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미' 검색결과 총 827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안양지역 학생 수 가장 많은 학교는? 지난 8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 학생 수는 532만3075명으로 전년(534만6874명) 대비 2만3799명(0.4%↓) 감소했다.세부적으로는 초등학생은 2만1376명(0.8%↓) 감소했고, 중학생은 3만4924명(2.7%↑) 증가했다, 고등학생은 3만7347명(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렇다면 우리 안양 지역 초·중·고 학생수는 몇 명이며, 지역 내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일까? 안양교육통계(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와 학교알리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봤다.참고자료: 안양교육통계(안양과천교육지원청), 2020년 교육기본통계(교육부), 학교알리미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0년 학교 현황 자료와 학교알리미 자료를 활용해 안양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을 조사했다. 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초·중·고 학생 수 현황 집계 기준일자는 2020년 3월 1일이며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학년별·학급별 학생수는 2021년 5월 공시된 내용을 참고했다. 고등학교는 일반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안양시 학생 수 많은 초·중·고는 귀인초·평촌중·평촌고안양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41개교로 모두 공립이다. 41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귀인초로 학생 수는 1662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평촌초 1266명, 호성초 1053명 순이다. 반대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달안초이며 전교생이 191명이다. 안양호암초(205명), 나눔초(277명), 안양관악초(277명), 희성초(285명) 등도 학생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안양과천교육지원청 자료 결과 2021년 3월 1일 기준 안양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6697명이며 학급수는 1043학급으로 안양시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5.6명으로 나타났다.안양시 조사 대상 중학교는 총 24개교이고 그중 사립은 근명중, 성문중, 신성중, 안양여자중 등 4개 중학교이다. 24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평촌중으로 학생 수는 1266명으로 지난해 1239명 보다 27명이 증가했다. 그다음으로는 귀인중 1175명, 안양부흥중 1119명, 범계중 913명, 연현중 815명, 부림중 809명, 신성중 805명 순이다. 반면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안양서중으로 213명이다.안양과천교육지원청 자료 결과 2021년 3월 1일 기준 안양시 전체 중학생 수는 1만4943명, 학급수는 504학급이며 안양시 중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9.6명으로 나타났다.안양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일반고 총 13개교이며 백영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여고, 양명고, 양명여고 등 사립이 6개 학교이고 공립이 7개 학교이다.13개 학교중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평촌고로 1083명이다. 다음으로는 부흥고 1030명, 양명고 1015명, 동안고 1010명 순이다.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일반고는 안양여고로 전교생이 583명이다.안양시 일반고 학생수는 총 1만1638명으로 지난 2020년(1만2281명) 보다 643(5.2%)명 감소했고, 2019년(1만2991명) 보다 1353명(10.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는 안양시 동안구 20.4명, 만안구 20.1명으로 경기도(19.0명)와 전국(17.8명) 보다 많았다. 중학교는 동안구의 경우 16.4명으로 경기도(16.2명)와 전국(13.9명) 보다 많고 만안구의 경우 15.6명으로 경기도보다 적고 전국보다 많았다. 전체 학생 수(0.9%↓) 감소, 중학교 학생 수(2.7%↑) 증가한편 지난 8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 교육기본통계 결과에 따르면 전체 유·초·중등학교 수는 2만0771개교로 전년(2만740개교) 대비 31개교(0.1%↑) 증가했고, 이 중 초·중‧고교 수는 1만1777개교로 전년(1만1710개교) 대비 67개교(0.6%↑) 증가했다.초등학교는 6157개교로 37개교(0.6%↑), 중학교는 3245개교로 22개교(0.7%↑), 고등학교는 2375개교로 8개교(0.3%↑), 특수학교, 고등공민학교, 고등기술학교, 각종학교, 방송통신중·고등학교 등 기타학교는 335개교로 10개교(3.1%↑) 증가하였고, 유치원은 8659개원으로 46개원(0.5%↓)이 감소했다.전체 유·초·중등 학생 수는 595만7087명으로 전년(601만6명) 대비 5만2919명(0.9%↓) 감소하였고, 초·중‧고교 학생 수는 532만3075명으로 전년(534만6874명) 대비 2만3799명(0.4%↓) 감소했다.유치원은 58만2572명으로 2만9966명(4.9%↓) 감소, 초등학교는 267만2340명으로 2만1376명(0.8%↓) 감소, 중학교는 1,35만770명으로 3만4924명(2.7%↑) 증가, 고등학교는 129만9965명으로 3만7347명(2.8%↓) 감소, 기타학교는 5만1440명으로 846명(1.7%↑) 증가했다.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10.9명, 초등학교 14.0명, 중학교 11.9명, 고등학교 9.9명으로 전년(유: 11.4명, 초: 14.2명, 중: 11.8명, 고: 10.1명) 대비 유치원 0.5명 감소, 초등학교 0.2명 감소, 중학교 0.1명 증가, 고등학교 0.2명 감소했다.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16.1명, 초등학교 21.5명, 중학교 25.4명, 고등학교 23.0명으로 전년(유: 16.7명, 초: 21.8명, 중: 25.2명, 고: 23.4명) 대비 유치원 0.6명 감소, 초등학교 0.3명 감소, 중학교 0.2명 증가, 고등학교는 0.4명 감소했다.<표1 2021 안양시 초등학교 학생수 현황> (단위: 개, 명)※ 기준일자: 2021년 5월 기준〈학교급별 교원 1인당 학생 수〉전체 학생 수 2021-10-14
-
