오르고 자연계는 0.7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가채점 결과 = 전체집단의 원점수 예상 평균점수는 인문계가 211.7점, 자연계가 233.6점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인문계 성적이 오른 것은 인문계 수험생이 어려워하는 수리영역이 평이하게 출제됐고 지난해 어려웠던 사회탐구가 쉬웠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자연계는 지난해 쉽게 출제됐던 과학탐구의 난이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상위 50% 예상 평균점수는 인문계가 269.0점으로 지난 해(265.5)보다 3.5점 올라 전체집단보다 상승폭이 작았고, 자연계는 296.0점으로 작년(297.8)보다 1.8점 떨어져 전체집단보다 하락폭이 컸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올 수능에서는 중하위권보다 중상위권 이상의 성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날 오후 이종승 평가원장은 기자회견에서 “표본채점은 수능 성적의 전체 경향을 알려주고 수험생들에게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가늠케 하기 위한 것”이라며 “표본집단 선정의 제약조건과 추정오차로 인해 최종 결과와 차이는 다소 있다”고 말했다.
◆ 진학지도 비상 = 가채점 결과가 알려지자 각 학교에서는 긴장감이 흐르는데 반해 입시학원들은 느긋한 표정이다. 각 학교와 입시학원들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가채점에서 서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입시전문가들은 가채점 결과에 대해 “고 3수험생의 점수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재수생은 상위권을 중심으로 점수가 상승하는 재수생 강세현상이 전망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고교 4년제’가 정착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상위권 학생들의 점수가 많이 떨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서 일선고교에서는 이들이 갈 수 있는 대학과 학과를 찾아내는데 주력하는 동시에 논술과 면접에 집중하는 전략을 짜고 있다.
서울 화곡고 이석록 진학부장은 “법대와 의대·약대, 한의대 등 이른바 인기학과는 재수생들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재학생의 경우 최상위권 외에는 입시 지도에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특히 내년 7차 교육과정 개편을 앞두고 재학생들은 심리적으로 불안한 마음이 많기 때문에 ‘하향 안전지원’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중앙학원 김영일 원장은 “올해 입시에서는 총점 성적보다는 영역별 성적의 강·약에 따라 지원 대학 수준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점수대별, 영역별 평균 등을 참고해 자신의 영역별 강·약을 면밀히 검토하여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원장은 “계열 교차 지원을 허용하는 대학들의 경우, 인문계 학생들 중 상당수가 교차 지원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360점 이상 최상위권에 속하는 학생들 중 교차 지원을 허용하는 일부 대학의 의예, 치의예, 한의예과 등에 상당수 인문계 학생들이 지원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