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총 9,598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목동 지역 고등학교 영어 내신 1등급 비법 중2부터 내신이 시작된다. 중학교 현행시험은 코로나 상황 탓에 모두 객관식이다. 현 중학생들은 주관식 서·논술형의 냉정하고 혹독함을 경험해 보지 못한 셈이다.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영어 주관식은 정확한 스펠로 조건에 맞는 어법과 구문 표현을 통해 바른 글씨체로 답을 써내야 한다. 이 자체만으로도 부담스러운데 배점 또한 높아 등급이 갈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입학 전 서술형 연습은 필수 과제라 할 수 있다. 본원의 영작 수업 예를 들어보자. [1단계 : 실전문제 풀어보기]학습 내용 : 가목적어 it + 목적보어 + 진목적어(to 부정사) 학습30.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We often ignore small changes because they don’t seem to ①matter very much in the moment. If you save a little money now, you’re still not a millionaire. If you study Spanish for an hour tonight, you still haven’t learned the language. We make a few changes, but the results never seem to come ②quickly and so we slide back into our previous routines. The slow pace of transformation also makes it ③easy to break a bad habit. If you eat an unhealthy meal today, the scale doesn’t move much. A single decision is easy to ignore. But when we ④repeat small errors, day after day, by following poor decisions again and again, our small choices add up to bad results. Many missteps eventually lead to a ⑤problem. [2020년 3월 모평 29번]우리는 흔히 작은 변화들이 당장은 크게 중요한 것 같지 않아서 그것들을 무시한다. 지금 돈을 약간 모아도, 여러분은 여전히 백만장자가 아니다. 오늘 밤에 스페인어를 한 시간 동안 공부해도, 여러분은 여전히 그 언어를 익힌 것은 아니다. 우리는 약간의 변화를 만들어 보지만, 그 결과는 결코 빨리 오지 않는 것 같고 그래서 우리는 이전의 일상으로 다시 빠져든다. 변화의 느린 속도는 또한 나쁜 습관을 버리기 쉽게(→어렵게) 만든다. 오늘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어도 저울 눈금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 하나의 결정은 무시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가 잘못된 결정을 반복적으로 따름으로써 작은 오류를 나날이 반복한다면, 우리의 작은 선택들이 모여 좋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낸다. 많은 실수는 결국 문제로 이어진다. [정답 : 3][2단계 : 직접 작문해 보기]* 다음 지문은 2020년3월 전국연합 모의고사 지문 중 발췌한 내용입니다. 직접 작문을 해 보세요. 우리는 약간의 변화를 만들어 보지만, 그 결과는 결코 빨리 오지 않는 것 같고 그래서 우리는 이전의 일상으로 다시 빠져든다. 변화의 느린 속도는 또한 나쁜 습관을 버리기 어렵게 만든다. 오늘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어도 저울 눈금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 [2020년 3월 29번 전국연합 발췌]Tip: 제시문에 ‘~ 하지만, ~ 먹어도’ 등의 ‘양보절’에 해당하는 구문이 있으므로 ‘양보절 접속사 => though, even if 등’의 사용을 생각해 볼 수 있고, 5형식 문장구조는 ‘주어+불완전타동사+목적어+목적보어’인데 특이하게 가목적어 ‘it’을 사용해서 ‘주어+불완전타동사+’it’(가목적어)+목적보어+진목적어‘ 구조로 써야만 하는 ‘불완전 타동사’들이 있는 것에 주의할 것.참고 사용 표현: a few, seem to, slid into, scale[학생 작문 예시 & 첨삭]1. We (1)tried to make (2)a few transformation, but the result is not coming soon.So we slide into previous routines. Also a slow pace of transformation makes it hard (3)to threw away bad habits. Despite eating (4)the unhealthy food, the scale does not move so much. (신서중3. 이 00)[첨삭/점검] (1) 영작 제시문은 늘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 사실을 얘기하는 것이므로 과거시제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tried’를 ‘try’로 바꿔야한다.(2) ‘(a) few’는 항상 복수형을 수식하므로 ‘a few transformations’로 써야한다.(3) ‘to 부정사’는 항상 ‘to’ 뒤에 ‘동사원형’을 써야하므로 ‘to throw’로 바꿔야한다.(4) 정관사 ‘the’는 특정한 명사를 지칭할 때 사용하므로 위의 경우는 어색하다. 2. We (2)made a few changes, but the result (1)seemed not to come fast. So we slide into previous routines. Also, The slow of changes (2)make it (3)us hard to let out of bad habits. Although we eat unhealthy food today, the scal 2021-10-29
