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검색결과 총 5,695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강남 공신 6인이 알려주는 내신 공부법 강남서초지역 대다수 고등학교는 4월 말부터 2023년 1학기 중간고사가 시작된다. 우수한 학생이 많이 밀집한 강남권 고교들은 내신 변별력을 두기 위해 내신 시험 문제가 매우 까다롭고, 어렵게 출제되는 편이다. 시험 범위도 방대하지만, 그 안에서 작은 것 하나라도 놓치지 않아야 좋은 점수를 확보할 수 있다. 절대 쉽지 않은 강남서초지역 고등학교의 내신 시험, 과연 강남 공신들은 어떻게 내신에 대비해 공부했을까?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한 강남서초지역 고교 출신 공신들의 내신 공부법을 들어봤다. (학생명 가나다순)가톨릭대학교 의예과 1학년남채현 학생(서울세종고 졸)① 계획 촘촘히 세우고 모든 시간 투자하기“여기서 말하는 모든 시간이란, 24시간이 아닙니다. 저는 시험 기간에도 절대 잠을 줄이지 않았습니다. 놀지 말라는 말도 아닙니다. 계획을 촘촘히 세워서 공부 시간과 휴식 시간까지 통제하라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모든 시간을 공부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무의미하게 밤을 세우고, 다음날 선생님 수업을 놓치고, 졸 필요도 없습니다.”② 선생님 수업 집중, 질문은 학교 선생님께“저는 시험공부를 시작하려고 책상에 앉아서 교과서를 펼치면 ‘아, 이때 선생님께서 이런 농담을 하셨는데…’ 라는 생각이 들 정도까지 수업을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모든 내용을 필기하거나 표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초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또, 선생님께서 은연중에 강조하시는 부분은 책에도 표시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 하나, 모든 질문은 학교 선생님께 하기 바랍니다. 가장 중요하지만, 대부분 학생이 모르는 부분입니다. 계획을 지키며 시간을 투자하다 보면, 질문량이 많아집니다. 저는, 시험 기간마다 노트를 따로 마련해 교무실에 가서 질문했습니다. 국어 과목은 개인마다 해석이 다양함으로 선생님 말씀을 여러 번 경청하다 보면 시험이 좀 익숙해지고, 수학 과목은 선생님 풀이대로 서술형을 더 확실하게 풀 수 있는 등의 이점이 많습니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교무실에 내려가서 질문을 하다 보면, 나 자신에게도 동기부여가 됩니다. 질문거리를 찾기 위해 더 세세하게 공부하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책상에 얼마나 앉아있느냐가 아닙니다. ‘내가 얼마나 진심으로 공부를 대하느냐’라고 생각합니다.”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1학년박윤수 학생(세화고 졸)① 수학, 한 문제를 풀더라도 다양한 풀이로 접근수학은 많은 수의 문제만 푼다고 해서 실력이 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문제를 넘기는 습관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적은 수의 문제를 풀더라도 다양한 풀이를 생각해보고, 각 조건의 역할을 생각해보고, 어떤 단서를 근거로 해당 풀이를 시작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질문을 제대로 해야 합니다. 제가 친구들의 질문에 대답해줄 때, 조금의 힌트만 주었음에도 스스로 풀이를 이어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을 할 때 풀이를 요구하기보다, 스스로 어디까지 생각해 보았는지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질문을 통해 힌트만 조금 얻어 나머지는 스스로 생각해보는 게 바람직합니다. 또한, 과도한 풀이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장에서 스스로 떠올려 자신 있게 실행할 수 있는 풀이가 멋있는 풀이보다 좋은 풀이입니다.“② 효율적인 시험 운용, 우선순위 정해서 문제 풀기“과학탐구 과목이나 수학은 시험에 내는 모든 문제를 학교 선생님이 처음부터 창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기 학교 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실 때 어떤 교재를 참고하시는지(수능 기출, 수능 연계 교재, 기타 참고서 등)를 꿰고 있는 학원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결과를 내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내신 시험의 특성상 모든 문제를 풀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시험장에서 시간이 부족할 때, 효율적으로 시험을 운용하는 것만으로도 점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 시간을 들이면 풀 수 있을 만한 문제인지, 시간을 얼마나 들여야 할지 등을 빠르게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서울대학교 경영학부 1학년박초현(숙명여고 졸)① 딴짓하는 시간 줄이고 공부에 집중“저는 암기를 잘했던 사람이 아니었는지라, 1~2학년 때는 방대한 양의 암기를 하면서 번아웃이 자주 오곤 했습니다. 3학년 때부터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아침 8시에 학교에 가서 자정까지는 독서실에서 공부하고, 그 이후부터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하면서 놀든, 자든 하자’라는 원칙을 세워 하루를 보냈습니다. 저는 공부하기 위해 잠을 줄인 것이 아니라 딴짓하는 시간을 줄인 것이 내신 관리의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학교 내신은 암기량이 무척 많아서 매일 4시에 자는 친구들도 많이 봤는데, 사람의 집중력으로는 그 전날 4시에 자면 다음 날 버티기 매우 힘들어서 밤 12시에 자고 7시에 일어나되, 깨어있는 17시간 중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면 내신 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② 평가원 기출, 교과서, 프린트 2~3회 독 이상“대다수 학생과 달리, 저는 수학 선행을 하지 않고도 꾸준히 1, 2등급을 받아왔습니다. 학원에 다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다른 과목들은 혼자 공부하고 학교 선생님들께 질문하는 방법으로 공부했는데, 수학은 다양한 문제들이 필요했기에 학원에 다녔습니다. 1학년 때 처음 학원에 다니면서, 저는 선행을 하지 않은 학생이 수업만을 듣고 이 모든 문제를 풀어내기에는 힘들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수업 전에 기본서 2권과 심화서 1권을 풀어 수학적 개념을 체화시키고 수업에 참여하는 방식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했습니다. 내신 기간이 다가올수록 평가원 기출문제, 교과서, 학교 프린트라는 기본에 더욱 충실했고, 모두 2~3회 독 이상을 공부하고서야 시험장에 안정된 마음으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가천대학교 의예과 1학년배서연 학생(진선여고 졸)① 내신 기간, 전략적이고 주도적인 공부 중요내신 기간의 학습 태도로 가장 중요한 것은 전략적이고 주도적인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내신은 학교마다, 심하면 학교 선생님에 따라 시험의 특징이 다르므로 정해진 기간 비슷한 공부량으로 더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가 나와도 맞힐 수 있게 열심히 공부하자!”