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7대 총선승리를 위한 대규모 ‘물갈이’ 준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공천작업에 돌입했다.
한나라당은 29일 상임운영위와 운영위원회를 잇달아 열고 공천심사위원장 및 심사위원 인선을 확정했다. 공천심사위원장에는 김문수 의원이 확실시되며 심사위원으로는 홍준표, 이방호, 심규철, 이성헌, 김성조 의원 및 이계경 전 여성신문 대표 등이 포함됐다. 지난 26일 공천심사규정을 확정에 이어 이날 공천위원회 구성이 마무리됨에 따라 당은 이제 본격적인 공천작업에 착수하게 됐다.
이번 공천과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과연 ‘개혁공천’ ‘공천혁명’이라고 불리는 ‘물갈이’ 공천이 이뤄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최 대표는 그동안 기회있을 때마다 “혁명적인 물갈이 없이는 내년 총선승리는 불가능하다”며 대대적인 공천물갈이를 예고해 왔다. 심지어 영남권 50% 물갈이 등이 공공연히 거론되기도 했다. 이재오 총장도 2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5,6공 인사 물갈이’를 주장, 공천 물갈이를 향한 분위기 조성에 앞장섰다. 공천심사위 구성을 볼 때 최 대표의 물갈이 의지가 반영됐다는 평이다. 특히 공천심사위원장에 김문수 의원을 선택한 것은 물갈이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스템’에 의한 물갈이를 주장해 온 최 대표는 이미 확정된 공천규정을 통해 물갈이를 위한 ‘제도’를 마련한 상태다. ‘공직자후보추천규정’에 따르면 현역의원도 여론조사나 자격심사를 통해 공천에서 배제할 수 있도록 했다. 지구당위원장은 공천공모를 위해서는 위원장직을 사퇴해야 하고 선거인단은 일반국민 90%, 당원 10%로 구성했다. 경선과정에서 현역의원이나 지구당 위원장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또 경선 결과 1위로 확정된 후보라도 공천심사위 경선심사 과정에서 금품?향응선거 등 불법선거운동이나 현저한 하자가 드러날 경우 공천에서 탈락시킬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비례대표 후보의 경우 국회의원 유경력자를 ‘원칙적으로’ 배제하기로 했다.
이같은 제도적 기반위에 심사위원장 및 심사위원들을 초?재선 위주로 구성, ‘공천혁명’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물갈이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물갈이 대상으로 거론되는 중진들은 물론 서청원 의원 등 비주류측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벌써 이 총장의 5,6공 물갈이론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해구 상임위원은 29일 오전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지금의 시대정신은 5,6공 논쟁이 아니라 갈등과 부패를 극복하고 국민통합을 이루는 것”이라며 “이런 분열은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은 “5,6공 문제는 의총이든 지구당 위원장 연석회의든 한번은 정리해야 한다”며 “공천절차를 유보할 것”을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서청원 전 대표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최 대표와 정국해법에서 이견을 보여 온 서 전대표는 최 대표와의 일전불사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라 세 규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표가 공천위원에 심규철, 이성헌 의원을 포함시킨 것도 서청원, 김덕룡 의원 등 핵심중진을 배려한 인선이라는 후문이다. 한편 동아일보가 입수해 보도한 당무감사와 여론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보고자료에 따르면 현역 의원들의 경우 30% 이상의 공천 탈락이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남권 의원의 경우 20여명 이상이 물갈이 대상으로 나타났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한나라당은 29일 상임운영위와 운영위원회를 잇달아 열고 공천심사위원장 및 심사위원 인선을 확정했다. 공천심사위원장에는 김문수 의원이 확실시되며 심사위원으로는 홍준표, 이방호, 심규철, 이성헌, 김성조 의원 및 이계경 전 여성신문 대표 등이 포함됐다. 지난 26일 공천심사규정을 확정에 이어 이날 공천위원회 구성이 마무리됨에 따라 당은 이제 본격적인 공천작업에 착수하게 됐다.
이번 공천과정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과연 ‘개혁공천’ ‘공천혁명’이라고 불리는 ‘물갈이’ 공천이 이뤄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최 대표는 그동안 기회있을 때마다 “혁명적인 물갈이 없이는 내년 총선승리는 불가능하다”며 대대적인 공천물갈이를 예고해 왔다. 심지어 영남권 50% 물갈이 등이 공공연히 거론되기도 했다. 이재오 총장도 2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5,6공 인사 물갈이’를 주장, 공천 물갈이를 향한 분위기 조성에 앞장섰다. 공천심사위 구성을 볼 때 최 대표의 물갈이 의지가 반영됐다는 평이다. 특히 공천심사위원장에 김문수 의원을 선택한 것은 물갈이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스템’에 의한 물갈이를 주장해 온 최 대표는 이미 확정된 공천규정을 통해 물갈이를 위한 ‘제도’를 마련한 상태다. ‘공직자후보추천규정’에 따르면 현역의원도 여론조사나 자격심사를 통해 공천에서 배제할 수 있도록 했다. 지구당위원장은 공천공모를 위해서는 위원장직을 사퇴해야 하고 선거인단은 일반국민 90%, 당원 10%로 구성했다. 경선과정에서 현역의원이나 지구당 위원장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또 경선 결과 1위로 확정된 후보라도 공천심사위 경선심사 과정에서 금품?향응선거 등 불법선거운동이나 현저한 하자가 드러날 경우 공천에서 탈락시킬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비례대표 후보의 경우 국회의원 유경력자를 ‘원칙적으로’ 배제하기로 했다.
이같은 제도적 기반위에 심사위원장 및 심사위원들을 초?재선 위주로 구성, ‘공천혁명’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물갈이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물갈이 대상으로 거론되는 중진들은 물론 서청원 의원 등 비주류측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벌써 이 총장의 5,6공 물갈이론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해구 상임위원은 29일 오전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지금의 시대정신은 5,6공 논쟁이 아니라 갈등과 부패를 극복하고 국민통합을 이루는 것”이라며 “이런 분열은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은 “5,6공 문제는 의총이든 지구당 위원장 연석회의든 한번은 정리해야 한다”며 “공천절차를 유보할 것”을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서청원 전 대표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최 대표와 정국해법에서 이견을 보여 온 서 전대표는 최 대표와의 일전불사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에 따라 세 규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표가 공천위원에 심규철, 이성헌 의원을 포함시킨 것도 서청원, 김덕룡 의원 등 핵심중진을 배려한 인선이라는 후문이다. 한편 동아일보가 입수해 보도한 당무감사와 여론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보고자료에 따르면 현역 의원들의 경우 30% 이상의 공천 탈락이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남권 의원의 경우 20여명 이상이 물갈이 대상으로 나타났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