- 진명여고 1학년 2학기 영어 중간고사 분석 2021년 10월 7일에 치러진 시험은 총 30문항 중에 선택형 25문항 70점, 서답형 5문항 30점으로 이뤄졌다. 듣기 문제는 객관식 5문제와 서답형 1문제 그리고 서답형 문제 내에 Dictation(받아쓰기) 3문제가 함께 들어있어 1점, 2점, 3점식으로 문장 전체를 쓰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작은 실수라도 있으면 부분 점수 없이 다 틀리게 했다. 서답형 문제는 1학기 시험과 차이는 없었지만 객관식 문제 유형들은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여러 개 고르는 유형으로 조금 바뀌었다. 듣기 내용은 같으므로 내용 숙지만 하면 푸는 데는 큰 문제가 없었다. 어법문제는 총 5문항, 어휘 총 6문항, 독해 9문항으로 비슷한 문제의 개수였으나 이번 시험에서 어법은 정답을 여러 개 고르는 문제였으므로 시간도 더 걸리고 꼼꼼히 보지 않으면 틀렸을 것이다. 하지만 어법, 어휘, 독해는 지문을 꼼꼼히 외웠거나 내용 이해를 해놨을 경우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서술형 4문항들은 듣기 문제 유형처럼 1문항 당 2개의 문제들이 있어 각각 문제당 점수 배점이 달랐고, 부분점수는 없었다. 단답형으로 쓰거나 어법 틀린 것을 고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았으나 1문제씩은 문장 전체를 암기해서 써야 하는 경우는 지문 전체를 완벽히 외워두지 않으면 틀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해석과 단어들이 주어지고 어법에 맞게 조금 변형해서 쓰는 문제였기에 어려운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예전처럼 주어진 단어 제외하고 문장 쓰는 것, 어형 변화 시켜 쓰는 어려운 문제들은 없었다. <예시>서술형 3-2번 <보기>의 단어를 모두 사용하고 <우리말 해석>을 참고하여 밑줄 수에 맞게 배열하시오. 필요한 경우 동사의 어형을 어법에 맞게 배열하시오.<우리말 해석> 언어는 우리가 구체적이도록 허락하며, 이것이 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점이다.<보기> key/us/to/this/specific/play/allow/is/conversation/where/be/a/role<정답> Language allows us to be specific, and this is where conversation plays a key role. <총평> 항상 진명여고에서 가장 어렵고 점수 배점이 컸던 주어진 단어를 제외하고 어형 변화를 통한 문장 쓰기가 없어 이번 시험은 크게 어렵지는 않았으나, 본문과 모의고사를 완전히 외워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시험이었다. 그리고 정답을 여러 개 고르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다 보니 철저한 암기가 안 된 경우 시간이 부족했을 것 같다. 이번 시험에서는 어려운 서술형이 나오지 않았으나 기말고사에서는 출제될 가능성이 높으니 서술형 대비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목동 썬영어 원장 선수현문의 010-3799-5667 2021-10-29
- 2022년 중학교 진학하는 예비 중1 학생을 둔 학부모님께 드리는 국어 학습 방법 제안 쨍하게 상쾌하고 차가운 아침 공기에서 ‘가을이구나~!’하는 생각이 확연히 드는 요즘이다. 이맘때가 되면 학부모님들은 시시각각 형형색색의 다른 옷을 갈아입는 가을의 모습보다도, 이제 곧 학년이 올라갈 텐데도 학습에 아무 긴장감이 없어 보이는 자녀의 모습이 더욱 확실히 눈에 띄실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올라가는 예비 중1 학생을 둔 학부모님들은 더욱 공감하길 것이다.그러나 자녀를 바라볼 때 믿음과 여유를 가지시라는 말씀과 함께 중학생이 되기 전에 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꼭 해야 할 몇 가지 제안을 드릴까 한다. 예비 중1 학부모님의 마음가짐가장 중요하고도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부모님들의 마음가짐이다. 중학교에 첫발을 딛는 예비 중1 자녀들의 학부모님들은 거의 예외 없이 학습에 있어서 학생 본인보다 더 긴장되고 과도한 의욕에 넘쳐있으시곤 한다. 이것이 결과적으로는 자녀에게 독이 될 가능성도 높다. 부모님의 과도한 긴장과 기대가 아이가 가진 능력을 위축시키고 눈치를 보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중학교 시기는 우리 아이의 학습 그릇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그 용량을 확장시키는 과정에 주력해야 할 시기이지, 목표와 결과에 주력할 시기가 아니라고 본다.독서는 모든 과목의 기본국어에만 해당하지 않는 필수 미션이 있다. 독서이다. 단순히 국어 학습 뿐 아니라 모든 과목의 학습을 잘 수행하고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독서’가 필수 중 필수임을 명심하시라. 할 수만 있다면 중학교 1학년은 아예 ‘독서 능력 향상을 위한 시기’로 정하셔도 된다. 가능한 닥치는 대로 ‘읽기’에 주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그러나 요즘은 학부모님들이나 학생들이 서로 바쁘고 시간이 없다. 그 때문에 자칫하면 읽는 척 만하는 ‘가짜 독서’를 하게 될 위험성이 있어 걱정이 되기도 한다. 특히 아이를 학원에 보내는 경우, 학원 선택이 잘못 되면 잘못된 독서 습관이 더 강화되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 그러니 신중한 학원 선택이 중요하다. 