학교알리미를 통해 우리 지역 고교 살펴보기_양명고등학교 양명고등학교(이하, 양명고)는 지난 1974년 개교한 안양의 대표적 사립고교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학교로, ‘천하의 영재를 모아 교양과 지식을 겸비한 인재를 배양하여 국가와 민족의 유능한 역군을 기른다’는 건학이념을 실천해 오고 있다.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교육, 질문하고 문제를 찾는 교육, 비판하고 성찰하는 사고 교육을 목표로 인재 육성에 나선다.# 학교현황 및 졸업생의 진로현황올해 2월 졸업자의 70.1%가 대학 진학, 58.1%는 4년제 대학 진학학교알리미에 공시된 올해 5월 자료를 보면, 양명고는 전체 39개 학급, 1015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은 13개 학급 310명, 2학년은 13개 학급 335명, 3학년은 13개 학급 370명으로 집계됐다. 이 결과를 통해 양명고의 학급당 학생 수는 1학년은 23.8명, 2학년은 25.8명, 3학년은 28.2명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1학년 기준 안양 만안구의 평균인 23명보다 많은 수준이다. 아울러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3.5명으로 안양시 만안구 평균인 11.8명보다 역시 높다.학교알리미가 올해 5월 공시한 졸업생 진로 현황에서는 올해 2월 졸업자의 70.1%가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월 졸업생 수가 351명인 것을 감안하면 246명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체의 10.5%는 전문대학에, 58.1%는 4년제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1.4%는 국외 진학으로 발표됐다. 전체의 29.9%는 기타로 분류됐으며 많은 학생들이 재수를 선택한 것으로 점쳐진다.# 교육 운영 특색사업삼품제를 통한 인성교육 강조,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특색 프로그램 운영양명고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미래 역량을 키우는 특성화 교육과정에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색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성장을 돕는다.우선, 배움을 위한 역량 강화를 위해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진단해 학생 맞춤형 학습을 지원한다. 또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다양한 연수와 연구수업의 기회도 제공한다.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인성실천주간을 운영하고, 인성우수상을 선정해 시상하며, 지호락을 적극 활용한다. 지호락이란 양명고만의 삼품(三品) 인증제로,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양명고의 교육목표를 성실히 실천한 학생을 선정해 삼품(三品)이 있는 학생임을 인증하는 제도다. 삼품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교양인, 더불어 배우고 지식을 창조하는 창의인, 꿈을 갖고 도전하는 미래인으로 구성된다.한편, 양명고는 진로진학 프로그램에도 공을 들인다. 이를 위해 학생맞춤형 진로진학 컨설팅을 강화해 자신의 꿈에 적합한 학과를 찾아보고, 강한 동기부여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컨설팅은 학년별 1회 이상 실시하며 양질의 진로진학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자기주도적 입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3학년 중 희망 학생을 모집해 ‘생활기록부 분석 자기소개서 작성 캠프’를 열고, ‘면접 스피치 및 모의면접 대비 캠프’도 개최한다. 아울러, 학생부를 기반으로 자신의 진로를 설계해보고 학교생활에 근거한 심화 프로젝트 기획에도 나선다.2학년의 경우, 학업 및 전공스터디 그룹을 운영하고 관리하며,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능력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은구학사반을 운영한다. 또한 진로선택과 전공탐색 중심의 특색활동도 진행한다.1학년은 학력 신장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 간 멘토-멘티 그룹 스터디 활동을 강화해 실천한다. 자신의 미래 전공을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경험해 보는 ‘전공심화탐구 아카데미’를 진행하고, 개인별 맞춤형 방과후 수업과 주문형 강좌도 운영한다. 체계적인 외국어 진로교육과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글로벌 리더십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동아리 활동 현황올해 5월에 공시된 학교알리미에 따르면, 양명고는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54개와 학생 자율 동아리 34개를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의 참여 학생 수는 1012명이며, 학생 자율 동아리 참여자는 273명으로 집계됐다.양명고는 동아리가 활발하기로 알려져 있는데,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다양한 주제로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타악퍼포먼스반, 생명공학기술탐구반, 독서반, 이공계진로탐색반, 프로당구리그반, 로봇반, 독서토론반, 식물연구반, 사물놀이반, 항공반 등이 운영 중이다.# 학업성적 평가계획국·영·수 및 한국사, 통합사회는 지필 80% 반영, 상대적으로 수행 비중 낮아2021년 양명고의 1학년 2학기 평가계획과 반영비율을 살펴보면, 주요 과목인 국어·영어·수학과 한국사, 통합사회 모두 지필평가를 80%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20%는 수행평가로 지필평가의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행은 대부분 논술로 진행하며, 과목에 따라 주제 탐구와 구술, 포트폴리오 등이 반영된다.이외에 통합과학은 지필 60%, 수행 40%로 평가하며, 과학탐구실험 역시 지필과 수행의 비율이 60%대 40%로 나타났다. 체육과 음악은 지필이 40%, 수행이 60%이며, 수행평가는 실기와 논술로 구성된다. 기술·가정은 지필 30%, 수행 70%로 수행의 비중이 높으며, 진로와 직업은 수행 100%로 평가한다.자료 참조: 학교알리미, 학교 홈페이지>> 학교 알리미 살펴보기학생수 및 학급수 현황2021년 2월 졸업생 진로현황교과별 학업성취 사항 (단위: 점수, %) 2021-10-14
-
