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 검색결과 총 2,253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동두천 중앙역 월드메르디앙 361세대 사진명 : 동두천야경 월드건설(대표 조대호)은 동두천시 생연동 중앙역 인근에 23~38평형 361세대를 분양한다고 27일 밝혔다. 중앙역 부근은 2006년 말 경원선 전철 복선화로 서울 도봉산역까지 20분대(급행기준)에 연결이 가능해져 동두천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 단지 앞을 지나는 ‘3번 국도 대체 우회도로’가 2012년 완공될 예정이다. 인근에 동두천시청이 있고 동두천 초중고, 동두천여중, 정보산업고, 보영여중고, 동두천외고 등 교육시설과 대형마트, 종합병원이 들어설 예정으로 생활 편의성이 높다. 동두천 아파트 최초로 지상 주차 공간을 없애(장애인용 제외)고 입주민을 위한 테마별 커뮤니티 공간으로 단지를 설계해 쾌적성을 최대화했다. 동두천은 2011년부터 1200만 여 평의 미군공여지가 순차적으로 반환되면서 첨단 IT산업단지조성, 500만평 규모의 국제자유도시 건설 등이 추진되고 있어 개발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평당 500만원대에 중도금 무이자로 공급할 계획이며 29일부터 사흘간 청약을 받는다. 문의 031)861-3500. 성홍식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8-27
- 학교복합화시설 강남북 차별 서초강남, 1000여평 규모 수영장 헬스장 간이골프장까지 자치구 재정 어려운 노원도봉, 300평 체육관도 감지덕지 서울 강남·북 지역 아이들이 학교 체육시설에서도 차별받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대규모 예산을 투자해 짓고 있는 학교복합화시설 역시 자치구간 재정격차에 따른 지역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서초·강남구와 강북권 노원·도봉구가 대조적이다. 서초·강남은 이름 그대로 복합화시설인데 반해 노원·도봉은 체육관뿐이다. 2005년 문을 연 포이초등학교는 2168㎡(656평) 규모에 수영장과 체육관 헬스장을 갖춰 시설이 가장 작은 편이다. 지난해 개장한 서초구 신동·서일중은 체육관에 수영장 헬스장 에어로빅장까지 갖췄다. 언남중고는 3738㎡(1131평) 규모에 수영장 헬스장 에어로빅장을 넣었다. 공사가 진행중인 강남구 3개 초등학교는 체육관과 헬스장 수영장에 문화교실까지는 기본이다. 도서관과 멀티미디어실, 학교에 따라서는 어린이집과 간이골프장같은 특화시설도 예정돼있다. 재정여건이 어려운 서울 노원구와 도봉구는 복합화시설이라는 말이 무색하다. 4개 초·중학교에 학교복합화시설 공사를 끝낸 노원구는 990㎡(300평) 안팎인 체육관이 전부다. 2003~2005년 문을 연 당현 수암 중현초등학교는 물론 지난해 문을 연 중평중도 마찬가지다. 올해 신규사업으로 상원·하계중 두곳이 공사 중이지만 둘 다 체육관만 예정돼있다. 도봉구도 사정은 같다. 도봉 창일 창동중은 모두 990㎡(300평)이 안되는 체육관뿐이다. 지난해 말 개관한 초당초등학교만 체육관에 수영장을 더했다. 체육시설 지역격차는 기본적으로 자치구간 재정격차 때문이다. 교육청과 시비 지원율이 50%와 40%로 일정하고 지원한도도 같다. 건축면적 3.3058㎡(1평)당 600만원, 1653㎡(500평)까지다. 그러나 강남권은 교육청·시비 지원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시설을 중심으로 짓고 나머지 금액을 구청에서 부담한다. 실제 운영중인 시설에 강북권 구청이 1억2000만~6억7500만원, 강남권은 54억~141억원을 투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남지역은 예산지원 신청도 않는다”고 밝혔다. 강북지역은 체육관만이라도 감지덕지라는 입장이다. 억단위 예산도 부담스러워 복합화시설 내용물보다는 빠른 시일 내 확충하는 데 무게를 둔 것이다. 그러다보니 교육청 예산이 강남권에 더 많이 투입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했다. 학교시설복합화는 자치단체가 학교 내 체육시설을 다목적시설로 확장하도록 지원하는 대신 학생들이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인구 10만명당 한곳씩 지을 수 있으며 7월 현재 서울시내 34곳에 운영 중이다. 공사가 진행중인 학교가 12개, 10곳은 설계·준비 중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7-30
