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와 왜 협의 안하나
“국립공원은 불교계의 것이 아니다”
북한산국립공원 관통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공사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국립공원의 경관과 생태계 파괴 △도봉·노원구 지역의 대기오염 악화 △의정부시를 포함한 경기북부권의 교통난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없는 노선인 점 등을 들어 국립공원 우회를 요구해왔다.
도봉산-수락산-불암산 3개의 산을 터널로 이어 뚫는 이 노선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한자 모양 그대로 암(癌)적인 존재로 남을 것’이라는 비난을 감추지 않는다.
또 청와대와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시민 환경단체를 배제한 채 조계종 총무원을 대상으로만 협의를 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이령보존회 조상희 부회장은 “이 문제에 대해 환경단체를 사실상 외면해온 정부는 관련 시민사회단체를 협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일방적으로 관통노선이 강행된다면 북한산국립공원은 그 이름부터 해제되어야 하며 전국적으로 국립공원 입장료 거부운동을 포함한 시민불복종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또 △국민 환경권을 위한 헌법재판 제소 △공사 시공사 불매운동 △불교환경연대 등 스님들의 단식투쟁 등 지금까지의 사회적 연대를 넓혀 사패산 관통터널 저지에 더 많은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공원은 불교계의 것이 아니다”
북한산국립공원 관통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공사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국립공원의 경관과 생태계 파괴 △도봉·노원구 지역의 대기오염 악화 △의정부시를 포함한 경기북부권의 교통난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없는 노선인 점 등을 들어 국립공원 우회를 요구해왔다.
도봉산-수락산-불암산 3개의 산을 터널로 이어 뚫는 이 노선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한자 모양 그대로 암(癌)적인 존재로 남을 것’이라는 비난을 감추지 않는다.
또 청와대와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시민 환경단체를 배제한 채 조계종 총무원을 대상으로만 협의를 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이령보존회 조상희 부회장은 “이 문제에 대해 환경단체를 사실상 외면해온 정부는 관련 시민사회단체를 협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일방적으로 관통노선이 강행된다면 북한산국립공원은 그 이름부터 해제되어야 하며 전국적으로 국립공원 입장료 거부운동을 포함한 시민불복종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또 △국민 환경권을 위한 헌법재판 제소 △공사 시공사 불매운동 △불교환경연대 등 스님들의 단식투쟁 등 지금까지의 사회적 연대를 넓혀 사패산 관통터널 저지에 더 많은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