학교 알리미를 통해 우리 지역 고교 살펴보기_충훈고 2002년 개교한 충훈고는 충신을 기리고 관리하던 옛 충훈부의 명예를 이어 받아 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학생과 교사가 함께하며, 민주적 학교문화를 바탕으로 학생중심의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혁신학교다. 충훈고는 열정과 지혜로 함께 꿈꾸며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를 비전으로 명문 학교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현황 및 졸업생 진로현황2021년 2월 졸업자 42.8% 4년제 대학교 진학2021년 5월 학교알리미 공시 결과 충훈고의 전교생은 총 745명으로 1학년 11학급 218명, 2학년 11학급 236명, 3학년 11학급 28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급당 학생수는 1학년 21.8명, 2학년 21.5명, 3학년 25.6명으로 1학년 기준 안양시 동안구 평균 22.8명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는 11.3명으로 동안구 평균 11.8명보다 낮은 수준이다.올해 5월 공시된 졸업생 진로현황 결과 2021년 졸업자 269명 중 42.8%인 115명이 4년제 대학교에 진학했으며 38.7%인 104명이 전문대학에 진학, 총 81.4%가 전문대학과 대학교로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18.2%가 기타 항목으로 기록되어 재수 등을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운영 특색사업혁신학교,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충훈고는 안양과천지원청의 혁신학교의 교육방향에 맞춰 다양한 특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지정되어 자율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윈윈스터디 동아리’는 교과학습과정에서 어려운 문제를 상호협동 학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5명 이내로 구성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해 성과를 얻고 있다. 기초학력 학생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배움동행 멘토링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습부진 학생과 대학생을 1:1결연해 진행하고, 희망심기 두루지원 프로그램은 외부강사를 활용하여 기초학력신장을 위한 강좌도 운영한다. 이외에도 기초학력보장 책임관리제 등을 통해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다.교과심화활동으로는 학교 교과 수업 안에서 독서토론논술교육 활성화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토론 동아리 구성을 지원하며, 사제동행 비경쟁 독서토론 모임, 책소개 발표회, 완독을 위한 독서모임 등으로 운영된다.사회융합 진로연계 교육활동으로는 관심분야 및 키워드를 선정하여 1차 영상 콘텐츠 탐색활동, 2차 미디어 리터러시 분석활동, 3차 논문 기반 심화탐구 활동 등으로 년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진로기반 주제탐구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자율동아리 개념으로 학생 주도적인 프로젝트 기획, 실천, 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이외에도 환경보전에 대한 중요성과 마을의 생물 다양성 모니터링 체험을 통해 생명존중의식을 강화하는 생태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창의융합오픈랩을 운영하여 관심 분야 심화 탐구 경험을 통해 진로 탐색 및 이공계 분야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도록 동기 부여를 하고 있다. 수학과학분야의 영재학급을 운영해 심화학습 맞춤형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동아리활동 현황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41개, 자율동아리 25개 운영충훈고는 2021학년도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는 총 41개, 자율동아리는 25개가 운영되고 있다. 충훈고 동아리는 야구부를 비롯해 댄스부 연극, 밴드, 보컬 등 다양한 문화예술 동아리를 비롯해 과학분야, 의학분야, 환경, 인문사회 분야의 다양한 학술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다. 자율동아리의 경우는 주로 진로와 연계한 학술동아리가 많이 운영되고 있다.# 학업성적 평가계획수행평가 비율 국어 30%, 수학·영어 40%올해 충훈고의 1학년 2학기 평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어는 지필평가 70%, 수행평가 30%, 수학,영어, 한국사, 통합과학은 지필평가 60%, 수행평가 40%로, 통합사회, 기술가정은 지필평가 40%, 수행평가 60%로 평가한다.수행평가의 경우, 국어는 문학글쓰기, 주제탐구활동, 포트폴리오 등으로 평가하며 통합과학은 포트폴리오, 논술형평가, 주제탐구활동 등으로 평가한다.자료 참조: 학교알리미, 학교 홈페이지>> 학교 알리미 살펴보기학생수 및 학급수 현황 (단위: 개, 명)2021년 2월 졸업생 진로현황 (단위: 명, %) 2021-10-14
-
학교 알리미를 통해 우리 지역 고교 살펴보기_부천여고 부천여자고등학교는 경쟁과 선발보다는 협력과 성장으로, 상대적 서열화가 아닌 학생 개개인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 배려와 공감의 공동체 의식을 갖춘 사람을 교육목표로 운영되고 있는 공립 여고이다.학교현황 및 졸업생의 진로현황2021년 2월 졸업자 50.8% 4년제 대학교 진학2021년 5월 학교알리미 공시 결과 부천여고의 전교생은 총 610명으로 1학년 8학급 175명, 2학년 9학급 205명, 3학년 10학급 23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급당 학생수는 1학년 21.9명, 2학년 22.8명, 3학년 23.0명으로 1학년 기준 부천시 평균 23명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다.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는 11.5명으로 부천시 평균 11.4명보다 0.1명 높은 수준이다.올해 5월 공시된 졸업생 진로현황 결과 2021년 졸업자 197명 중 50.8%인 100명이 4년제 대학교에 진학했으며 23.9%인 47명이 전문대학에 진학, 총 74.6%가 전문대학과 대학교로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25.4%가 기타 항목으로 기록되어 재수 등을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교육운영 특색사업과학중점학교 지정, 수학 과학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부천여고는 2017년부터 경기도형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됨에 따라 수학·과학 관련 진로 독서 활동, 융합과학대회, 수학골든벨, 수학도서발표대회, 학교밖 과학여행, 과학창의프로젝트 연구발표 대회 등 수학 과학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또한 다년간의 과학특성화학교 교육과정 운영 기반을 바탕으로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자유수강제 및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 운영되고 있다.