어찌됐든 중학교 시기는 즐거운 마음으로 최대한 많은 텍스트를 읽는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길 바란다.국어의 경우 문법에 유의해 공부하기또한 국어학습에서 문법 파트는 수준에 맞춰 전체적으로 공부해 두는 것이 좋다. 국어 문법에 관련해서는 시중에 좋은 교재들이 많이 있다. 핵심 개념 설명이 간결하게 잘 정리 되어 있고, 실전 연습 문제가 약간 들어 있는 얇은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문법 파트는 개념과 실전 문제 연습을 수 없이 반복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어려운 교재로 깊게 공부할 필요는 없다.집중과 휴식의 리듬을 찾아라마지막으로 중학교에 진학하면 공부의 리듬을 확실히 잡아야 한다. 중학생에게 하루 종일 공부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물론, 최상위권 학생들 중에서는 먹고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모든 시간에 공부를 하는 중학생들도 있긴 하다. 필자도 그런 학생을 종종 만난다. 그러나 그런 학생들은 거의 예외 없이 행복하지 않거나 심지어 우울해 보였다. 그 중 십중팔구는 머지않아 질풍노도의 반항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많이 봤다. 인간에게 질풍노도의 시기는 절대 피해 갈 수 없다. 시기가 문제인데, 만약 어른이 되어 그 시기를 겪으면 큰 사고를 치게 되니, 청소년기에 감기처럼 연착륙으로 잘 지나가는 것이 최선이다.아무튼 공부할 것은 많고, 시간은 부족한데...어떻게 해야 할까?그래서 학습 리듬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능력에 따라 1~2시간(또는 3~4시간) 집중 공부 하고 쉬고, 또 집중 공부하고 쉬고. 이런 방식으로 리듬을 맞춰 공부하는 것이다. ‘집중의 힘’은 놀랍다. 중학교 시기는 이 집중력을 기르는 시기라는 점을 명심하시라. 처음에는 쉬는 시간에 신경 쓰지 말고 하루 한 번, 시간이 짧더라도 집중 공부 시간을 규칙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유리나 원장목동 생각의지평 국어논술 학원문의 02-2646-1241 2021-10-29
-
11월에 예비 고1들은 통합과학 미리 챙기셔야 합니다 찬 바람이 부는 11월이 다가오면 따뜻한 옷, 맛있는 음식도 생각이 나지만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지도하는 선생님들에게는 대학입시가 먼저 생각납니다. 올해 수능을 보는 학생들에게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중3에서 고1로 올라갔을 때 가장 부담이 되는 과목은 무엇입니까?” 현재 재학 중인 고등학생들에게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수학이요” 역시 가장 부담되는 과목에 예전이나 지금이나 ‘수학’입니다. “수학 다음으로 부담되는 과목은 무엇입니까?” 두 번째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학생마다 다를 수 있지만 많은 학생들이 “과학이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영어나 국어 일줄 알았는데 상당수 학생들이 과학을 부담스러워 했습니다.그러면 과연, 고1때 배우는 통합과학이 정말로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까요? 교육부의 발표 내용을 보면 중등 내용의 70% 정도를 반영하고 30% 정도만 중학교 때 배우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과서 내용만 보면 그렇게 부담이 될 정도로 어려운 과목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학생들은 과학이 어렵다고 생각할까요?고등학교에서는 1~9 등급까지 상대 평가로 과학 성적을 반영하기 때문에 등급 산출의 변별을 위해 어려운 문제 또는 학생들이 생각하기 까다로운 문제 등을 출제하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수업 시간에 배우는 학습 수준과 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 수준에 많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한마디로 교과서의 예제 문제 정도 풀던 학생들에게 수능형 사고력 문제를 출제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이런 사실들을 현 중3 학생들은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과학탐구 과목을 단순한 암기과목으로 여기고 중학교 때처럼 쉽게 생각한다면 고등학교에 진학 후에 큰 낭패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따라서 예비 고1 학생들은 지금부터라도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교과서를 읽고, 외우고, 평가 문제를 풀고 이런식의 학습으로는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배운 내용에 대하여 ‘왜 그럴까?’, ‘그 다음은 어떻게 될까?’ 등 끊임없는 고민을 하면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교과서에 ‘중력은 극에서 적도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지표면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출처 미래앤 고1통합과학]’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여기서 보통 학생들은 결과론적 학습을 하게 됩니다. 중력은 적도쪽으로 가면 작아지고, 높은 곳에 올라가면 작아진다. 즉 외우게 됩니다. 