- 건물분 재산세 최고액 ‘송파 호텔롯데’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전용면적 244㎡)의 올해 재산세 1차 납부액은 537만 7500원으로 전년 대비 50% 올랐다. 서울시내 건물분 재산세 중 최고액은 송파구 호텔롯데로 13억원, 다음으로 서초구 센트럴시티 10억 7800만원, 강남구 스타타워가 10억 6800만원을 기록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올해 6월 1일 현재 주택 및 상가·사무실 등의 건물, 선박, 항공기 소유자에게 재산세 8956억원을 부과했다. 이번에 부과된 재산세는 연간 서울시민이 납부해야 하는 재산세 2조 4792억원의 36.1% 규모로 지난해 부과액인 2조 365억원보다 4427억원 증가했다. 재산세 인상은 지난해보다 주택 공시가격이 평균 24.5% 올랐기 때문이다. 3억원 이하 주택에는 지난해보다 275억원 줄어든 1476억원을 부과했다. 감소 원인은 3억 이하 주택이 16만 1000호 줄었기 때문이다. 3억원 초과 6억원 사이 주택은 지난해보다 9만 7000건 늘어난 48만 7000호에 총 1438억원을 부과했다. 6억원 초과 주택에는 지난해보다 108.4%(1564억원) 늘어난 3007억원을 부과했다. 6억원 초과 주택의 재산세가 급상승한 이유는 지난해보다 10만 9000호가 증가했고, 특히 올해는 탄력세율을 적용하지 않아 대폭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재산세 6억원을 초과한 주택 25만 8000호가 서울 전체 주택재산세 부담액 5921억원의 50.8%를 부담한다. 올해 부과된 자치구별 재산세는 강남구가 2573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1519억원, 송파구 1217억원 순이다. 강북구는 176억원으로 가장 적었고, 금천구 194억원, 중랑구 198억원 등이다. 지난해 대비 재산세 증가액 역시 강남구가 608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385억원, 송파구 322억원 순으로 늘어났다. 가장 적게 증가한 자치구는 도봉구 20억원, 금천구 23억원, 강북구 23억원 순으로 강남구와 도봉구의 재산세 증가액 격차는 30.4배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7-13
- 서울 동사무소 100개 폐지 서울시내 동사무소 100곳이 내년 하반기까지 공공보육시설과 공공도서관 등으로 바뀐다. 100곳 중 39곳은 공공보육시설(12곳)과 공공도서관(5곳), 주민자치센터(19곳) 등으로 리모델링되며, 2곳은 매각된다. 서울시는 통폐합 동사무소 대상 200개를 선정하고 이 중 100개 동사무소를 내년까지 폐지키로 해 서울시내 동사무소는 현재 518곳에서 418곳으로 줄어든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동 평균 관할 인구수는 1만9655명에서 2만4358명으로 23.9% 늘어난다. 자치구별로는 성북·서초구가 각각 10곳, 서대문·관악구가 각각 6곳, 노원·동작구가 가각 5곳, 종로구 등 12개 구가 각각 4곳, 성동구가 3곳, 광진·금천구가 각각 2곳, 중·도봉·강남구가 각각 1곳씩 폐지된다. 이중 가장 많은 동을 통폐합하는 서초구의 경우 18개 동을 약 8개 동으로 통폐합, 인구수 5~6만명을 관할하는 실질적인 대동제를 추진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 중이다. 또 동사무소 통폐합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인력 1308명은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복지분야와 폐지동의 시민불편 해소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잔존하는 동사무소 등에 재배치된다. 시는 동사무소 통폐합이 원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자치구의 재정여건을 감안, 통폐합 청사 1곳당 리모델링비로 10억원, 통합동 시설보수비로 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7-12