학년별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면 1학년은 진로·학업 집중 탐색 및 설계를 목표로 수요자 중심의 방과후학교와 기초학습부진학생 Zero학급, 학력향상 프로그램 운영 등 맞춤형 학력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진로 캠프, 진로 특강 및 진로체험활동 등 진로·학업 집중탐색 및 설계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2학년은 진로·학업설계 점검 및 보완의 시기로 과학중점학교, 공동교육과정, 주문형 강좌, 마을교육공동체, 나눔캠퍼스 등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또 진로·학업 테마활동, 과목선택 및 수강 등 진로를 구체화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했다.3학년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및 수요자 중심의 방과후학교운영, 대학별 모의전형 실시, 학생선택 특강, 입시 대비 개인별 맞춤 진학지도, 진로진학상담 등 진로진학 완성 및 졸업 이후 설계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부천여고는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주문형 강좌와 클러스터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주문형강좌로 교육학과 심리학이 개설되어 있고, 교육과정 클러스터로 보건간호와 프로그래밍 2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또 화학실험, 고급화학, 고급생명과학, 미술전공실기, 사회과제연구, 국제관계와 국제기구, 국제정치, 중국어회화, 교육학, 심리학 등을 교육과정 클러스터로 타교에서 수강할 수 있다.이외에 제2외국어 으뜸학교 및 진로탐색선도학교, 함께성장 배움교실 토론학교 선도학교 등 다양한 특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동아리활동 현황올해 부천여고에서 활동하는 정규동아리는 1·2학년 25개, 3학년 13개이며 총 604명이 활동하고 있다. 물리공학탐구반(MIT), 화학실험반(알케미스트), 생명탐구실험반(BIO), 수학연구반(호모 카테마티카1·2), 영어토론반(STN), 시사탐구반(시시탐탐), 독서토론반, 비문학탐구반, 컴퓨터과학반, 영어원서읽기반, 체력증진반 등이 개설되어 있다.또한 방과후동아리인 자율동아리는 뮤지컬감상재현부, 구조와힘 탐구, 칼럼쓰기반, 과학시사반, 음악마스터, 생태연구반, 독서토론동아리, 시사탐구, 화학생명탐구방 등 26개 동아리가 개설됐다.학업성적 평가계획수행평가 비율 국어·영어 30%, 수학 40%올해 부천여고의 1학년 1학기 평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국어·영어·통합과학은 지필평가 70%, 수행평가 30%, 수학·한국사·통합사회 지필평가 60%, 수행평가 40%로 평가했다.국어 수행평가의 경우 독서 연계 주제탐구보고서, 국어지식 탐구, 포트폴리오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수학은 논술형과 포트폴리오, 독후활동으로, 영어는 영어 에세이쓰기와 발표하기, 감상문쓰기로 수행평가가 이뤄졌다.한국사는 논리적 글씨기와 역사 포트폴리오, 통합사회는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정책 공약 팸플릿 제작, 통합과학은 물질과 규칙성 프로젝트와 역학적 시스템 프로젝트로 평가했다.자료 참조: 학교알리미, 학교 홈페이지 2021-10-14
-
학교알리미를 통해 우리 지역 고교 살펴보기 ‘상원고’ 2006년 개교한 상원고등학교는 상동신도시와 함께 첫발을 내디딘 부천 시내 일반계고이다. 이 학교는 ‘꿈을 향해 소통하고 나누며 무한 성장하는 상원 교육’이란 비전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소통과 나눔의 행복한 공동체 문화 조성, 꿈을 가지고 미래를 준비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배움을 즐기는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 학생 선택을 존중하는 진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2021년 2월 졸업자 55.9% 4년제 대학교 진학상원고의 학생 현황은 지난 2021년 5월 학교알리미 공시 결과로 살펴보면, 전교생은 총 697명으로 1학년 9학급 216명, 2학년 9학급 230명, 3학년 10학급 25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급당 학생 수는 1학년 24.1명, 2학년 25.3명, 3학년 25.1명으로 1학년 기준 부천시 평균 23명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2.9명으로 부천시 평균 11.4명보다 1.5명 높은 수준이다.진로와 진학을 알아보기 위해 올해 5월 공시된 졸업생 진로 현황에서는 2021년 졸업자 254명 중 55.9%인 142명이 4년제 대학교에 진학했다. 또 20.5%인 52명이 전문대학에 진학해, 모두 76.4%가 전문대학과 대학교로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20.9%가 기타 항목으로 기록되어 재수 등을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외국어 중점 교육과정으로 글로벌 인재 발굴상원고의 학교 특색과제는 외국어 중점 교육과정이다. 세계와 소통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외국어 중점 교육과정에서는 외국어 분야인 스페인어에 관심을 가지고 창의력을 신장할 수 있는 학생을 발굴해 진로를 개척하고 있다.지난 2020학년도 1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스페인어Ⅰ을 학기당 2단위로 구성하고, 2학년 선택 가능한 과목 3개 중 스페인어 전문교과 스페인어 회화 I을 개설했으며, 3학년 선택 가능한 과목 중 스페인어 전문교과인 스페인어권 문화, 스페인어 독해와 작문을 개설했다. 이 밖에도 2021학년도 1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중에서 선택하여 스페인어I을 학기당 2단위로 구성했다. 상원고의 학년별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1학년의 진로 교육 강화이다. 이에 따라 3월에는 진로 적성검사와 함께 4월 전문적인 코칭 과정을 통해 본인의 진로를 알아보고 그에 맞는 교과목 선택과 학업계획서를 작성해 보는 과정과 자신에게 필요한 교과목을 조사한다.또 1학년 단계에서부터 제2외국어인 일본어, 스페인어, 중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편성해 학생들의 교과 선택의 범위를 확대하여 운영한다.2학년 특색은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이다. 부천에 있는 고교 2학년 재학생들이 활동하는 클러스터는 교과 및 이수 단위를 기준으로 국제정치와 프로그래밍 과정을 진행한다. 3학년은 진로 진학 입시지도 계획에 따라 자기소개서, 면접 특강 및 면접반 운영을 통해 수시모집 중 면접전형의 면접 실습, 실전 면접에 대비한 훈련을 한다.또 수능 이후 프로그램도 감염병 예방 시기를 고려 학기 말 또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취약시기의 정상적인 교육활동과 졸업 후 진로 선택에 따른 적응 교육을 내실화하며 인성교육 체험활동 등을 중점적 운영하고 있다.창의적 체험활동과 학생 자율 동아리상원고는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학생 자율 활동을 돕고자 전교생 대상으로 각종 동아리를 지원하고 있다. 