사고력 중심의 학습은 ‘왜 적도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높은 곳으로 가면 작아질까?’라는 궁금증 속에서 답을 찾습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며 지구와 물체 사이의 거리 제곱에 반비례한다.’ 즉 ‘지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지구는 적도 반지름이 극 반지름보다 큰 타원이므로 적도쪽으로 갈수록 중력이 작아진다.’를 알게 됩니다. 이와 같이 교과서에서 압축하여 설명한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이유와 원리를 탐구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사고력이 증진됩니다.하지만 사고력은 갑자기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 속에서 습관처럼 생기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런 학습이 쉽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학교 선생님의 수업에 집중을 하며 궁금한 내용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되 부족하다고 느껴지면 안산 고등학교의 출제 경향을 잘 파악하고 다년간 학생들을 지도해온 전문 교육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에듀코어학원 교무실장 장광선 2021-10-28
-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내신과 수능의 관계 코로나로 인해서 등교가 쉽지 않고 온라인 매체를 통한 학습이 늘어나면서 학력편차가 심해지고 있다. 더구나 수학과목은 선택과목별로 환산점수, 최저등급 등 다양한 변수가 등장하고 이에 따라 혼란이 가중되고 학습의 부담마저 커진 상황이다. 수학학습의 부담이 커진 만큼 올바른 수학학습에 대한 준비가 되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수학 학습이란? 주어진 문제에 대해 개념으로 식을 만들고 그 식을 계산해 답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이 때 개념을 개념정리를 공식 암기로 오해하거나, 정석이나 교과서등 기본서를 풀이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학생들이 있다. 개념을 확실히 한다는 것은, 본인이 알고 있는 내용, 공식을 실제 문제 풀이에서 언제 쓸 것이냐에 대한 답이다.알고 있는 공식과 내용이 많더라도 그 내용을 언제 쓰는지 모른다면, 시험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수학 공부의 시작은 내가 알고 있는 내용과 식을 언제 쓸 것인가,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에서 시작한다.본인이 알고 있는 내용을 시험장에서 재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수학성적이 올라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그렇다면 계산이란 어떤 과정일까? 계산이란 답을 내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도구로 식에서 답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다. 반복 학습을 통해서 계산의 정확도를 올리고, 효과적인 계산 도구들을 학습함으로서, 정답률을 높이는 훈련을 해야 한다. 기초가 약한 학생들일수록 기본 계산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한다.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문제 해결양이 적고, 수업시간에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기초가 약할수록 계산 연습은 필수다. 상위권 학생들도 계산 연습을 반복해야 시험에서 실수를 줄이고, 시간을 줄여서 킬러문항을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수학공부를 할 때 내신과 수능을 별개로 공부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내신 초점으로만 학습하면 결국 고3 때 모의고사, 수능 성적이 올라가지 않는다. 고2 과정인 수학1 과 수학2 그리고 선택과목인 미적분과 기하, 확률과 통계 과목은 내신뿐만 아니라 수능 문제를 풀 수 있을 만큼의 학습이 필요하다.이 과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려면 가르치는 강사가 내신에서 수능까지의 빈틈없는 계획을 가지고 이끌어 가야한다. 최상위권을 만든 경험과 능력. 입시변화를 경험하고 시험을 예측하는 능력이 필요하고 , 무엇보다도 수능 까지 책임질 수 있는 선생님들과 함께하는 것이 필수다.일성TMS학원 한재후 수학강사 2021-10-28
-
미래형 학교모델 만드는 혁신학교로 지정 1989년 개교한 안산강서고등학교는 안산이 시로 승격한 후 급격히 늘어나는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사립고등학교다. 1991년 1회 졸업생을 시작으로 올해 1월 30회 졸업생까지 약 1만6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고교평준화 전까지 안산 서부지역의 명문사립고로 이름을 날렸으며 평준화 전환 후 2018년 경기도 더 좋은 일반고 운영 우수교 교육감 표창을 받을 정도로 안정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19년부터 혁신학교로 지정받아 2022년까지 혁신학교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학교 알리미를 통해 강서고등학교 교육현황을 알아봤다.학교현황 및 졸업생 진로현황올해 5월 학교알리미 공시 결과 안산강서고 전교생은 866명으로 학년별로 13개 학급씩 편성되어 있다. 