- ‘작은 일대기’ 일기의 재발견 ① 대부분 초등학생이 되면서 ‘일기’와 만난다. 요즘엔 종류도 다양해 그림일기, 영어일기, 논술일기, 과학일기…. 새로운 일기 형식도 줄을 잇고 있다. 그런데 어느 틈에 돌아보면 일기와 헤어진 자녀를 발견한다. 고학년에 접어들면서 학교의 일기 관리가 소홀(?)해진 틈을 타 자연스럽게 작별하는 것.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일기를 진정으로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세상과 내면의 나를 이어주는 통로’ ‘나의 작은 일대기’ ‘글쓰기의 기본’ 등 일기의 순기능이 많지만, 정작 아이들은 귀찮고 괴로운 존재로 ‘일기’를 대할 뿐이다. 이에 은 내 아이의 소중한 삶의 기록, 나아가 글쓰기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일기’를 다시 보려 한다. 그 시작으로 일기와 작별하지 않는 법을 살펴보았다. 취재 심정민 리포터 request0863@naver.com 서울 금천구 독산동에 사는 이미란 씨(34)는 저녁 9시만 되면 초등학교 4학년 아들과 실랑이를 벌인다. 1학년 때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써오던 일기를 언제부턴가 하루 이틀 건너뛰더니 최근 석 달 사이에는 일주일에 두 번 쓰는 것도 보기 힘들다. “어찌어찌 달래서 쓰게 해도 길어야 다섯 줄이 고작입니다. 내용도 단순해요. 학교에서 밥 먹은 이야기, 수업 시간 내용이 전부죠. 생각이 없어요.” 이씨는 1~2학년 때는 단순한 내용이라도 나름 자신의 생각도 표현하고 글씨도 반듯하게 썼다면서 ‘일기 쓰기를 지도하는 논술학원에라도 보내야 하지 않을까’ 고민이란다. 박은선 씨(39·서울 송파구 방이동)도 딸아이 일기 지도로 머리가 아프다. “우리 딸은 일기를 어떤 주제로 써야 할지 모르겠다며 일일이 저한테 물어요. 처음에는 흥미도 심어주고 일기 쓰기를 포기할까 봐 그날그날 글감을 정해주었는데, 1년이 지나도 스스로 주제를 정하지 못해 정말 답답해요.” 이춘애 씨(41·서울 도봉구 방학동)는 반대로 중3인 딸 은빈이가 꾸준히 일기를 써서 기특해하는 사례다. “은빈이는 오히려 저학년 때 일기 쓰기를 게을리 했어요. 그러더니 5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일기를 쓰더라고요. 그 덕분인지 은빈이는 교내외 글짓기대회 수상을 휩쓸 정도로 작문 실력이 뛰어나요. 일기 쓰기도 다른 공부와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고 하는 거죠. 다른 점이 있다면 일기 쓰기가 수단이 아니라 ‘나의 작은 삶에 대한 소중한 기록’이라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이씨는 강압적이거나 관행처럼 일기를 검사하지 않고 편안히 쓸 수 있는 환경만 만들어주면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 스스로 일기 쓰기가 얼마나 중요하고 소중한지 깨닫는다고 말했다. 당위성과 강요는 다르다, 일기의 본질에 충실하라 “일기 쓰기는 삶과 꿈, 나를 만나는 건데 ‘논술’과 결부되면서 지나치게 수단화되고 결과적으로 아이들에게 고통스러운 존재가 되는 겁니다.” 의 저자 김수홍 씨는 일기 쓰기만큼 좋은 글쓰기 교육이 없지만 본연의 가치가 아니라 교육에만 치중된 일기 쓰기는 오히려 역기능만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일기는 아이들은 물론이고 성인에게도 필요한데 아이들만의 의무인 것처럼 생각하는 어른들의 인식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때문에 부모가 일기 쓰기의 모범을 보이는 것도 일기 지도의 한 방법이라는 것. 김씨는 지속적이며 창의적인 일기 쓰기는 ‘글쓰기 능력 향상’이라는 결과를 분명 가져온다고 강조하면서 정형화된 틀에 얽매이지 않고 일상을 기록한다는 생각으로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한다. “주변에 일기 쓰기를 잘 활용한 예가 많아요. 어떤 과학자는 일기를 통해 연구 성과를 기록했고, 어떤 학생은 다양한 유형의 일기를 써 논술 실력을 키웠고요. 박지성 선수가 축구일기를 쓴 것도 좋은 예입니다.” 이처럼 일기는 쓰는 주체의 일상과 그들이 선호하는 주제를 담은 것이고, 그 일상을 꾸준히 담으면서 자연스레 삶에 대한 지혜와 소소한 노하우 등을 습득할 수 있다고 김씨는 전했다. “아이들에게 어느 정도 의무감을 줄 필요는 있어요. 하지만 그것은 일기 쓰기가 얼마나 삶을 빛나게 해줄 수 있느냐에 대한 교육이 전제돼야 해요. 