보다는 “어떠한 시험 특성이 있으니 전 범위를 꼼꼼히 공부하되, 특히 어떠한 문제들은 꼭 맞히도록 따로 준비해놓자!”와 같은 전략을 공부 전에 미리 수립하고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학원 커리큘럼을 따라가더라도 학원에서 주는 숙제를 다 하면 성적이 나온다고 생각하지 말고, 학원의 수업으로 학교 시험의 어디까지 대비할 수 있는지, 자습이 더 필요한 부분은 어디일지 고민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게 저를 비롯해 타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메타인지 학습법이라고 생각합니다.”② 수학Ⅱ와 미적분, 다양한 문제 상황 경험해야 “수학은 절대적으로 문제 풀이의 양이 중요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내신 기간 때는 모든 과목을 공부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방학 때 최대한 많은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수학Ⅱ와 미적분의 경우 다양한 문제 상황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3학년 미적분 내신 대비로 방학 때 미리 실력을 끌어올려 내신 문제에 대한 체감 난이도를 낮추고자 했습니다. 겨울방학 때 수능 대비 미적분 교재 중 가장 어려운 난이도의 교재로 문제를 풀며 고민하는 연습 덕분에 학기 중 내신 대비가 훨씬 수월하게 2023-04-20
- 탐구는 교과학습을 DEEP 시킨다 대치동에서 10여 년 동안 과학을 가르쳐 온 필자는 ‘과학을 가르치고, 과학학원을 운영하면서 보내는 3월, 4월이 1년 중 가장 바쁜 달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가끔은 과학을 잘 모르는 학생들까지 부모님의 손에 끌려서 학원에 상담 및 등록하러 올 때 안쓰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고, 자신의 역량을 성장시켜 가면서 잠재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볼 때면 가르치는 희열을 극으로 느낀다. 정말 이 맛으로 과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닐까?이런 과학 탐구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 학생마다 각자가 과학 탐구 학습을 시작하는 타이밍이 다르다. 결코 선행학습이 빠르다고 해서 타이밍이 빠르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과학 탐구 학습을 통해서 늦어진 선행학습을 DEEP 하게 빠르게 할 수는 있다. 그리고 어느새인가 주위 친구들이 자신보다 과학 탐구 학습이 빨라 멀리서 부러워하던 아이들은 자신의 성장을 즐거워하며 뒤돌아보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는 위치까지 성장해 있다.하지만 학원을 찾아오는 부모들은 자녀의 성장에 대한 결과에 대해 미리 두려워한다. 왜일까? 부모의 본능적인 두려움은 결코 자녀를 성장시키지 못한다. 조금은 떨어져 자녀의 성장을 지켜보고 격려해주는 것이 학원에 보내주는 부모님들께 바라고 싶은 마음이다.그리고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과학 과목도 학생의 현재 학습 능력 수준을 먼저 정확히 파악하고 학생에게 맞는 맞춤교육을 설계해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강사들과 함께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이 즐겁고, 스스로가 학습에 대한 흥미와 목표를 가지고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단순히 영재원 입학만을 목표로 과학에 전혀 관심 없는 학생이 부모님의 손에 이끌려 강제적으로 과학 학습을 하게 되면 학습도 재미없고 학습 능률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어려서부터 과학 과목과 관련된 쉽고 재미있는 독서 활동이나 영화 관람을 하게 한다든가, 집에서 부모님들과 함께 쉬운 과학 실험이나 조립을 한다든가, 과학 전시회나 발명실험센터 등을 찾아 견학한다든가 하는 기초적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호기심이 스스로 발달하고 과학 학습에 열의를 갖게 된다면 학원에 와서도 호기심과 학습이 연결되어 학습 결과도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대치MSG(엠에스지)영재교육 전진홍 원장문의 02-553-2584 2023-04-20
- [미국 대학입시] 대기자 명단에서 합격자로! 미국 대학입시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는 합격, 불합격, Waitlist 3가지로 나뉜다. 목표 대학 중 Waitlist(대기자 명단) 결과를 받았다면, 보통 학생들은 실망감, 기대감, 불확실성에 대한 혼란 등 여러 뒤섞인 감정을 토로한다. 합격일지 불합격일지 모른 채 낙담할 수도 있다. 대기자 명단의 의미는 결코 지원서가 부적절했다거나 꿈의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것이 아니다. 매년 적지 않은 학생들이 대기자 명단에서 합격자로 이어지고 있고, 지속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업데이트 레터인 LOCI(Letter of Continued Interest)의 작성은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LOCI는 대학입학처에 보내는 statement로, 지원자가 대학에 여전히 관심이 있다는 것과 지원 이후 어떻게 발전하고 성장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작성 된다. 이는 대학에 대한 지속적인 열정을 나타내는 동시에 새로운 성취와 발전을 조명함으로써 대기자 명단에 있는 다른 지원자들과 차별화시키는 방법이다. 자신을 돋보이게 하고, 합격 가능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되므로 LOCI 내용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LOCI 작성 : 5가지 핵심 Tip1. 대학에서 요구하는 지침(Policy)대기자 명단에 오른 학생과의 소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선호 사항은 대학별로 다를 수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LOCI 등 추가적인 내용을 전혀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당 대학 웹사이트를 검토하거나 입학처에 연락하여 관련된 정책을 확인해야 한다. 구체적인 지침이 있는 경우 반드시 해당 정책을 따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아래의 과정을 참고하도록 하자.2. 지역 입학사정관(regional admissions officer)담당자를 특정하여 레터를 보내면 보다 구체적이고 적합한 내용으로 맞추어 작성할 수 있고, 지원자가 적극적으로 조사하였음을 보여줄 수 있다. 학생이 속해 있는 지역 입학사정관의 정보는 대학 웹사이트 또는 입학처에 연락하면 충분히 확인 가능하다. 