먼저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는 모두 46개로 참여 학생 수는 696명이다. 이 밖에도 학생 자율 동아리는 44개로 163명이 참여한다.1학년은 과학토론반, 과학환경반, 전공의 세계, 진로진학탐구반, 시사탐구토론반, 경제경영탐구반, 코딩반 등에서 활동한다. 2학년은 심화 심리, 수학 심화, 축구, 사회복지정책, 생명과학, 시사영어, 과학 향기, 물리 공학, 교실 속 세계여행 등에서, 3학년은 인문 사회 문제 탐구, 주제토론, 예술 체육 탐구, 이공계 마스터,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에서 활동하고 있다.학업성적 평가 방식과 비율올해 상원고의 평가 기준을 1학년 1학기에서 살펴보면 국어 지필평가 49%, 수행평가 51%를, 수학과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은 지필 60%와 나머지를 수행평가로 진행한다. 이 밖에도 기술가정과 일본어 및 중국어는 지필 40:수행 60의 비율이다, 음악과 체육 및 미술은 100% 수행평가 방식이다.국어 수행평가의 경우 한 학기 한 권 읽기, 읽고 쓰며 소통하기, 말하기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수학은 논술형과 수학 산출물 과정평가와 수학적 글쓰기를, 영어는 주제 글쓰기와 짧은 문장 완성하기 등의 수행평가가 이뤄졌다.이 밖에도 한국사는 논술형 평가로 주제발표, 역사신문 만들기를, 통합사회는 논술형 평가, 주제보고서 평가, 자기 계발 능력 평가를, 통합과학은 탐구 실험, 탐구 논술로 평가했다.자료 참조: 학교알리미, 학교 홈페이지 2021-10-14
-
부천 전출 학생 수, 전입 대비 2배 많다 지난 5월 발표된 학교 알리미 통계에 따르면 부천지역 학생 전출 수가 전입 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전출입 수는 매우 미세한 수치로 기록되었다. 부천내일신문사에서는 부천 교육 흐름과 환경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 인구 분포와 학교 및 전출입 추이를 알아보았다.자료 참조:2021년 5월 공시 학교 알리미 사이트 공개용 데이터 ‘학교 현황’/ 경기도 부천교육지원청 /교육부 2021 교육 기본통계부천지역 초등학교부터 고등까지 학교 현황부천지역에는 초등학교가 계남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고강초등학교, 고리울초등학교, 까치울초등학교, 도당초등학교, 도원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등 모두 65개 교가 있다. 또한 중학교는 부명중학교, 부인중학교, 부일중학교, 부천남중학교, 부천동여자중학교, 부천동중학교, 부천부곡중학교, 부천부흥중학교, 부천북여자중학교, 부천북중학교, 부천여월중학교, 부천여자중학교, 부천일신중학교, 부천중학교, 상도중학교 등 모두 34개교이다.고등학교는 모두 28개교로, 예술고인 경기예술고교 1개교와 경기경영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인 특성화고 4개교 및 상동고등학교, 상원고등학교 상일고등학교 소명여자고등학교 등 일반계고 23개교가 자리한다.일반계고 중에서 소명여고와 시온고 및 정명고는 사립고이고 나머지는 공립고이다. 이 밖에도 특수학교와 각종학교 및 기타 학교 3곳으로 분류되는 학교는 부천상록학교, 부천혜림학교, 상동고등학교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이다.전출입으로 알아보는 부천 학생 수 변화부천지역 전출입 학생 수는 일반 통계와 달리 눈에 띄는 변화를 보여 관심이 간다. 먼저 전국과 경기도 대비 부천지역 전입 전출 학생 수는 고등학생에서의 0.1% 내외로 큰 차이는 없는 반면, 초등에서는 전입 학생 비율이 4.7%로 경기도 8.3%와 전국 6.8%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인다.부천 중등 전입 학생 수도 1.4%로 초등과 같이 경기도 2.8%와 전국 2.5%보다 1/2수준임을 나타냈다. 반면 전출 학생 수를 살펴보면, 초등은 부천 7.3%로 경기도 7.8%와는 큰 차이는 없지만, 전국 6.9%보다는 0.4% 높은 수치이다.중학생 전출 학생 수는 부천이 2.4명으로, 경기도 2.6%와 전국 2.5%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부천 입시전문가들은 전국 대비 초등에서 전입 학생 수가 적지만, 전출 수치가 높게 잡히는 현상은 진로와 진학 등 입시 준비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현상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학급당 학생 수와 교원 1인당 학생 수부천지역의 학급당 학생 수는 전국 분포인 ‘표1 학급당 학생 수’와 같이 계속 줄고 있다. 부천지역 초등 학급당 학생 수는 평균 25.2명으로 경기도와는 비슷하지만, 전국 21.5%보다 3% 이상 많은 수치이다.중등 학급당 부천 학생 수는 29명으로 경기도 30.1명보다 적으며, 전국 25.4명보다는 많은 수치이다. 고등 학급당 부천 학생 수는 23.3명으로, 경기도 25.4명과 전국 23명보다 적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 19.7명이며, 경기도는 19.9명, 전국은 17.8명으로 경기도권이 전국 대비 수업 교원 학생 수가 2명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부천 고등은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1.4명으로 경기도 12.3명보다 적으며 전국 11.3명보다는 0.1 많다.남녀 학생 수 비율과 변화부천지역에서 차지하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을 알아보았다. 먼저 초등은 남학생:여학생 비율이 51.1 : 48.9%로 남학생이 약 2% 많았다. 경기도와 전국 역시 각각 학생이 2.4%, 2.7%로 남학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중학생은 남학생:여학생 비율이 51.3:48.7%로 초등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련해 경기도는 51.2 : 48.8%를, 전국은 51.6:48.4%로 초등과 비슷한 성비를 구성하고 있다. 이어 고등 남녀 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부천은 남학생:여학생 50.4:49.6%로 0.8%란 협소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녀 고등학생 경기도와 전국 비율은 각각 51.4:48.6%, 52:48%로, 경기도에서는 남학생이 2.8%로 많고, 전국은 4%가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2021-10-14
-