학급당 학생 수는 1학년 20.8명, 2학년 22.2명, 3학년 23.6명이다. 학급당 학생 수는 안산 단원구 평균 1학년 22명, 2학년 22.9명, 3학년 23.2명 보다 다소 적은 편이며 경기도 평균보다는 2~4명가량 적다.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는 11.2명으로 안산시 단원구 평균 11.3명보다 0.1명 적다.같은 시기 발표한 졸업생 진로현황을 보면 졸업생 277명 중 4년제 대학에 진학한 학생이 141명으로 50.9%를 차지했으며 전문대학 진학생이 80명으로 28.9%를 차지했다. 이 밖에 17명이 취업을 선택했으며 재수등 기타로 진학한 학생은 39명으로 14.1%로 집계됐다.<표1 참조>미래형 학교모델 만드는 혁신학교 운영민주적 학교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윤리적 생활공동체와 전문적 학습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 학생들이 자기 삶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안산강서고등학교는 2019년부터 혁신학교로 지정받아 혁신학교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학력향상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말하는 학습 동아리’ 활동이 특징적이다. 말하는 학습동아리란 관심 주제별, 과목별 모둠을 구성해 모둠원들이 직접 설명하고 토론한다. 학교내 별도로 만들어진 ‘말하는 공부방’은 4~5명으로 구성된 말하는 학습동아리 활동으로 시끌벅적하다. 각자 공부해온 내용을 구성원들에게 설명하고 궁금한 부분은 서로 토론하며 학습을 이어간다. 국영수등 주요과목 뿐만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네일아트나 취미활동에 관한 수업도 진행된다. 현재 ‘말하는 학습 동아리’에는 5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국제교류와 세계화 교육활동 활발오래된 명문사립학교답게 해외 자매결연 학교와 진행하는 국제교류 프로그램도 안산강서고등학교의 특징이다. 현재 강서고는 호주의 애들레이드 해밀턴고등학교, 일본의 데이쿄중・고등학교 (도쿄 소재), 도쿠시마분리대학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시 소재), 모리오카츄오 고등학교(이와테현 모리오카시 소재), 중국 중국 길림대부속중・고등학교 (길림성 장춘시 소재), 대만 신베이 시립 주웨이고등학교(신베이시 단수이구 소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데이코 중 고등학교 편입생 2년 과정과 데이쿄과학대학 추천입학과 자매교 우선선발 등 유학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다. 또한 전 학년을 대상으로 영어, 일본어, 중국어 말하기 대회를 열어 감명깊게 읽은 책 소개 등 발표대회가 진행된다.다양한 인문, 수학‧과학 교육활동 연중 진행인문사회분야 주제탐구와 논문작성 후 발표하는 ‘인문학탐구대회’, 자기주도 활동을 통해 지역문화와 특성을 파악하는 ‘지리-Day’, 이효석 문학관과 김유정 문학관을 탐방하는 ‘문학기행’ 진행되고 토론방법과 토론대회를 진행하는 ‘와글와글 독서클럽’ 토론대회 판정관으로 참여하는 ‘디벳포올 토론캠프’ 등 다양한 토론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된다.수학과 건축물의 관례를 모형으로 제작하는 ‘스파게티 교량만들기’ 대회가 2학기에 진행되고 과학토론대회, 발명 아이디어 대회, 자유탐구 발표 대회 등도 진행된다.수행평가 비율 국어 60%, 수학‧영어 40%올해 강서고등학교 1학년 1학기 평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수학‧영어‧통합과학‧기술가정은 지필평가 60%, 수행평가 40%, 국어‧과학탐구실험은 지필 40% 수행평가 60%, 통합사회는 지필평가 80%, 수행평가 20%, 한국사는 지필평가 50%, 수행평가 50%로 평가했다.국어 수행평가의 경우 1학기 1권읽기, 진로서평발표, 토론을 위한 글쓰기로 평가가 이뤄졌으며 수학 수행평가는 수학영상제작, 독서 감상문, 발표 및 수업활동으로, 영어는 어휘능력평가와 논술형 평가로 수행평가가 이뤄졌다. <표2 참조> 2021-10-28
-
부천 의치한약수 센터 개관 의치한약수 진학희망자들이 늘고 있다. 과거 극 최상위권 영역이었던 의치한 입시가 최근 들어 학령인구 감소로 상위권 학생들에게도 실질 경쟁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하지만 의치한 입시는 확고하고 빠른 진로 결정과 꾸준한 심화학습은 물론 전략적인 맞춤 입시가 뒷받침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천고등수능내신전문 일킴훈련소입시학원에 예비고1과 예비중3을 대상으로 하는 의치한약수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스타트 라인이 중요한 의치한약수 입시과거 전국 전교 1등 수험생들의 경합 무대였던 의치한 입시가 수능 상위권 자들에게도 열리게 되었다. 계속되는 수험생 감소와 합격에 유리한 전형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의치한약수 입시를 준비하려면 그 시작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의치한약수 입시는 공부만 열심히 한다고 해서 성공하는 일반입시가 아니다. 의치한약수 입시야말로 진로 설정 외에도 취약한 과목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입시 출발점을 일찍이 요구하는 게 입시 현실이다. 따라서 중학교시기부터 준비해야 하며 적어도 예비고1부터는 의치한약수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부천 의치한약수 과정을 개설하는 일킴훈련소입시학원 장민석 원장은 “개원 3년 차로 접어들면서 그동안 중상위권 학생들의 성적향상과 가능성을 최대치로 끌어올렸던 경험과 자신감으로 의치한약수를 목표로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정을 개관하게 되었다. 