하는 것이 옳다는 당위성과 해야만 한다는 강요는 분명 다르거든요.”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것이 ‘일기’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사는 심아무개 씨(33)는 얼마 전 초등학교 3학년 딸의 일기 문제 때문에 제대로 마음고생을 했다. “아이가 학교에 다녀와서 일기장을 바닥에 내던지며 우는 거예요. 엄마 말이 틀렸대요. 엄마는 일기를 솔직하게 쓰라고 했는데 그 솔직함 때문에 선생님께 야단을 맞았다는 거예요.” 사연인 즉 평소 다툼이 잦던 같은 반 남학생과 자신의 문제로 담임선생님께 야단을 맞았고, 다소 억울한 마음을 일기에 썼는데 그것이 문제가 되었던 것. “선생님께서 일기 검사를 하시다가 우리 딸을 부른 거예요. 뭐가 억울하냐며 그 억울한 마음을 한번 얘기해보라고 하면서요.” 친구들 앞에서 속내를 들킨 것도 속상할 일인데, 딸아이는 무엇보다 선생님을 믿고 솔직하게 일기를 썼다가 야단까지 맞은 것이 받아들이기 힘들었단다. “아이들은 생각보다 일기에 속내를 털어놓지 못합니다. 오랫동안 일기 검사를 해온 관행이 그 이유고요. 솔직하게 일기를 썼는데 잘못됐다고 몰아붙이는 어른들 때문에 아이들은 차차 마음의 문을 닫는 겁니다.” ‘풀잎논술’의 이영란 원장은 오랫동안 아이들을 지도하면서 일기의 유일한 역기능이 일기 검사로 인한 창작의 방해라고 진단했다. “아이들이 쓰는 일기는 목적이 없어요. 그런데 어른들은 일기 속에 부단히 의미를 부여하려 하죠. 아이들은 일기를 통해 속에 있는 말을 내뱉으면 그만이에요. 그래야 내면을 성찰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일기 쓰기 지도의 첫걸음은 솔직하게 마음을 표현하게 하는 거예요. 솔직한 일기가 목적을 가지고 잘 꾸며진 일기보다 훌륭할 뿐 아니라 ‘롱런’할 수 있고요.” 인권 침해 vs 자연스럽고 필요한 교육 과정 물론 일기 쓰기에도 ‘뜨거운 감자’가 있다. 일기 검사에 따른 ‘인권 침해’ 논란이다. 지난 2003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학생들의 일기 검사에 인권 침해 요소가 다분하다는 것이 인정되므로 그에 따른 적절한 대안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권고하면서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일단 일기 검사가 부당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서울 E초등학교의 박아무개 교사(46)는 “인권 문제만 놓고 일기 검사가 부당하다면 수업 시간의 제한이나 복장 규제, 교칙도 인권에 저해되는 일이 아닌가”라면서 “일기 쓰기의 순기능을 무시한 결정이다. 요즘같이 학생들과 교류가 부족한 시대에서 학생들이 처한 상황을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가 바로 일기 검사”라고 주장했다. 이영란 원장도 “인권위 결정은 지극히 단순하다”면서 “인권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고, 학생들이 처한 상황을 교사가 알아야 하는 것도 당연한 의무다. 문제는 일기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라고 말했다. 즉 교사나 부모가 개입해야 할 만큼 중요한 사안이 아니라면 보고도 못 본 척, 한 발 물러나는 관망의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독이 될 수 있는 일기는 ‘젯밥’에 관심을 갖는 거예요. 속마음은 그렇지 않은데 일기를 통해 착한 아이를 만들고 꼭 반성을 하게 하고, 글쓰기를 위해 일기를 쓰고…. 이런 것들이 올바른 일기 쓰기를 망치는 걸림돌이죠.” 이 원장은 일기 쓰기가 중요한 만큼 아이들에게 일기장에는 솔직한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게 하고, 교사와 학부모는 객관적 시각에서 제대로 일기를 쓸 수 있는 다양한 글쓰기 기술을 학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자녀나 학생의 일기내용을 보다 짜임새 있게 만들고 싶다면 그것을 객관화시키고 공론화해 개인적인 부분으로 접근하지 말아야 합니다. 일기 쓰기를 글쓰기에 공부에 직접적으로 적용해서는 안 되는 거죠.” 일기 쓰 2007-08-17