단, 모든 대학에 지역 입학사정관이 배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해당 대학별로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3. 관심 분야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대학의 학업 프로그램, 캠퍼스 문화, 활동의 기회, 진로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구체적이고 진솔하게 작성하되 장황하게 나열하거나 과장은 피한다. 해당 대학이 지원자에게 적합한 이유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력을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어, "귀교는 미국 최고의 대학이기 때문에 마음에 듭니다."라고 하는 대신 "귀교의 협력적인 학습 환경이 저의 비판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하는 것은 분명 다르다.4. 성과에 대한 업데이트학생이 지원서를 제출한 이후 꾸준히 성장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성취나 활동 언급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가장 관련성이 높고 인상적인 성과에 집중하여 선택적으로 작성하되, 학업 성취도, 과외 활동(Extracurricular Activities), 지역 사회 봉사, 리더십 등의 내용을 언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클럽 활동이나 조직에서 리더십 역할을 새롭게 맡게 되었을 때, 또한 전공과 관련된 프로젝트, 리서치, 인턴십을 완료하였을 경우 등이다. 이는 학생이자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5. 열의와 감사를 표하라감사와 열정을 담아 편지를 마무리한다. 입학사정관이 레터를 검토하고 시간을 내어 지원자의 추가 자료를 검토해 준 것에 대해 정중한 감사를 표현해야 한다. 동시에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희망과 합격할 경우 바로 등록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확실하게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어, “지원서를 검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귀교에 입학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고, 저의 교육적, 개인적 목표를 추구하기에 최고의 대학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입학 담당자의 시간과 배려에 감사하고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여 자신감을 전달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요약하면, 내용은 진정성 있고 간결해야 하며, 대학 정책 및 입학사정관의 시간을 존중해야 한다. 대학에 대한 관심과 대학이 지원자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명확히 보여주어야 한다. 학업, 과외 활동 및 진로 목표의 구체적인 내용을 들어 대학 커뮤니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잠재력 있는 학생의 모습으로 입학사정관을 설득해야 한다.대기자 명단은 결코 최종 결과가 아닌 “현재 진행중”인 입시의 과정임을 명심해야 한다. 지속적인 관심과 열정이 담긴 편지가 목표 대학의 문을 여는 최종 열쇠가 될 것이다.Apex Ivy – 에이펙스 아이비 컨설팅 알렉스 민(Alex Min) 원장문의 02-3444-6753~5, www.apexivy.net 2023-04-20
- 오랜 세월 입시 결과로 입증해 온 초중고 대치동 명문 영어학원 Q1. 우리 학원의 특징과 강점2006년 개원 이래 초등부터 고3, N수생까지 영어 실력을 올려 주며 대치동 명문학원으로 꾸준히 사랑받아 왔습니다. 남다른 노하우와 철저한 관리로 입소문으로 더 유명해진 학원입니다. 매시간 학부모에게 수업 내용과 과제, 특이사항 등을 수업 인증사진과 함께 SNS 피드백을 드립니다. 출석 체크, 진도 위주의 학원이 아닌, 학생이 자기 것으로 만들었는지 공부한 내용을 선생님과 친구들에게 설명해주며 확인 점검합니다.Q2. 교육 시스템과 커리큘럼학생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해 교재 및 수업 속도를 정하며, 판서+개별클리닉 또는 내신+개별지도로 각자 진도에 따른 소수정예 또는 개별수업으로 진행합니다.●초등부 : 보카, 리딩, 리스닝, 그래머, 라이팅 등 고르게 학생의 레벨에 맞춰 진행하며, 스피킹 수업은 원어민 선생님이 지도합니다. 초3 이상 학생들 중 희망자는 성대 영어경시대회 준비도 겸해 대회 수상도 꾸준히 해오고 있으며, YBM 리더스 영어독서 대치점으로서 온라인 독서 지도도 병행합니다.●중등부 : 고3 수능 최상위 실력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내신과 수능, 수행평가, 그리고 학생에 따라서는 공인영어 성적까지 낼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고등부 : 중등부까지 영어 실력이 완성된 학생들은 실력 유지를, 그렇지 못한 학생은 개별지도로 최단기간 효율적인 성적 향상을 위해 지도합니다.▷ 빠른 진도보다는 학생이 이해했는지에 더 초점을 두며 수업 속도 및 숙제량을 조절하며, 학원에 남아서 숙제 완료 여부 확인 후 귀가시킵니다.Q3. 이런 학생은 우리 학원이 딱!학원, 과외 등 여러 방법을 써 봐도 실력이 향상되지 않는 학생들에게 오랜 노하우로 명쾌한 솔루션을 드리고 있습니다. 오래 다니는 단골학생들이 많아서 다른 과목 학원 시간의 변동을 고려해 수업시간을 안내해 드리며, 예체능, 과학고, 자사고, 영재고 등의 재학생들도 꾸준히 찾고 있습니다.●위치 : 강남구 대치동 511 미도상가 3층(3호선 대치역 5번출구 대로변)●문의 : 02-2051-7082, 010-5208-0584(영어박사)●홈페이지 : https://cafe.daum.net/moon822 2023-04-20
-
알아두면 도움 되는 부천 알뜰 건강정보 자녀 출산부터 노인층에 이르기까지 건강한 삶을 위한 복지혜택은 얼마나 될까. 부천시에서는 연령 별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원책을 마련했다. 알아두고 찾아 쓰면 좋을 각종 제도를 모아 보았다.임신과 출산지원책부천시가 임신과 출산 지원정책으로 펴고 있다. 이에 따라, 한방 난임 치료 지원,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원, 맘(Mom)편한 택시,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등 다각도의 임신과 출산지원책을 마련했다.먼저, 난임 부부 20명을 대상으로 한방 난임 치료를 지원한다. 부부 두 사람 모두 신청할 수 있으며, 부천시가 지정한 한방의료기관을 통해 한약 치료 3개월·사후관리 3개월 등 총 6개월의 한방 난임 치료가 진행된다. 1인 한도 180만 원 이내 한약 비를 지원하며, 침과 물리치료 등은 지원에서 제외된다.또한, 임산부 대상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도 지원한다. 구입액의 20%를 자부담하면 최대 1년간 총 48만 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지원받을 수 있다. 신청일 현재 임신 중이거나 지난해 1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신청서 제출 후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정된다. 