부천 인천 상위권 학생들이 진로 목표를 분명히 잡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과정이 의치한약수 입시센터의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내신 수능 상위권 가능성에 도전하는 프로그램의치한약수 입시는 전국의 전교 상위권 자들의 싸움이다. 따라서 예비고1부터 의치한 입시전문가가 설계한 입시전략에 따라 수학, 과학, 국어 최상위권 학습은 필수이다. 여기에 전 과목 최상위권 유지가 중요하므로, 선호과목 외에도 부족한 과목에 대한 섬세한 지도와 피드백이 있어야 한다.이를 위해 부천 의치한약수 과정 일킴훈련소입시학원에서는 수능성적 중위권에서 최상위권으로 올린 경험의 수능 전문강사진에 의한 각 과목 담당과 일대일 관리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의치한 입시는 내신/비교과/수능 영역별 1등급 달성을 목표로 절대적 공부 시간 확보가 관건이기 때문이다.여기에 과목별 1등급 목표를 위해 부천 의치한약수 과정은 소수정예 7명 정원제이다. 모든 프로그램 역시 입시 방향에 맞춰 운영된다. 의치한 입시에 필요한 중요 교과 심화학습부터 의치한 전문 학생부 종합관리 또한 학교 수행평가, 세부능력 특기사항 등 집중관리프로그램까지 포함되어 있다.의치한약수 입시, 어떤 학생들이 미리 준비하면 좋은가최상위권 수험생들의 입시라는 의치한 입시를 과연 우리 아이도 도전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개관한 부천 의치한 과정 일킴훈련소입시학원에서는 입시의 흐름과 전망을 놓고 학부모의 상담이 이어지고 있다.의치한 입시 대상은 현재 중학교 상위권자들이다. 여기에 높은 성적대만 믿고 집중 공부를 미루고 있거나 혹은 수학 과학은 좋아하지만, 타 과목 성적이 부족한 경우도 해당한다. 의치한 입시의 외에도 경찰대와 사관학교 등의 수준을 목표로 두는 학생들도 도전하고 있다. 특히 영재고나 과학고 준비 경험이 있는 일반고 진학생들에게 필요한 집중 심화 프로그램도 의치한 과정에서 가능하다.부천 의치한 과정 일킴훈련소입시학원 장 원장은 “사실 의치한 입시 준비가 까다로운 것은 변화하는 교육 이슈를 분석하고 예측하며 최상위권의 학생들에게 적합한 꾸준한 교육 방향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천 의치한 과정은 개별 전략에 따른 전체 프로그램을 학생의 시간 낭비 없이 한 곳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내 유일한 입시과정”라고 말했다. 2021-10-28
- 초등/예비중 학생들은 중등 입학 전 지금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중학교는 대입의 전초기지 임을 잊지 말자_ 대입 시험 성공을 목표로 지금부터 수능과 수능 연계 고교 내신에 강한 학습 유형을 갖추어라!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중학교는 대입의 전초기지임이 틀림없다. 통계적인 근거를 보더라도 중학교 성적과 대입에는 강력한 연계가 존재한다. 한 통계에 따르면 중학교 1학년 성적이 중3까지, 중3 성적이 고1, 그리고 고3까지 90% 이상이 거의 그대로 간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가 바라는 것은 변화이며 역전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의 아이를 그러한 긍정적인 대세 속에 편입 시킬 것인가. 중학교를 가서도 큰 동요 없이, 자신의 노력과 비례하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게 해 주기 위해, 또한 지금부터 중등 3년의 학습 과정이 고교 진학 이후, 대입 시험에 얼만큼의 효율적 연계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게 하기 위해서 과연 지금 무엇을 해 주어야 할까. 고민이 깊어가는 예비중 2학기 이다. 결론은 간단하다. 미리 제대로 잘 준비하는 것. 그럼 무엇을 미리 준비해야 할까?그 첫 번째는 대학 잘 가는 학습력을 갖추기 위한 공부 습관 형성이며, 둘째는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기주도력과 그릿(grit) 그리고 동기부여이며, 세 번째는 지금부터 중1 자유 학기제 까지 자신의 계열과 진로를 설정 하는 것이다.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대학을 잘 가기 위한 입시 영어력과 심화 수학력을 지금부터 대입 시험 정복을 목표로 촉을 세우고 움직이는 것이다.2. 입시를 넘어 세상을 보는 눈 - 이기는 영어! 예비중 필요한 영어 내공을 형성하라!영어공부의 What은 단연 “내공”이다. 어떤 입시라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어내공을 일찌감치 길러 주는 일. 학생의 미래를 위해 이보다 확실한 투자는 찾기 힘들 것이다.영어 내공의 3요소는 역시 어휘, 영어적 어순 직관력, 그리고 구조적 문법과 어법적 지식, 그리고 언어 사고력이다. 어휘란 영어의 근간이며, 말이라는 집을 짓는 벽돌과 같은 존재이다. 영어적 직관력은 모국어가 장착되는 10세 이전에 반복적인 원어적인 노출을 통해서 선 장착 시켜 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1,12세가 되면 모국어가 장착되기 때문에 어순이 다른 언어가 들어오면 모국어 어순 직접 간섭현상이 일어 난다. 그래서 10세 이전 장착이 중요하며, 그 시기에 다양한 방법의 원어 노출을 통해서 영어 어순을 자연스럽게 받아 들여지도록 하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구조적 문법 지식은 특히 한국에서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으로, 원어민이 아닌 학생들의 직관적 한계를 극복시키는 인위적인 영어 수용의 틀로서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능력인 것이다.