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교통신호체계가 버스 중심으로 바뀐다. 또 버스업계의 전체 요금수익을 공동관리해 적자노선에 지원한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11일 “버스우선신호제와 수입금공동관리제를 도입해 시민의 교통편의를 높이는 한편 침체되는 버스업계를 살려야 한다”며 “서울시도 57개 버스업계 관계자들과 이같은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시정개발연구원에 따르면 버스우선신호제는 버스전용차로제 주변 신호등 바닥에 버스감지기를 설치해 여러대의 버스가 신호를 기다리고 있을 경우 녹색통과 신호를 평소보다 오래 줌으로써 신호로 인해 버스가 정체되는 것을 막는 제도다.
현재는 사거리 각 방향 도로 바닥에 차량감지기만 설치돼 있어 버스 자가용 가릴 것 없이 신호를 대기하는 차량이 많은 방향에만 녹색 신호를 오래 주고 있다. 버스우선신호제는 내년말 도봉·미아로와 강남대로 등 6개 노선 73.5㎞에 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되면 같이 시행될 전망이다.
시정개발연구원 김경철 대중교통개편지원연구단장은 “버스우선신호제가 도입될 경우 그동안 시민들이 버스 이용에 가장 큰 불만으로 꼽아왔던 배차시간 불규칙 등의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는 업체의 버스요금을 일괄적으로 걷어 버스의 이동거리를 따라 분배하는 ‘수익금공동관리제’도 추진중이다. 시는 현재 버스업계의 끝없는 침체 원인을 몇몇 황금노선을 둘러싸고 벌이는 과당경쟁으로 보고 인기·비인기 노선 가릴 것 없이 시민의 수요가 있는 곳에 버스를 배치하고 이에 따른 요금을 모아 버스의 운송대수와 이동거리에 따라 수익금을 분배할 계획이다.
김경철 단장은 “지난 83년을 기준으로 해마다 50만명 가량이 버스 이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조만간 57개 업체 가운데 수익을 내고 있는 대형 버스업체 5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라며 “버스 업계가 공멸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절실한 시기”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5곳의 대형버스업체들이 순순히 ‘수익금공동관리제’ 도입에 합의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또 다른 난관이다.
시정개발연구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을 주제로 한 ‘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개편’ 공청회를 개최한다.
토론자로는 김종원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신동철 서울시내버스노조위원장, 이한기·문진국 서울시의원, 이용재 중앙대 교수, 민만기 녹색교통 사무처장 등이 참석한다.
/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11일 “버스우선신호제와 수입금공동관리제를 도입해 시민의 교통편의를 높이는 한편 침체되는 버스업계를 살려야 한다”며 “서울시도 57개 버스업계 관계자들과 이같은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시정개발연구원에 따르면 버스우선신호제는 버스전용차로제 주변 신호등 바닥에 버스감지기를 설치해 여러대의 버스가 신호를 기다리고 있을 경우 녹색통과 신호를 평소보다 오래 줌으로써 신호로 인해 버스가 정체되는 것을 막는 제도다.
현재는 사거리 각 방향 도로 바닥에 차량감지기만 설치돼 있어 버스 자가용 가릴 것 없이 신호를 대기하는 차량이 많은 방향에만 녹색 신호를 오래 주고 있다. 버스우선신호제는 내년말 도봉·미아로와 강남대로 등 6개 노선 73.5㎞에 버스전용차로제가 도입되면 같이 시행될 전망이다.
시정개발연구원 김경철 대중교통개편지원연구단장은 “버스우선신호제가 도입될 경우 그동안 시민들이 버스 이용에 가장 큰 불만으로 꼽아왔던 배차시간 불규칙 등의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는 업체의 버스요금을 일괄적으로 걷어 버스의 이동거리를 따라 분배하는 ‘수익금공동관리제’도 추진중이다. 시는 현재 버스업계의 끝없는 침체 원인을 몇몇 황금노선을 둘러싸고 벌이는 과당경쟁으로 보고 인기·비인기 노선 가릴 것 없이 시민의 수요가 있는 곳에 버스를 배치하고 이에 따른 요금을 모아 버스의 운송대수와 이동거리에 따라 수익금을 분배할 계획이다.
김경철 단장은 “지난 83년을 기준으로 해마다 50만명 가량이 버스 이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조만간 57개 업체 가운데 수익을 내고 있는 대형 버스업체 5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라며 “버스 업계가 공멸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절실한 시기”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5곳의 대형버스업체들이 순순히 ‘수익금공동관리제’ 도입에 합의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또 다른 난관이다.
시정개발연구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을 주제로 한 ‘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개편’ 공청회를 개최한다.
토론자로는 김종원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신동철 서울시내버스노조위원장, 이한기·문진국 서울시의원, 이용재 중앙대 교수, 민만기 녹색교통 사무처장 등이 참석한다.
/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