신청서는 지원 대상 당사자가 온라인 통합쇼핑몰(www.ecoemall.com)에서 직접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이 밖에도 임산부의 병원 오가기를 돕도록 올해 5월 ‘맘(Mom) 편한 택시’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택시 이용을 원할 시 부천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1588-3815)로 전화해 출발지와 도착지를 말하면 가까운 거리에 있는 차량이 배차된다. 요금 1300원만 결제하면 나머지 금액은 부천시에서 지원한다.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를 위한 산후조리비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지원도 이어진다. 시에 주민 등록된 산모 가구 중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은 건강관리사의 일정 기간 방문을 통해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 가사 활동 지원 등 산후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이용권을 받는다. 해당 서비스 신청은 복지 포털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주소지 담당 보건소에서 신청하면 된다.대상은 임신 16주 이후 사산 및 유산 산모도 가능하며, 셋째 아이 이상 출산가정, 희귀 난치성질환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 미혼모 산모, 쌍생아 이상 출산가정 등은 소득 기준과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다.출산가정의 경제 부담을 덜도록 경기도 산후조리비도 지원된다. 태어난 지 1년 이내 출생아가 있는 가정은 거주 기간과 관계없이 출생아 1인당 50만 원을 부천페이로 지급한다. 출생아 지원비 신청은 경기 민원24(gg24.gg.go.kr) 사이트 또는 담당 동(洞) 행정복지센터 또는 주민지원센터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출산 축하선물도 출생아 1인당 부천페이 10만 원을 받는다. 이 밖에도 첫만남이용권, 다자녀 출산지원금,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선천성 대사 이상아 검사나 환아 관리, 선천성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신생아 출산 가구 전기요금 할인 등도 가능하다.Tip 임신과 출산지원책 안내* 부천시 홈페이지(bc.go.kr):‘분야별 정보→아기 환영부천* 복지로(bokjiro.go.kr):복지정보* 임신 육아 종합 포털 아이사랑(childcare.go.kr): 임신과 육아 종합 정보* 마더세이프(mothersafe.or.kr): 예비임신부 관리 프로그램 등* 예방접종 도우미(nip.kdca.go.kr)* 대한모유수유의사회(bfmed.co.kr)실버들을 위한 건강 교실부천시가 실버 시민을 위한 건강 교실을 연다. ‘실버청춘 건강 교실’은 두 가지 조건인 65세 이상과 만성질환 위험군 또는 질환 관리 군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오는 5월부터 7월까지 주 2회 매주 월, 수 오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프로그램에서는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체성분 등 건강검사, 체력측정, 생애주기에 적합한 건강생활실천 교육 및 정보 제공, 운동 교실 등으로 구성된다. 참여자는 분야별 전문 인력의 개인별 진단 및 평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게 되며, 참여도에 따른 기념품도 지급할 예정이다. 모집 기간은 오는 27일까지이다. 문의 032-625-9800중년기를 위한 정신건강 프로그램도 열린다. 부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시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강좌 중, 중년기를 위한 스트레스 프로그램 ‘스페셜(SPECIAL)’을 진행한다.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년기 프로그램 ‘스페셜’에서는 심리와 정서적 이해, 정신건강 관리 전략을 통해 중년기의 정체성을 재정립과 건강한 인생 전환기를 맞도록 도울 계획이다. 교육은 오는 4월 25일부터 5월 23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12시이며 비용은 무료다. 문의 032-654-4024어르신 마인드와 치매 관리 프로그램부천시와 부천시자살예방센터(이하 센터)가 노인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노인 정신건강 외래치료비 지원사업 ‘어르신마인드케어’를 연다. 노년기 정신건강의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의료비 부담과 소득 상실 등의 이유로 노인들은 정신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정신질환 조기 발견 및 조기 개입 체계를 마련하여 적절하고 꾸준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인 정신건강 외래치료비 지원사업을 추진한다.대상은 부천시 주소지를 둔 노인으로, 만 65세 이상이면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질병코드 F32~39(기분 정동장애)로 진단받은 경우다. 지원은 올해 1월 1일부터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외래진료 받은 본인 일부 부담금으로 1인당 최대 연 36만 원 한도 내이다. 문의 032-654-4024100세 건강실에서는 치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어르신 및 치매 가족을 대상으로 ‘건강해YOU’과정을 운영한다. 건강해YOU는 만성질환 바로 알기 및 만성질환 예방 교육으로 구성돼, 어르신들이 쉽게 고혈압을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진행된다.또한, 치매 어르신 및 치매 가족에게 만성질환 이해를 돕고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생활 습관을 갖도록 맞춤 교육을 한다. 교육 후 대상자들은 100세 건강실을 방문해 혈압과 혈당검사 및 체성분 검사, 골밀도 검사 등 다양한 기초 건강검진을 받는 등 건강 상담을 받게 된다.문의 부천동 032-625-9441, 신중동 032-625-9460, 중동 032-625-9452, 상동 032-625-9473 2023-04-19