마지막으로 영어든 국어든 자기주도 학습이든 언어 사고력은 필수이다. 어떤 글을 읽고 논지 파악과 응용 유추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필자의 학원에서 예비중에게 가장 강조하는 것들은 영어 3가지 기둥과 언어사고력을 튼튼히 만들어 주고 중고등 진학해서 대학을 잘 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3. 수학은 무엇보다 심화 해결력을 갖추어야 한다.수학은 개념 2 vs 문제 훈련 8의 비중의 과목이다. 사회는 개념 내용 8 vs 문제 훈련 2 수준의 과목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수학은 개념이 많지 않기에 선행을 빼기가 정말 쉬운 과목이나 고난도 심화 문제를 풀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지금 배운 개념을 어려운 문제까지 깊이 있게 끝까지 풀어보는 훈련이 필요하지 개념+유형 수준의 얕은 문제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 대입이다.결국 우리 평촌 예비중 학생들은 멀리 대입을 목표로 지금 촉을 세우고 대비를 해야 한다.YNS열정과신념리즈 원장 2021-10-28
- 안양에서 일반고등학교 가기! 내년도 일반고 진학을 준비 중인 중3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고교 선택에 관한 부분이다. 안양지역 일반고의 경우, 1단계 학군 내 배정과 2단계 구역 내 배정에서 추첨을 통해 학생들을 모집한다. 이때, 학생들은 1단계와 2단계에서 원하는 고등학교를 1지망부터 순서대로 기입하게 되는데, 안양지역 일반고 중 어떤 학교를 1지망부터 써야 할지 고민이 많다. 이럴 때 찾게 되는 것이 안양지역 일반고에 대한 정보. 하지만, 구체적인 정보를 어디서 얻어야 할지 몰라 주변의 ‘~카더라’에만 의존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안양지역 일반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막막한 고교 선택을 도와줄 정보 제공 길잡이를 소개해본다. 안양의 일반고 배정 방법은?안양에서의 일반고 배정은, 우선 중학교 내신성적(200점)에 따라 고등학교 배정대상자를 선발하고, 이후 1단계 학군 내 배정과 2단계 구역 내 배정에서 고교의 지망 순위대로 추첨하여 배정학교를 발표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학생들은 1단계 학군 내 배정에서 안양권 학군인 안양, 과천, 군포, 의왕에 소재한 일반고 중 5곳을 지망 순위대로 작성하게 되고, 2단계 구역 내 배정에서는 본인이 졸업할 중학교 소재 지역의 일반고를 지망 순위대로 작성하게 된다. 1구역인 안양의 경우, 총 13개의 일반고가 있으며, 남고와 여고가 각각 2개씩 있는 관계로 안양시의 중3들은 총 11개의 일반고를 구역 내 배정에서 작성하면 된다. 그런 다음, 추첨을 통해 일반고 배정이 이뤄진다.학교알리미, 학교설명회 등을 통해 일반고 정보 얻기그렇다면, 일반고 선택을 위한 정보는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 우선, 가장 객관적인 정보는 학교의 주요 정보를 공시하는 ‘학교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다.학교알리미는 초·중등학교 정보공시제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부에서 정한 공시 기준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학교 정보를 공시하도록 한 사이트로, 학교 전반의 주요 정보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학생 수나 교원현황, 위치, 학교시설 같은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 교육과정 편성, 특색프로그램, 동아리, 졸업생 진로현황, 교과별 평가계획 및 학업성취 사항 등 학교의 교육프로그램과 입시 및 진로에 관한 정보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아울러, 교복이나 급식 현황, 학교폭력 실태 같은 교육여건에 대한 정보도 살펴볼 수 있다.안양지역 중학교 교사 김모씨는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자료는 해당 학교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자신에게 맞는 대입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는 학교인지도 알아볼 수 있는 만큼 고교 선택 시 한 번 살펴봤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또한, 일반고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교별로 개최하는 학교설명회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안양지역 일반고들은 10월부터 중3 학생들을 위한 학교설명회를 열어 학교 홍보에 나선다. 학교설명회에서는 해당 학교의 교육환경과 교과과정, 특화된 프로그램 등이 구체적으로 소개된다. 또한, 가장 궁금해하는 전년도 입시실적과 구체적 입시지원 사례도 소개되기 때문에 되도록 참여해 정보를 얻어가는 것이 좋다.코로나로 많은 학교들이 온라인으로 설명회를 진행하거나 유투부 등에 설명회 영상을 올려놓고 있으며, 학교설명회 진행 여부나 일정 등은 학교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해 보면 된다.지역의 교육정보나 평촌학원가 고교 설명회도 참고!안양지역 일반고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지역 정보를 활용해 볼 수도 있다. 안양 내일신문에서 운영하는 지역교육 카페인 ‘평촌에서 대학가기’에는 안양지역 일반고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수록돼 있어 유용하다.또한, 평촌학원가 학원들에서 진행하는 ‘예비고1 설명회’를 통해서도 안양지역 일반고에 대한 정보를 만나볼 수 있다. 이들은 학원 홍보와 함께 고교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우리지역 고교들의 과목별 내신 수준도 함께 살펴볼 수 있어 도움이 되는 면이 있다. 사전 신청자에 한해 참여할 수 있는 만큼 학원들의 설명회 일정을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좋다. 2021-10-28
