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의심스러운 국민·주택은행이 합병하면 해당 은행원들의 파업이 불가
피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12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국민·주택은행의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운
운한데 이어, 김상훈 국민은행장이 이날 오후 국민은행노조 이경수 위원장에게 ‘주택은행과의 합
병 불가피성’을 설명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은행권에 파란이 일고 있다.
국민은행노조는 이날 즉시 주택은행과의 합병 움직임에 반대, 밤 7시부터 김 행장의 퇴근을 막고 밤
샘농성에 들어가는 등 집단행동의 수위를 높였다.
은행원들의 반발은 무엇보다 국민·주택은행간의 합병이 ‘시너지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서 비롯되고 있다. 다수의 금융전문가들은 △소매금융 + 도매금융 △큰 우량은행 + 작은 부실은행 △
금융 보험 증권 등 이종업종간 합병 등이 아니라면 시너지 효과가 없는 것이고, ‘소매금융 + 소매금
융’의 형태인 국민·주택은행간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산업노조는 금융전문가들의 다수 의견이 무시된 합병 시도는 “정부가 주도했기 때문
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금융산업노조 이용득 위원장은 “7·11 노정합의 때 ‘2단계 금융개혁에 있어서는 정부 주도의 강제
적 합병은 없다’고 했다”면서 “국민·주택은행 합병은 정부가 합의를 어겼음을 여실히 증명하는
것으로 은행원들의 파업을 유도하는 행위”라고 강력 비난했다.
해당 은행원들은 또 합병에 따른 심각한 고용불안 위기감에 빠져 있다. 두 은행이 통합하면 총자산
157조9000억원, 총수신 121조8000억원의 국내 최대 규모 소매(독점)은행이 나오게 된다. 통합은행의 점
포 수는 1141개, 직원 수는 2만7000명(비정규직 포함)에 달한다.
국민·주택은행은 같은 소매금융 전문은행이기 때문에 같은 지역 점포와 같은 기능의 직원들이 겹치
면 어느 한쪽을 정리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최소한 30% 이상의 인원정리가 불가피
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은행원들은 ‘파업하다 잘리나 통합돼서 잘리나 그게 그거다’라는
자포자기의 심정에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당국은 김대중 대통령이 여러 차례 “연말까지 금융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겠다”고 못 박은
데 따라 시한에 쫓기는 인상을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금융노조 쪽이 “정부가 강제합병을 주도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가 13일까지 지주회사 또는 합병 방식의 통합여부와 통합상대를 은행들이 스스로 결정한 뒤 김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고 귀국하는 14일부터 발표토록 한 것이 시너지 효과가 불투명한 은행간 통
합이라는 ‘악수’로 이어질지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이강연 기자 lkyym@naeil.com
피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12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국민·주택은행의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운
운한데 이어, 김상훈 국민은행장이 이날 오후 국민은행노조 이경수 위원장에게 ‘주택은행과의 합
병 불가피성’을 설명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은행권에 파란이 일고 있다.
국민은행노조는 이날 즉시 주택은행과의 합병 움직임에 반대, 밤 7시부터 김 행장의 퇴근을 막고 밤
샘농성에 들어가는 등 집단행동의 수위를 높였다.
은행원들의 반발은 무엇보다 국민·주택은행간의 합병이 ‘시너지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서 비롯되고 있다. 다수의 금융전문가들은 △소매금융 + 도매금융 △큰 우량은행 + 작은 부실은행 △
금융 보험 증권 등 이종업종간 합병 등이 아니라면 시너지 효과가 없는 것이고, ‘소매금융 + 소매금
융’의 형태인 국민·주택은행간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산업노조는 금융전문가들의 다수 의견이 무시된 합병 시도는 “정부가 주도했기 때문
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금융산업노조 이용득 위원장은 “7·11 노정합의 때 ‘2단계 금융개혁에 있어서는 정부 주도의 강제
적 합병은 없다’고 했다”면서 “국민·주택은행 합병은 정부가 합의를 어겼음을 여실히 증명하는
것으로 은행원들의 파업을 유도하는 행위”라고 강력 비난했다.
해당 은행원들은 또 합병에 따른 심각한 고용불안 위기감에 빠져 있다. 두 은행이 통합하면 총자산
157조9000억원, 총수신 121조8000억원의 국내 최대 규모 소매(독점)은행이 나오게 된다. 통합은행의 점
포 수는 1141개, 직원 수는 2만7000명(비정규직 포함)에 달한다.
국민·주택은행은 같은 소매금융 전문은행이기 때문에 같은 지역 점포와 같은 기능의 직원들이 겹치
면 어느 한쪽을 정리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최소한 30% 이상의 인원정리가 불가피
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은행원들은 ‘파업하다 잘리나 통합돼서 잘리나 그게 그거다’라는
자포자기의 심정에 빠져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당국은 김대중 대통령이 여러 차례 “연말까지 금융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겠다”고 못 박은
데 따라 시한에 쫓기는 인상을 강하게 내비치고 있다. 금융노조 쪽이 “정부가 강제합병을 주도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가 13일까지 지주회사 또는 합병 방식의 통합여부와 통합상대를 은행들이 스스로 결정한 뒤 김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고 귀국하는 14일부터 발표토록 한 것이 시너지 효과가 불투명한 은행간 통
합이라는 ‘악수’로 이어질지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이강연 기자 lkyy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