- 전기학교 전형은 8월부터, 후기학교 전형은 12월부터 실시 경기도교육청이 지난달 31일 ‘2024학년도 경기도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주요 전형 일정과 방법을 안내했다.2024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전형은 중학교 내신성적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내용을 중심으로 선발하고, 전기학교와 후기학교로 나눠서 진행한다. 2024학년도 경기도 고등학교 입학전형의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참고 경기도교육청 고등학교 입학 전학 포털(https://satp.goe.go.kr/)8월 25일 경기북과학고부터 원서접수 시작전기학교는 과학고, 마이스터고, 예술고, 체육고, 특성화고, 일반고 특성화학과가 해당하며, 전형 기간은 오는 8월 25일부터 12월 4일까지다.경기도지역에서 가장 먼저 입학전형이 시작되는 학교는 경기도 유일의 과학고인 경기북과학고로 8월 25일부터 원서접수를 시작한다. 이어 마이스터고와 예술고, 체육고 등이 10월부터 원서접수가 진행된다.후기학교는 일반고, 자율형 공립고, 외국어고, 국제고, 자율형 사립고가 해당되며, 전형 기간은 12월 8일부터 2024년 2월 16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경기도지역 중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원하는 고교유형들이 포함된 후기학교는 선 지원 후 추첨 방식으로 진행된다.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사고에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은 학군내·구역내 모두 1지망은 외고, 국제고, 자사고로 하고, 2지망부터 학군내·구역내 일반고를 기재한다. 외고, 국제고, 자사고에 합격한 경우 평준화학군 일반고(자율형 공립고 포함)에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불합격한 경우에만 평준화학군 일반고(자율형 공립고 포함) 전형에 합격한 학생에 한해 추첨 배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외고, 국제고, 자사고에 불합격한 경우에는 평준화학군 일반고(자율형공립고 포함) 추첨 배정은 2지망부터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평촌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 외고를 희망한다면 1단계 학군내 배정과 2단계 구역내 배정을 위해 모두 1지망에 희망하는 외고에 지원하고, 학군내배정(1단계)을 위해 학군내 전체 고등학교 중 2지망부터 5지망까지, 구역내배정(2단계)을 위해 구역내 전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배정받기를 희망하는 일반고를 순서대로 2지망부터 11지망까지 기재하면 된다.일반고 내신반영 지침일반고에 진학할 때 내신성적이 반영된다는 것을 잘 모르는 학생이 많지만, 교과성적과 봉사활동, 출결 등 여러 활동을 점수로 산출한 내신성적이 반영된다. 전형 방법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적용해 중학교 교과 성적은 과목 표준편차를 제외하고 성취도와 원점수만 반영한다.내신성적은 교과활동상황 150점, 출결상황 20점, 봉사활동 실적 20점, 학교활동(수상실적 및 자치회 임원활동) 실적 10점, 총 200점으로 산출한다. 다만 자유학년제 시행 학년의 교과활동상황 성적은 반영하지 않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교육감지정), 자율형 사립고, 마이스터고, 학교운영의 특례를 적용받는 학교는 학교별 별도 내신 산출하여 학교별로 전형한다.교과활동상황 성적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영역에 따라 내신성적 반영비율 및 점수가 다르며, 일반교과와 체육·예술 교과로 나누어 60%와 15%로 반영된다. 학업성취평가제를 적용한 학기당 이수 교과목의 과목별 성취도, 원점수에 의한 점수를 반영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A, B, C, D, E로 구분된 내신성적을 점수로 150점을 만점으로 하여 환산한다.20점 만점인 출결상황 점수는 학년별로 나누어 산정하고, 봉사활동은 3년 동안 15시간 이상 봉사시간을 인정받으면 만점을 받을 수 있다.보통 수상실적과 임원활동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학교활동 실적은 10점 만점에 기본점수 8점이 주어지고, 1학기 수상실적 1개당 0.5점, 임원활동 월 평정점 0.1점이 부여된다. 월 점수이다 보니 3학년 10월 말까지 매달의 점수를 부여받게 된다. 수상실적은 한 학기당 교내상 한 개씩만 반영한다.이렇게 200점 중 점수로 환산된 개별 학생의 점수에 따라 일반고 배정에 앞서, 배정예정자를 발표하고,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추첨 배정이 이루어진다.2024학년도 고입전형 주요 변경사항2024학년도 고입전형에서 달라지는 것은 방역 관련된 사항이다. 아무래도 지난해 입학전형을 지원하면서 코로나로 인한 지침들이 많이 적용되었으니 올해는 이 부분이 완화되며 조금은 다른 지침이 적용될 계획이다. 전형 기간 중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시험 방역 관리 안내 지침을 적용해 특수목적고․특성화고의 면접과 실기는 집합 전형으로 실시할 예정이다.도교육청 김선경 진로직업교육과장은 “2024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전형에 현 중학교 3학년 학생과 학부모님, 담임 선생님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학생의 고교선택권을 보장하면서 공정하고 타당한 고입 전형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한편 ‘2024학년도 경기도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은 경기도교육청 고등학교 입학·전학 포털 누리집(https://satp.go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표_2024학년도 경기도 고등학교 입학전형 일정 2023-04-19
- 수학, 국어 선택과목 학교마다 이수 학년 달라 문·이과통합 교육과정인 2015 개정교육과정이 시작된지도 5년 차에 접어들었다. 문·이과 통합 수능 3년 차를 맞이하는 2023학년도.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안양시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학교별 선택과목 편성현황을 알아봤다.참조 각 학교 홈페이지 2023학년도 신입생 교육과정신성고, 확통 2학년 필수 이수 과목 편성신성고의 경우에는 수능 수학 선택과목인 확률과통계(확통)/미분과적분(미적)/기하 과목 중에서 대부분의 인문계열학생들이 선택하는 확통을 2학년 필수 이수과목으로 편성해 수Ⅰ, 수Ⅱ, 확통을 모두 2학년 때 이수하도록 했다. 자연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확통을 필수 이수해야 한다. 때문에 신성고 학생들의 경우, 2학년 때 수학 공부 부담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나머지 선택과목인 미적, 기하의 경우에는 3학년 선택과목으로 편성해 학생 개별 자율 선택 수강하면 된다.국어의 경우에는 수능 국어 선택과목인 언어와매체(언매)/화법과작문(화작)이 3학년 1학기 선택 수강하도록 교육과정이 편성되었으며 사회탐구, 과학탐구과목의 경우에는 2학년 때 3과목, 3학년 때 3과목 선택 수강하면 된다.백영고, 3학년 1학기 확통/미적 선택과목으로 편성백영고는 2학년 때는 수학, 국어, 영어 등 기본과목은 필수과정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수능선택과목은 3학년 때 선택 수강하도록 교육과정이 편성했다. 이전에는 확통/기하를 2학년때 선택수강하도록 편성했었으나 학생들의 학업 편의성을 고려해 선택과목을 3학년 편성으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취평가 대상인 기하는 3학년 때 진로선택과목과 함께 선택수강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변경 편성했다. 국어의 경우에도 3학년 때 화작/언매 선택수강으로 편성되었다.이외에 국제법, 화학실험, 문예창작입문, 생명과학실험 등의 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어 학생들의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의 폭을 넓혔다.부흥고, 화작/언매 국어선택과목 2학년 2학기 편성부흥고는 다른 학교와 달리 화작/언매를 2학년 때 편성하고, 독서를 3학년 선택과목의 하나로 편성한 점이 눈에 띈다. 