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련 방향에 대해 제동을 걸며 올해 본격적으로 논의되어 온 ‘새학생운동’에 대한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2004년 전국대학 학생회 선거가 중반에 접어들고 있다. 아직까지 전체 대학 선거가 마무리 안돼 쉽게 결론 내리기 힘들지만 선거결과를 놓고 볼 때 운동권은 고전하며 비운동권이 강세를 보이는 현상이다.
26일까지 집계된 학생회 선거 결과를 보면 전체 207개 4년제 대학중 96개 대학(46%)에서 내년 학생회를 이끌어 갈 대표자 당선이 확정됐다.
◆대부분 비운동권 당선= 중간집계 결과 비운동권 후보들이 75개대, 한총련 주류계열19개대, PD계열이 2개 대학에서 당선됐다.
서울지역은 전체 44개 대학중 11개 대학 선거가 종료됐으며 경기대(분)·동국대를 제외한 홍익대·숭실대·세종대·숙명여대·서울여대 등 9개 대학에서 비운동권이 총학생회장에 당선됐다.
집계결과만 볼 때 기존 학생운동 조직과 비교해 학생회 탈 정치화를 들고 나온 비운동권 약진이 돋보인다.
서울지역 대학에서 선거가 종료된 숭실대·홍익대·숙명여대는 비 운동권이 당선됐다. 반운동권을 공개적으로 내세운 한양대·성균관대·한국외대·경북대·전남대 선거에서도 비권 선전가도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전남대 경우 NL(민족해방) 계열 후보가 비운동권 후보를 1차 투표에서 이기지 못해 재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다. PD 계열 대학은 군산대·금오공대에서만 당선됐다.
전북대는‘북한민주화’를 주장해 온 푸른 공동체 21 선대본이 당선됐다.
◆투표율 저조, 미등록 사태 여전= 올 대학 선거에서도 여전히 연장투표, 미등록 사태 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선거결과가 나온 서울대·충남대·전북대·영남대·상주대 등이 연장투표까지 가서야 겨우 50%를 넘겼다.
아예 후보가 없어서 선거 공고를 연장하거나 선거를 연기하는 대학도 속출하고 있다. 포항공대·전주교대·청주대·공주교대·한국기술교대 등이 선거를 미뤘다.
이중 광주교대는 몇 차례 선거공고를 낸 끝에 다음달 12일 선거를 치를 예정이며, 미등록 사태는 교육대서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총련 핵심간부는 “비운동권 약진을 한총련 퇴보로 볼 수 없으며 서울 중심대학 선거가 남아 있어 결과를 단정짓기 힘들다”며 “한총련 규약을 개정해 임시의장제도가 없어져 누가 의장이 될지도 현재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김병량 기자 brkim@naeil.com
26일까지 집계된 학생회 선거 결과를 보면 전체 207개 4년제 대학중 96개 대학(46%)에서 내년 학생회를 이끌어 갈 대표자 당선이 확정됐다.
◆대부분 비운동권 당선= 중간집계 결과 비운동권 후보들이 75개대, 한총련 주류계열19개대, PD계열이 2개 대학에서 당선됐다.
서울지역은 전체 44개 대학중 11개 대학 선거가 종료됐으며 경기대(분)·동국대를 제외한 홍익대·숭실대·세종대·숙명여대·서울여대 등 9개 대학에서 비운동권이 총학생회장에 당선됐다.
집계결과만 볼 때 기존 학생운동 조직과 비교해 학생회 탈 정치화를 들고 나온 비운동권 약진이 돋보인다.
서울지역 대학에서 선거가 종료된 숭실대·홍익대·숙명여대는 비 운동권이 당선됐다. 반운동권을 공개적으로 내세운 한양대·성균관대·한국외대·경북대·전남대 선거에서도 비권 선전가도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전남대 경우 NL(민족해방) 계열 후보가 비운동권 후보를 1차 투표에서 이기지 못해 재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다. PD 계열 대학은 군산대·금오공대에서만 당선됐다.
전북대는‘북한민주화’를 주장해 온 푸른 공동체 21 선대본이 당선됐다.
◆투표율 저조, 미등록 사태 여전= 올 대학 선거에서도 여전히 연장투표, 미등록 사태 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선거결과가 나온 서울대·충남대·전북대·영남대·상주대 등이 연장투표까지 가서야 겨우 50%를 넘겼다.
아예 후보가 없어서 선거 공고를 연장하거나 선거를 연기하는 대학도 속출하고 있다. 포항공대·전주교대·청주대·공주교대·한국기술교대 등이 선거를 미뤘다.
이중 광주교대는 몇 차례 선거공고를 낸 끝에 다음달 12일 선거를 치를 예정이며, 미등록 사태는 교육대서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다.
한총련 핵심간부는 “비운동권 약진을 한총련 퇴보로 볼 수 없으며 서울 중심대학 선거가 남아 있어 결과를 단정짓기 힘들다”며 “한총련 규약을 개정해 임시의장제도가 없어져 누가 의장이 될지도 현재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김병량 기자 br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