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일반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확정
이달 하반기부터 시행 … 1·2종 66%, 재건축 사실상 어려울 듯
지역내일
2004-01-08
(수정 2004-01-09 오전 6:16:47)
경기도 고양시 일반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작업이 재건축 등 개발을 사실상 억제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경기도는 지난달말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고양시가 승인 신청한 일반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안을 통과시키고 이달 20일께 고시를 거쳐 즉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확정된 세분화 내용에 따르면 전체 고양시내 일반주거지역 557만여평 가운데 1종은 132만여평(23.7%), 2종은 236만여평(42.3%), 3종은 189만여평(34.0%) 규모다.
이는 대단위 재건축 사업이 사실상 어려운 1, 2종이 전체의 66%에 이르는 등 개발을 억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셈이다.
특히 시가 지난 6월 처음 마련한 1종 17.5%, 2종 32.2%, 3종 50.3%는 물론 9월에 수정해 다시한번 승인을 요청한 수정안 1종 14.2%, 2종 13.7%, 3종 72.1%에 비해 1, 2종 비율이 대폭 늘어난 수치다.
시는 지난 6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안을 제출한 이후 재건축 추진 해당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이들 지역 대부분을 3종으로 편입시키는 내용의 수정안을 만들어 지난 9월 도에 승인을 요청한 바 있다.
이번 결정으로 재건축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고양시내 10여곳을 포함, 재건축을 추진할 계획인 지역 대부분이 2종으로 편입돼 당초 계획을 저밀도 개발 쪽으로 전면 수정해야 할 전망이다.
종별 세분화 계획 확정으로 고양시내 일반주거지역 용적률은 기존 300%에서 올해부터 1종 190%(4층이하), 2종 240%(15층 이하), 3종 380%(층수제한 없음)으로 변경되는 등 용적률 제한이 대폭 강화된다.
/고양 장유진 기자 yjchang@naeil.com
경기도는 지난달말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고양시가 승인 신청한 일반주거지역 종별 세분화 안을 통과시키고 이달 20일께 고시를 거쳐 즉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확정된 세분화 내용에 따르면 전체 고양시내 일반주거지역 557만여평 가운데 1종은 132만여평(23.7%), 2종은 236만여평(42.3%), 3종은 189만여평(34.0%) 규모다.
이는 대단위 재건축 사업이 사실상 어려운 1, 2종이 전체의 66%에 이르는 등 개발을 억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셈이다.
특히 시가 지난 6월 처음 마련한 1종 17.5%, 2종 32.2%, 3종 50.3%는 물론 9월에 수정해 다시한번 승인을 요청한 수정안 1종 14.2%, 2종 13.7%, 3종 72.1%에 비해 1, 2종 비율이 대폭 늘어난 수치다.
시는 지난 6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안을 제출한 이후 재건축 추진 해당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이들 지역 대부분을 3종으로 편입시키는 내용의 수정안을 만들어 지난 9월 도에 승인을 요청한 바 있다.
이번 결정으로 재건축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고양시내 10여곳을 포함, 재건축을 추진할 계획인 지역 대부분이 2종으로 편입돼 당초 계획을 저밀도 개발 쪽으로 전면 수정해야 할 전망이다.
종별 세분화 계획 확정으로 고양시내 일반주거지역 용적률은 기존 300%에서 올해부터 1종 190%(4층이하), 2종 240%(15층 이하), 3종 380%(층수제한 없음)으로 변경되는 등 용적률 제한이 대폭 강화된다.
/고양 장유진 기자 yjch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