영어의 경우에도 ‘영어 독해와 작문’을 2학년 2학기때 편성하고 영어Ⅱ를 3학년 선택과목으로 편성했다. 수학은 3학년 때 확통/미적이 선택과목으로 편성됐다.이외에도 주문형강좌와 공동교육과정으로 다수의 과목을 편성했다. 특색있는 과목으로는 심리학, 인공지능기초, 프로그래밍, 3D모델링 가공, 로봇 소프트웨어개발, 미디어콘텐츠 등이 있다.평촌고, 확통 2학년 필수, 주문형 강좌 다수 개설평촌고도 신성고와 마찬가지로 2학년 때 확통을 필수로, 3학년 때 미적/기하 언매/화작 등 선택과목을 선택 수강하도록 편성했다. 탐구과목의 경우에는 2학년 때 3과목, 3학년 때는 2과목 선택 수강으로 편성하고, 소인수 강좌와 타 학교와 공동교육과정 등을 다수 개설한 점이 눈에 띈다. 눈에 띄는 과목으로는 심리학, 시각 디자인, 정보과학, 융합과학 탐구 등이 있다.동안고, 확통 3학년, 언매 2-2학기 필수 편성동안고는 수능국어 선택과목 중 하나인 언매를 2학년 2학기 때 필수 편성하고, 독서 과목을 3학년때 편성한 점이 다른 학교와 다른 점이다. 다른 선택과목인 화법과작문의 경우에는 3학년 선택과목으로 지정했다. 수학의 경우에는 확통을 3학년 필수과목으로 편성했으며, 미적/기하는 3학년 선택과목으로 편성했다.이외에 주문형강좌 등 추가 개설과목으로 심리학, 정보과학, 생태와 환경 등 다수 과목을 편성했다.인덕원고, 확통 3학년 1학기 필수 편성인덕원고는 확통을 3학년 1학기 편성하고, 미적은 3학년 선택과목으로, 기하의 경우 2학년 때 교과영역 간 선택과목으로 편성했다. 국어의 경우 독서를 2학년 1학기, 문학을 2학년 2학기, 언매/화작은 3학년 1학기 선택과목으로 편성했다.이외에 주문형강좌와 공동교육과정으로는 문예창작입문, 프로그래밍, 교육학, 심리학 등의 과목이 있다.성문고, 확통 2학년 필수과목 편성성문고는 확통을 2학년 필수과목으로 편성해, 신성고와 마찬가지로 2학년 수학 비중이 높은 편이다. 미적은 3학년 때 경제수학 중 택일하도록 편성했고, 기하는 교과영역간 선택과목으로 편성했다. 성문고는 교과 영역 간 선택과목에 사회탐구과목과 과탐2 과목, 기하, 인공지능수학 등 과목을 편성해 3과목을 선택하도록 편성한 점이 눈에 띈다.양명여고, 기하 2학년, 확통/미적 3학년 선택과목으로 편성양명여고의 경우에는 기하를 2학년, 미적을 3학년 교과영역간 선택과목의 하나로 편성하고, 확통의 경우에는 3학년 때 수학과제탐구와 선택 수강이 가능하도록 편성했다.양명여고의 경우에는 타교와의 공동교육과정을 다수 편성해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특색 과목으로는 간호의 기초, 국제 정치 등이 있다. 2023-04-19
-
내용 요약과 핵심어 정리, 그리고 품사 When E.O. Lawrence, a brilliant young physicis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egan tackling this problem in 1929, the first attempts at splitting the atom had just begun, using a linear accelerator ? a device that fired a proton down a straight track at very high speeds, where it would smash an atom into its components. But linear acceleratiors had hit a theoretical brick wall. They worked fine when smashing lighter atoms like hydrogen, but the sheer momentum needed to crack open a “heavy” element, such as uranium, demanded more volts of power than could safely be controlled. 위의 문단은 보이는 것과는 달리 단 두 문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정보를 요약하고 압축해내기 전에 일단 정확한 해석이 필요한데, 이때부터 해석 순서와 기준이 필요하다. 먼저 해석을 시작하기 전에 이 긴 문장을 어떻게 나눠서 해석할 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그 기준으로 삼을 것은 일단 구두점이다. 즉, When E.O. Lawrence,/ a brilliant young physicis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egan tackling this problem in 1929,/ the first attempts at splitting the atom had just begun,/ using a linear accelerator ?/ a device that fired a proton down a straight track at very high speeds,/ where it would smash an atom into its components./ But linear acceleratiors had hit a theoretical brick wall./ They worked fine when smashing lighter atoms like hydrogen,/ but the sheer momentum needed to crack open a “heavy” element,/ such as uranium,/ demanded more volts of power than could safely be controlled.이와 같이 11개의 사선으로 나누면 총 13개의 절로 구분된다. 각 절을 기본 단위로 해석한 뒤, 순차적으로 정보를 나열하면 올바른 해석이 이루어진다. E.O.로렌스는 / 버클리대학의 총명하고 젊은 물리학자였는데,/ 그가 1929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기 시작했을 때,/ 원자를 쪼개려는 첫 번째 시도들은 막 시작되었고,/ 직선의 입자가속기를 이용하였는데,/ <이 장비는> 직선의 트랙 아래로 매우 빠른 속도로 양성자를 발사하던 장비였으며,/ 그 트랙 속에서 원자를 그 구성요소들로 쪼갤 것이었다./ 그러나 직선형 입자가속기들은 이론적인 장벽에 부딪혔다./ 직선형 입자가속기들은 수소와 같은 더 경량의 원소들을 쪼갤 때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우라늄과 같은/ 중원소를 쪼갤 때 필요한 순수 운동량은 안전하게 통제될 수 있을 것보다 더 많은 전압의 전력을 필요로 했다. 이 문단은, “원자를 쪼개던 초기에, 한 때는 직선형 입자가속기가 사용되었으나 곧 한계에 부딪혔으며, 중원소 원자들을 쪼개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통제 불가능한 높은 전압의 전력을 필요로 했다.”로 한 문장 요약을 할 수가 있고, 이문장을 다시 이렇게 영어로 옮길 수 있겠다.“At the beginning of splitting atoms, a linear accelerator was once used, but soon it hit a wall, and it required a higher voltage of power than could not be safely controlled to split the heavy elements.” 이 요약된 한 문장에서도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비록 시도는 시작되었지만 기술적 한계에 봉착했다는 것이고, 그 문장들 가운데 가장 핵심단어를 뽑으라면 ‘a theoretical brick wall’ 정도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글을 정리해 보면 6~7개의 문단으로 구성된 에세이가 역시 6~7개의 핵심어로 정리가 가능하고, 또다시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주제 문단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한편의 글의 한 개의 단어나 어구로 정리가 가능하다. 