안산지역 일반고 4년제 대학 입학률 꾸준히 상승 안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대학 진학률이 꾸준히 상승중이다.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각 학교별 졸업생 진로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안산 일반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졸업생 4736명 중에서 4년제 대학에 진학한 학생은 2291명으로 전체 비율 중 48.4%를 차지했다. 여기에 전문대학에 진학한 1323명을 더하면 76.3%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한 것이다. 단순히 진학률만 놓고 교육 여건이 좋아졌다고 예단할 수 없지만 입시전형의 변화와 진학률의 상관관계, 취업, 재수생 비율을 통해 안산 교육의 현주소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자료 출처 : 학교알리미 사이트 안산시 각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대학교 진학률 전년대비 3.5% 상승안산지역 일반계 16개 고등학교 졸업생 진로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졸업생 중 4년제 대학교에 진학한 학생은 48.4%, 전문대학에 진학한 학생은 27.9%, 취업한 학생은 3.2%, 기타 재수 등을 선택한 학생은 20.5% 인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지난 2020년 44.9%에 비해 약 3.5% 상승했다. 이는 2019년부터 꾸준히 늘어나는 수치다.대학교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양지고등학교로 59.5%를 기록했으며 초지고(54.6%), 고잔고(52.9%), 신길고(51.6%), 강서고(50.9%), 광덕고(50.6%) 순이며 부곡고가 38.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전문대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상록고(36.2%) 단원고(35.4%) 성포고(34.1%) 선부고(33.2%) 순이다.대학 진학률이 낮은 학교는 재수를 선택하는 기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부곡고등학교는 졸업생 3명 중 1명이 재수를 선택할 정도로 기타비율이 33.9%를 차지했으며 경안고등학교도 진학과 취업이 아닌 재수를 선택한 학생이 28.5%로 높게 나타났다.신길고 진학과 취업 비율 둘 다 높아올해 졸업생 현황 분석에서 가장 눈에 띄는 학교는 신길고다. 신길고등학교 졸업생 254명 의 진로를 살펴보면 전문대 진학 57명(22.4%) 4년제 대학교 진학 131명(51.6%), 취업 36명(14.2%), 기타 30명(11.8%)이다. 재수를 선택한 비율보다 취업에 성공한 학생 수가 더 많다. 지난해 졸업생 지도에서 취업과 진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졸업생 중 취업생이 적지 않은 것도 안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진로의 특성 중 하나다. 학교마다 다양한 진로교육을 통해 취업을 돕고 있다.대학진학률 상승 학령인구 감소와 수시위주 전형안산지역 학생들의 대학진학률이 꾸준히 상승하는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학령인구 감소를 먼저 꼽는다. 안산지역 일반계고등학교 졸업생은 2019년 6955명, 2020년 5903명, 2021년 4736명 이었다. 해마다 1000명 이상씩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데다 그동안 수시위주 전형도 대학진학률 상승에 한 몫을 했다는 것이다. 대학 진학 전형별로 분석해 보면 안산지역 학생들은 70% 이상 수시전형으로 진학한다. 하지만 최근 정시가 늘고 수시가 줄어드는 입시정책 변화가 안산지역 학생들의 대학진학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1-10-08
-
[교육기획] 최근 2개년 송파·강동지역 중학교 졸업생 수 변화 및 2021학년도 진학현황 학령인구 변화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송파와 강동 지역 중학교의 3년간 졸업생 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송파구의 28개 중학교, 강동구의 19개 중학교의 졸업생 수와 남·여학생의 비율, 졸업생의 진로 현황을 파악했다.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하는 각 학교별 졸업생 수와 남·여학생의 비율, 남중·여중·남녀공학 학교별 구분, 공립과 사립학교별, 졸업생의 진로 현황 중 일반고와 특성화고, 자사고, 특수목적고 등을 구분하여 분석 정리했다. 참고 · 학교알리미 사이트 학교별 공시항목 중 2019~2021년 송파·강동 중학교 졸업생 수 및 2021학년도 졸업생 진로현황송파구 28개 중학교, 학교별로 학생 수와 남녀비율 차이 많이 나 송파구 중학교의 최근 2년간 졸업생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학교별로 2019년에 비해 2020년에는 학생 수가 감소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2021년에 졸업생 수가 소폭 늘어나면서 최근 2년간 졸업생 수는 균일한 편이었다. 매년 졸업생 수가 1,200명 안팎인 학교는 송례중, 신천중, 잠신중, 잠실중이었다. 이중에서 송례중만 남녀학생 비율이 비슷했으며, 신천중은 남학생이 31% 더 많았으며, 잠신중은 약 20%, 잠실중은 2021년에 남학생이 11.6% 더 많았다. 정신여중과 송파중 역시 학생 수가 1,000명 내외로 학생 수가 많은 학교다. 사립 남중인 배명중, 보인중은 최근 3년간 졸업생 수가 550명 안팎이었으며, 보인중은 2021년에 졸업생 수가 40명 정도 늘었다. 전반적으로 남녀공학 학교에서 남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가락중, 신천중, 잠신중, 풍납중, 풍성중 등이었다. 반면 여학생 수가 더 많은 학교는 오금중, 오륜중, 오주중, 해누리중이며 이 중 오륜중은 여학생 비율이 매년 80%를 넘는다. 졸업생 수가 적은 학교는 방이중, 석촌중, 영파여중, 풍납중, 풍성중 등으로 300명~400명대 초반의 학생 수를 보인다.표1) 2019~2021년 송파구 28개 중학교 졸업생 수 (단위 : 명)강동구 19개 중학교, 학생 수 증가 및 신생학교도 생겨 재건축이 마무리된 강동구는 학생 수가 많이 늘었다. 기존의 지역 및 학교공동화 현상을 벗어나 활기를 띠는 모습으로 바뀌며 졸업생 수 역시 최근 2년간 1,485명이 늘었다. 졸업생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학교는 고덕중으로 최근 2년 사이에 784명이 증가했다. 상일여중 역시 졸업생 수가 109명에서 383명으로 늘었다. 강동구에서 명일중, 배재중은 졸업생 수가 늘어나며 900명을 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강동중, 한영중이 800명 가까이, 강명중, 강일중, 신암중, 성덕여중, 신명중, 성내중이 500명대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다. 반면 학생 수가 줄어든 학교는 재건축 지역에 인접한 둔촌중과 동북중의 졸업생이 최근 2년간 100명 가까이 줄었다. 강동구의 남녀공학 중학교는 남녀비율의 차이가 대부분 10% 이내이나, 천호중이 약 20%의 차이가 나고 한산중 역시 15% 내외로 남학생의 비율이 높다.표2) 2019~2021년 강동구 19개 중학교 졸업생 수 (단위 : 명)송파·강동지역 전체 졸업생 수는 매년 약 6천명 차이, 차츰 차이 줄어 매년 송파구 중학교에서 졸업하는 학생 수는 16,400명 선이다. 2020년에 졸업생 수가 소폭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21년에 96명이 증가했다. 강동구는 차츰 늘어 2020년부터는 졸업생 전체 수가 1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송파구에는 28개 중학교(서울 체육중 포함)가, 강동구에는 19개 중학교가 있어 학교 수의 차이도 고려대상이다. 