- 2021학년도 안양 지역 일반고 1학년 1학기 수학 과목 평가 기준 지난 4월 학교 알리미에 공시된 교과별 평가계획에 관한 사항을 집계한 결과 안양 지역 일반고 2021학년도 1학년 1학기 수학과목 지필평가 비율은 60~90%, 수행평가 비율은 10~40%로 학교별로 차이를 보였다. 안양 지역 내 13개 일반고의 수학 과목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봤다.자료 참조: 학교알리미 교과별(학년별) 평가계획에 관한 사항양명여고·인덕원고, 수학 수행평가비율 10%로 낮은 편안양지역 13개 일반계 고등학교 중 올해 고1 1학기 수학 수행평가 비율이 높은 학교는 백영고·부흥고·신성고·평촌고로 나타났다. 이들 학교는 지필평가 60%, 수행평가 40%로 평가했다. 관양고·동안고·안양고의 수행평가 반영비율은 30%, 성문고·안양여고·양명고·충훈고의 수행평가 반영비율은 20% 나타났다.양명여고와 인덕원고로 지필평가 80%, 수행평가 20%로 안양지역 고교 중 수학 수행평가 반영비율이 낮은 학교에 속했다.또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포함, 논술형 평가반영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부흥고로 조사됐다. 부흥고는 지필평가에도 논술형이 일부 출제되어 총 42%를 논술형으로 평가했다. 이어 신성고(40%), 백영고(38%), 성문고(32%) 등이 논술형 평가 반영비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학교알리미 2021년 4월 공시 내용에서 동안고와 평촌고는 논술형평가 반영비율(지필+수행)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논술형평가 반영비율 집계에서 제외했다.학교별 수행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학교별 수행평가 방법 및 평가 기준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백영고는 지필평가 60%, 수행평가 40%로 평가한다. 수행평가 영역은 논술형 2회와 구술형으로 진행되며 논술형은 다항식의 사칙연산과 복소수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고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구술형은 이차방정식에서 판별식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안양고는 지필평가 70%, 수행평가 30%로 평가한다. 수행평가 유형은 논술과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로 주제에 대한 문제해결과정 논술평가, 수학산출물 프로젝트 과정평가, 수학일기 및 수업내용정리 포트폴리오 과정평가로 진행된다.논술평가 세부기준을 살펴보면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연립이차방정식, 절댓값을 포함한 일차부등식, 이차부등식과 이차함수의 관계에 대해 객관식 문항으로 평가하기 힘든 종합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문제를 제시하여 서술형 형식으로 작성하는 능력을 평가한다.수학산출물 프로젝트는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등 수학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 탐구 내용을 만들어 자신의 생각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하고, 수학 일기 및 수업내용 정리, 과정평가는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의 내용과 관련하여 수학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적극적인 발표와 경청으로 수업에 참여, 수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제를 서로 협력하여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안양여고는 지필평가 80%, 수행평가 20%로 평가한다. 논술형 평가비율은 8%로 지필평가에서 이루어진다. 수행평가 20%는 모두 학습과정평가이다. 수업 중 판서한 내용을 노트에 필기한 내용 중 필수적인 개념의 정리가 모두 있는지, 수업 중 제시한 형성평가 문제를 논리적으로 이상 없이 풀어서 답이 나왔는지 등을 평가한다. 양명고는 지필평가 80%, 수행평가 20%로 평가한다. 논술형평가 반영비율은 지필 10%, 수행 20%로 총 30%이다. 수행평가는 나머지정리, 이차방정식,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활용, 이차부등식과 연립이차부등식 등에서 출제한다.양명여고는 지필평가 90%, 수행평가 10%로 평가하며 논술형평가는 수행평가에서만 이루어진다. 논술형 평가의 나머지정리, 인수분해, 복소수,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 등에서 2문항을 출제하여 평가한다.인덕원고는 지필평가 90%, 수행평가 10%의 비율로 평가한다.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포함 논술형 평가 반영비율은 지필평가에서 1차와 2차 각각 4.5%씩 총 9%를 논술형으로 평가한다. 수행평가는 포트폴리오로만 평가한다.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