여기까지 정보의 가공이 이루어지면 이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의견이나 소견을 피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동의가 비판적 서술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 단계까지 나아가는데에는 해석력이 기본 바탕이 되고, 그 바탕을 구성하는 요소가 제일 먼저 품사인데, 흔히 시장에서 통용되는 직독직해 방식이나 문법 문제를 풀기 위한 문법으로는 해결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결국 품사란 해석을 위해 존재하는 체계이므로 개념적으로 정의가 이루어지고 제대로 사용된다면 오히려 교육목표에 다가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다행인 것은, 해석원리나 방법에는 모두 원칙과 방법론이 있고, 성장하는 학생들에게 그만한 시간적 여유가 있으므로 연습과 실습을 통해 경험을 쌓게 하면 아무리 어렵고 부담이 큰 제도나 과정으로 바뀌더라도 학습의 본질을 변하지 않기 때문에 대비가 가능하다. 다만 이제까지 제도권에서 준비해 온 시험준비를 위한 학습보다는 좀 더 심화된 접근과 보다 다양한 어휘들에 대한 뜻과 용례들을 요구할 것이므로, 이제라도 기존의 학습에 대한 약간의 변화를 줄 필요는 있을 것이다. 일산 후곡 에이포인트영어학원안정준 원장 일산서구 일산로 542 용신프라자 3층문의 031-905-7771 2023-04-14
-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알아야 하는 수학/과학 공부법과 특목고·자사고 입시 준비 전략 지난 몇 년 동안, 과학고와 자사고가 많은 학생들의 꿈의 목표로 떠올랐습니다. 이들 학교에 입학하면 체계적인 교육과 함께 뛰어난 동료들과 경쟁하며 학문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누리게 됩니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학과 과학 문제를 풀면서 어려운 부분을 극복하는 공부법을 배우고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면 과학고와 자사고 입시에 더 강한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수학 과학 공부법 그리고 특목고 자사고 입시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수학 공부법수학 공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수학은 기초가 중요하므로, 처음부터 차근차근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문제를 풀고 연습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우선, 수학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숙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념 설명을 듣거나 교재를 통해 이해한 뒤, 예제 문제와 연습 문제를 통해 개념을 체계화해야 합니다. 또한 문제를 잘 읽고 주어진 정보를 정리한 후, 문제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적절한 풀이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알맞은 공식이나 방법론을 선택하여 풀이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풀이 과정을 정리하고, 오답 및 약점을 파악하여 복습하는 것입니다. 틀린 문제나 어려운 문제를 기록하는 오답 노트를 작성하면 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해서 틀린 문제는 반드시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2-3개 정도 더 풀어야 합니다. 유사문제를 풀지 않고 오답 노트만 작성하면 나중에 같은 문제가 다시 나와도 또 틀리게 됩니다. 따라서 오답노트 관리는 오답정리, 유사문제, 재시험 순으로 주기적으로 검토해나가야 합니다.과학 공부법과학 공부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과학 지식은 쉽게 잊혀지므로 주기적인 복습을 통해 지식을 장기기억으로 옮겨야 하며 일정 시간을 정해 두고 복습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또한 과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이해가 높아지므로 가능한 한 많은 실험과 도전을 통해 지식을 체화해야 합니다. 중학교 1학년의 경우, 학교에서 실시하는 학생 탐구 발표대회 등을 참가하면서 실험 과정을 관찰하며, 실험 결과와 원리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과학 문제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원칙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과학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개념을 이해하고 필요한 공식이나 정보를 외워야 합니다. 이해와 외우기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 학습하면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잘 읽고 주어진 정보를 정리하며, 무엇을 구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풀이 방법을 세워야 합니다. 과학 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풀고 나서 오답 및 약점을 분석하며, 개선 방안을 찾는 것입니다. 오답 노트에 필요한 이론이나 공식을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다음은 특목고와 자사고 입시를 준비하기 위한 전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첫 번째는, 목표 설정입니다.먼저 목표로 하는 학교와 장래희망을 선정하고, 입시 요건을 파악하세요. 목표를 세울 때 자신의 능력과 흥미, 지원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두 번째는, 시간 관리입니다.중학교 1학년부터 체계적인 시간 관리를 통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교 수업, 학원, 동아리 활동 등을 고려하여 학습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세요. 중학교 1학년 2학기 또는 2학년 때는 학교 내신이 반영되므로 미리 과목별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세 번째는, 전년도 입시 분석입니다.전년도 입시 결과를 분석하여 시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준비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세요. 이 과정에서 선배들의 조언이나 선생님의 지도를 받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네 번째는,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입니다.입시 준비 기간 동안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 달성에 대한 동기부여를 유지하고. 취미나 운동, 친구들과의 교류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나친 온라인 게임을 지양해야 합니다. 온라인 게임(핸드폰게임 포함) 진행 중에는 뇌가 쉬는 것이 아니라 과거 우리 인류가 사냥을 할 때 나타나는 뇌파가 발생하므로 오히려 더 스트레스를 받습니다.