올해 강동구에서 개교한 강빛중학교는 현재 재학생이 150명이며, 내년 초에 20여명의 학생이 졸업을 앞두고 있다. 강동구는 앞으로 몇 년 간은 졸업생 수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송파와 강동의 남녀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송파구는 3~4% 차이로 남학생이 더 많아 서울특별시와 전국 평균 비율과 비슷한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강동구는 남학생 비율이 9.4% 더 높다.표3) 송파 · 강동 중학교 졸업생 수 최근 2년간 증감률표4) 2021학년도 송파 · 강동구 중학교 남녀학생 비율송파 졸업생 진로현황, 일반고>자사고>특성화고>특목고 순 송파지역 중학교 졸업생은 학교별로 평균 70% 내외로 일반고에 지원하고 있다. 방산중, 정신여중, 석촌중, 일신여중, 풍납중은 일반고 진학률이 80%를 넘어서며 일반고 선호 현상이 뚜렷한 학교다. 정신여중은 일반고 지원율이 86.1%를 보이며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일반고 지원이 가장 낮은 학교는 보인중으로 52.6%의 지원율을 보인다. 보인중은 자사고 지원율이 27.9%로 송파구 내에서 가장 높으며 특성화고 진학률 역시 14.9%로 높은 편이다. 보인중은 일반고, 자사고, 특성화고 지원이 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자율형사립고 지원율이 높은 학교는 신천중(21.6%), 가락중(19.4%), 잠신중(19.2%), 잠실중(18.9%), 보성중(18.7%), 송파중(16.1%)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성화고 지원이 상대적으로 높은 학교는 오금중(25.6%), 거원중(19.4%), 세륜중(19.3%), 방이중(14.5%), 가락중(12.6%)의 순으로 나타난다. 과학고 진학률은 신천중(2.9%), 아주중(2.7%), 해누리중(1.9%), 잠실중(1.6%) 순으로 비율을 보인다. 외고와 국제고로의 진로현황은 오륜중(7.4%), 해누리중(5.8%), 문현중(4.3%), 풍성중(4.2%) 등의 비율이 높았다. 예체능계열은 오륜중(6.3%), 방이중(2.9%) 순으로 높은 편이었다. 표5) 2021학년도 송파구 중학교 졸업생 진로현황강동 졸업생 진로현황, 70% 내외 일반고, 배재중은 자사고 지원 많아 강동구 소재 중학교 졸업생의 진로현황 역시 일반고 선택이 평균적으로 70%를 웃돌고 있다. 성덕여중이 8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상일여중(84.4%), 한산중(82.7%) 비율을 보인다. 뒤를 이어 신명중(78.8%), 동북중(78%), 고덕중(77%), 성내중(76.6%), 강일중(75.6%) 순으로 일반고 지원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그 뒤를 이어 강동중(73.3%), 둔촌중(71.3%), 명일중(70%), 한영중(69.5%)이 이어진다. 일반고 지원 비율이 가장 낮은 학교는 배재중(60.8%)이다. 배재중은 자사고(30.8%) 지원율이 매우 높으며, 특성화고(5.3%) 지원 비율을 뒤를 잇는다. 배재중 졸업생은 많은 학생이 일반고와 자사고로 진로를 잡고 있다. 자사고 지원율은 강명중(12.7%), 둔촌중(11.9%), 강일중(11.7%)의 비율을 나타낸다. 특성화고 지원율을 살펴보면 천일중(26.9%), 동신중(23.8%), 천호중(20.9%), 강일중(19.4%), 강명중(15.3%)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학고는 배재중이 1.5% 지원했으며, 외고와 국제고는 한영중이 6.4%, 상일여중이 4.7%, 명일중이 3.1%를 보이고 있다. 표6) 2021학년도 강동구 중학교 졸업생 진로현황 2021-10-06
- 분당·수지 지역 초등학생 수 현황 학령기 인구가 줄고 있다는 이야기는 여러 매체를 통해 전해지고 있는 바다. 이러한 현상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 세대가 바로 초등학생이다. 분당과 용인의 초·중·고 학생 수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수지지역 초등학생 수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고, 지역별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2021년 5월 공시 기준으로 발표된 학교별 학생 수 현황을 통해 살펴보았다. 참조_학교알리미 사이트 학교별 2021년 5월 공시항목 학생 현황분당지역 초등학생 수 감소 추세, 중학교 학군 따라 학생 수 격차 커 분당지역의 총 37개 초등학교의 학년별 총 학생 수를 살펴본 결과 6학년 4675명, 5학년 4770명, 4학년 4728명, 3학년 4712명, 2학년 4369명, 1학년 4270명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분당지역 초등학생 수 현황 중 주목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분당지역 내 동네별 학생 수 차이다. 인기 중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초등학생 수는 눈에 띄게 많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곳이 내정중과 수내중으로 배정받을 수 있는 학군에 위치한 내정초 1228명, 수내초 1269명, 초림초 1112명을 꼽을 수 있다. 분당지역 초등학생 수가 900명이 넘는 곳이 많지 않은데 수내동의 모든 초등학교는 1000명을 넘고 있다. 이는 분당지역에서 가장 인기 학군으로 수내동이 손꼽히기 때문이다. 학원들이 밀집되어 있고 영재고,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 진학률이 높은 수내동의 중학교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분당 내 떠오르는 지역으로 판교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초등생 수도 점차 증가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낙생초 1213명, 보평초 1122명, 송현초 1156명, 판교초 1070명, 화랑초 1007명이다. 정자동의 늘푸른초가 1253명으로 정자동 내에서는 가장 많은 학생 수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정자동 인기 중학교 백현중 배정을 받을 수 있는 지역권 내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백현초는 분당과 수지지역 내에서도 학생 수가 가장 적은 학교로 전교생 수가 94명밖에 되지 않는다. 용인 수지지역 초등 저학년은 오히려 증가 용인 수지지역 초등학교는 총 32개 학교로 학년별 총 학생 수를 살펴보면 1학년 4111명, 2학년 3914명, 3학년 4120명, 4학년 4154명, 5학년 4151명, 6학년 4099명임을 알 수 있다. 수지지역은 1학년 학생 수가 증가한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수지지역 초등학생 수 중 저학년 학생 중심으로 학생 수가 증가한 곳을 살펴보면 동천초(6학년 127명, 1학년 205명), 매봉초(6학년 94명, 2학년 115명, 1학년 163명), 상현초(6학년 144명, 2학년 165명, 1학년 170명), 용인한빛초(6학년 126명, 2학년 157명, 1학년 186명), 용인신봉초(6학년 163명, 2학년 189명, 1학년 180명), 성서초(6학년 137명, 1학년 172명), 수지초(6학년 213명, 2학년 299명, 1학년 308명), 토월초(6학년 124명, 1학년 141명) 등을 꼽을 수 있다. 