마지막으로, 특목고 입시 기출문제 학습입니다.기출문제를 풀면 시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험 작성자의 문제 출제 스타일과 어떤 개념이나 유형이 중점적으로 출제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주제가 중요한지 파악할 수 있어, 공부 방향을 잘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 계획을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습니다.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자사고와 특목고 입시준비를 위해 필요한 수학/과학 공부법과 입시 전략을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면 입시에 더 강한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앞서 제시한 방법들을 참고하여 계획을 세우고, 꾸준한 노력을 통해 목표를 이루기 바랍니다.중계지엠에스학원 중계리딩비학원 관악뉴스터디학원 조창모원장 2023-04-14
- 우리아이 영어 이대로 괜찮을까? 왜 엄마표 영어인가? 영어를 왜 배우나요?우리나라는 전 세계 최고라 자부할 만큼 영어교육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합니다. 하지만 영어교육 목적이 명확하지 않아, 어른 아이 모두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흔들리게 됩니다. 외국어로써 영어구사력이 뛰어나다는 유럽 국가들은 영어교육목적을 ‘영어 사용자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함’이라 정의합니다. 우리보다 훨씬 적은 시간의 공교육만으로도 영어를 구사하는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은 왜일까요? 영어 교육의 목적이 분명하기 때문에, 또 그에 맞는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입니다.“우리가 영어를 배우는 목적은‘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서로 교류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목적이 분명해질 때, 부모들도 우리 아이들의 영어교육 방향을 주관을 갖고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영어 감각을 키우는 절대 시간이 부족한 공교육 영어그렇다면 한국의 현실은 어떨까요? 핀란드 학생에 비해 3배 이상의 시간을 영어에 투자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독해와 문법에 할애하기 때문에 언어로서의 감각을 키울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영어노출이라는 양이 따라가지 않기 때문에 영어습득이라는 질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것입니다. 영어는 지식을 배우는 다른 공부와는 다르게, 온몸의 기관을 이용해 익혀야 합니다. 개연성 없는 단어들을 무작정 외워서는 의사소통이 되는 영어는 결코 할 수 없습니다. 일단 영어감각을 키우는 가시적인 효과가 보이지 않는 시간들이 반드시 선행되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언어학자들은 모국어를 제외한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 평균 3,000~4,000시간을 투자해야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수준에 다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부족한 시간들은 어디서 어떻게 채워져야 할지 고민해 보아야 할 시점입니다.“개연성이 없는 단어들을 무작정 외워서는 결코 영어를 잘 할 수 없습니다. 자연스러운 문맥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살아있는 단어를 배워야 말하기?쓰기 등 실제 상황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영어교육의 대안으로 떠오른 모국어식 영어습득법 “아이보람”어렵지 않고 쉽고 재미있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실천방법은 무엇일까요? 학원만이 답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엄마표영어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특별한 사교육 없이 영어학습에 성공한 사례들은 이미 무수합니다. 그 대다수는 좋아하는 만화를 자막 없이 보고, 생활영어가 많이 포함된 시트콤과 드라마를 보고 들리는대로 따라 말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자기 수준에 맞는 적절한 원서를 읽음으로써 활용빈도가 많은 어휘뿐만 아니라, 독해, 쓰기, 문법 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었다고 합니다.“영어가 학습이 아니라 즐기며 사용하는 말이라고 아이가 느끼게 해야 합니다.아이들이 자막없이 영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한 두 마디 내뱉기 시작하는 단어와 문장들은 분명 달달 외워서 뱉는 학원 영어와는 차이가 있습니다.”언어는 결국 모방이 앞서지 않고는 결코 배울 수 없습니다. 학습의 잣대로 영어를 말하게 하고 생각하고 쓰게 한다면, 아이는 결국 자유롭게 언어를 표현해 내기 힘듭니다. 우리는 누구나 실패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아이 옆에서 엄마가 하나의 언어를 배우는 실패의 과정들을 충분히 기다려주고 격려해주며, 많은 양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훈련하고 아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영어를 접하게 해 준다면 영어는 결코 넘지 못할 벽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보람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영어를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들려주는 노력을 통해 효과적인 모국어식 영어습득을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목적과 방법과 방향을 잘 아는 성인이라 할지라도 혼자 끝까지 해 내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그래서 아이보람은 뜻을 같이 하는 어머님들과 함께 가고자합니다. 아이보람은 이미 성공한 엄마들의 방법을 배우고, 아이들이 영어학습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행복하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함께 고민하고 찾아보는 곳입니다. 정부의 정책이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는 영어에 대한 바른 기반을 아이보람을 통해 아이와 엄마가 함께 만들어 나가시길 바랍니다.“아이보람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영어를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들려주는 노력을 통해 효과적인 모국어식 영어습득을 도와주는 방법입니다.”아이보람 창동센터윤 경화 원장문의 02-908-8919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