저학년 수, 특히 1학년 학생 수가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황은 용인 수지지역의 많은 초등학교의 학생 수를 통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수지지역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2001~2012년 사이에 개교한 신설학교가 많다는 점도 주목해볼 만하다. 분당은 학군 중심 지역으로 학생 수 많고, 용인 수지는 저학년 수 증가 양상 분당지역과 용인의 수지지역 초등학생 수를 비교해봤을 때 확연히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분당지역은 저학년으로 갈수록 점차 학생 수가 줄어드는 반면, 수지지역은 반대로 초등 저학년 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띄는 학교들이 많다는 점이다. 또한, 분당지역은 인접 학원가 입지 조건과 특목고 입학실적 및 학교의 학습 분위기에 따른 인기 중학교 배정을 받기 위한 특정 초등학교 쏠림 현상이 있는 반면, 수지지역은 새 아파트 중심, 즉 주거지역 환경에 따른 학생 수 변화가 크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2021-09-30
-
2021학년도 부천 일반고 졸업생 진학률 조사 자녀를 교육하는 학부모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진로와 진학이다. 그중에서도 일반고를 목표로 공부하거나 재학 중인 자녀가 있다면 졸업생들의 진학이 궁금할 것이다. 부천내일신문사에서는 해마다 부천 시내 23개 일반고를 대상으로 대학교와 전문대 진학률은 물론 기타 재수 비율 등의 진로 현황을 비교 분석해오고 있다. 2021학년도 졸업생들의 진로 현황을 알아본다.*자료 출처 : 학교알리미 사이트 부천시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일반고 대학교 진학률 43에서 46.2%로 해마다 상승세 유지올해 부천 시내 일반고 졸업생들의 진학률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부천 시내 4년제와 2년제 대학 전체 진학률은 올해 75.2%로 지난해 77%를 제외한 2019년 71.8%, 2018년 73.6%, 2017년 71%에서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그중에서도 부천 시내 23개 일반고의 진학률에서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평균 46.2%로 집계되었다. 부천 시내 일반고의 전체 진학률 중에서 차지하는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2017년 38.7%, 2018년 40.6%, 2019년 40.3%, 2020년 42.7%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한편, 계속되는 진학률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입시전문가들은 4년제로 진학한 대학교 이름이 공개되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진학의 질을 단순 수치로만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뒤따르는 분석이란 입장이다.정명고 진학률 59.4%로 가장 높고, 재수 기타 비율 상일고 46.6%로 높아학교알리미 졸업생현황 집계자료에 의한 학교별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을 살펴보면, 부천 시내 일반고 중 정명고가 59.4%로 가장 많은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을 나타냈다. 이어 부명고 57%, 상원고 55.9%, 송내고 55.8%, 부천여고 50.8%, 중원고와 소사고 49.2%의 진학 결과를 낳았다.이어 4년제 대학 진학률 40%대를 나타낸 학교는 상동고 46.9%, 덕산고 46.6%, 시온고 45.8%, 중흥고 45.5%, 부천고 45.3%, 원미고 45.2%, 범박고 45.1%, 소명여고 45%, 계남고 44%, 도당고 43.8%, 부천북고 43.7%, 원종고 41.6%이다.이 밖에도 진학률 30%대 학교를 살펴보면, 수주고 39.2%, 상일고 38.8%, 역곡고35.0%, 심원고 34.8% 등이다. 올해 가장 높은 4년제 대학교 진학 결과를 낳은 학교는 공립과 사립포함 정명고이다.공립고 대비 사립고 진학률 차이올해 높은 진학률을 기록한 학교는 정명고에 이어 부명고, 상원고, 송내고 및 부천여고가 상위권을 나타냈다. 지난해 일반고 23개고 가장 높은 4년제 진학률을 보인 학교는 시온고, 정명고, 상원고, 중흥고, 부천북고, 소명여고, 부천고 순이었다.또한 2019년에는 시온고 48.7%, 송내고 48.5%, 상일고 44.6%, 부천여고 44.2%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2018년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부천여고 64.5%, 시온고 45.4%, 상일고 44.2%, 부천고 41.5%, 소명여고 39.5%, 정명고 34.9% 순이었다. 2017년 4년제 대학교 진학률은 부천여고 63.4%, 정명고 53.6%, 부천고 47.4%, 소명여고 45.8%, 상일고 44.6%, 시온고 40.4% 순으로 나타난 바 있다.그동안 시내 일반고 공립학교에서는 부명고와 상원고, 부천여고, 중흥고, 부천북고, 송내고가 꾸준히 높은 상위 진학률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부천 사립 3고인 시온고와 소명여고 및 자체 기숙 시설 일부 혜택을 갖춘 정명고도 전체 상위권 진학률 대열을 유지해오고 있다.전문대 진학률 5% 줄고, 기타 재수 비율 예년과 비슷올해 부천 시내 일반고의 전문대 진학률은 29%로 2020년 34%, 2019년 31.1%, 2018년 32.8%, 2017년 32% 대비 처음으로 20%대를 기록했다. 특히 해마다 부천시의 전문대 진학률은 전국 약 21%, 경기도 약 25%보다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유지한 데 비해 이례적인 현상이다.그동안 부천 시내에는 다른 지역 대비 부천대와 유한대 등 취업에 필요한 기술전공을 다루는 오래된 대학들이 많은 점을 전문대 진학률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꼽았었다.한편, 진학률에서 ‘기타’ 비율 즉, 취업과 진학 둘 다를 포기했거나 혹은 재수를 택한 수치로 추정되는 변화를 살펴보면, 올해는 22.1%를 기록했다. 그동안 기타 비율은 2020년은 23%, 2017년 23.5%, 2018년 22.8%, 2019년 24.5%로 20%대 수준을 유지해온 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올해 재수로 추정되는 기타 비율이 높은 학교는 지난해에 이어 상일고 46.6%로 가장 높았고, 부천고 37.2%, 중흥고 33.3%, 심원고 27.1%, 역곡고 25.7%, 부천여고 25.4%, 중원고 25%, 계남고 24.5%, 소명여고 22.3%, 상원고 20.9%, 상동고 19.5%이다.끝으로 이번 부천 시내 일반고 졸업생들의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진학률 및 진로 현황 분석은 학교별 비교보다는 부천 일반고들의 전반적인 진로 추이에 따른 진학률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취지로 조사되었다. 202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