- 버스정류장 도착 안내시스템 설치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기 전 정보를 휴대전화로 알려준다. 서울시는 2010년까지 시내버스 정류장에 버스 도착시간을 알려주는 `버스정보 안내시스템(SABIS·Seoul Advanced Bus Information System)을 설치한다고 6일 밝혔다. 버스 노선별 도착예정시간, 현재 버스의 위치, 막차시간, 돌발적인 사고 등의 정보를 이 시스템을 통해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에게 알려준다. 이 같은 시스템을 시내 버스정류장 5000여 곳에 설치될 예정이다. 시는 이미 지난달부터 중앙 버스전용차로의 정류장 6곳(도봉-미아로의 삼선교, 도봉구민회관, 성산로의 연대 앞, 천호대로의 장한평 역, 군자교 입구)에 이 시스템을 시범 설치해 운영해왔다. 또 이달 중순께 시범운영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70여 곳에 추가로 설치한 뒤내년부터는 매년 150곳씩 설치 장소를 확대해갈 방침이다. 시는 또 지난 1일부터 ARS(자동응답전화)를 통해 제공하는 버스 정보에 막차 정보를 추가하고, 맞춤형 버스 운행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는 `‘마이버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마이버스’는 인터넷(bus.seoul.go.kr)을 통해 자주 이용하는 버스 노선, 정류소와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등록한 뒤 휴대전화로 1577-0287에 연결하면 맞춤형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시는 또 ARS 서버를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회선 수를 94회선에서 150회선으로 늘렸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8-07
- 시내버스 차고지 공원으로 변신 서울 시내버스 차고지가 수목공원으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전체 차고지의 55%를 민선 4기내 공원으로 바꾸기 위해 우선 4곳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공공 소유차고지 27개소, 업체·개인소유 차고지 75개소 등 102개소 중 주택밀집지역에 인접해 민원이 많고 환경이 열악한 차고지와 여유공간이 있어 수림대 조성에 편리한 곳 등 대상 차고지 56개소를 2010년까지 163억원을 들여 수목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시범대상지로 면목·시흥·온수·신림차고지를 선정했고, 2008년 문래·가산·평창차고지, 2009년 석수·신림한남·독산·도봉차고지 등을 순서대로 진행한다. 개인·업체 소유차고지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연차별로 매년 15개소를 목표로 시행, 민선4기내에 서울시 소재 버스차고지 102개소중 55%인 56개소의 녹화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업체 차고지의 경우 리모델링과 수목 조성비용의 50%(2~3억원)를 서울시가 지원하고, 설계 단계에 지역주민이 참여한다. 사업대상 우선순위는 △주택 밀집지역 인접 민원 발생 차고지 △주차 여유 공간이 있는 차고지 △시 소유차고지 및 참여의사가 있는 업체 소유 차고지 등이다. 시 교통국 관계자는 “차고지 건물의 화장실을 현대화하고 사무실 운영체계 시설을 교체하는 등 근무환경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라며 “CNG 버스와 경유버스에 대한 사용료 차등을 통해 입주버스를 빨리 CNG로 교체해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7-31
- 시내버스 차고지 공원으로 변신 서울 시내버스 차고지가 수목공원으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전체 차고지의 55%를 민선 4기내 공원으로 바꾸기 위해 우선 4곳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공공 소유차고지 27개소, 업체·개인소유 차고지 75개소 등 102개소 중 주택밀집지역에 인접해 민원이 많고 환경이 열악한 차고지를 우선 대상으로 선정한다. 또 여유공간이 있어 수림대 조성에 편리한 곳 등 대상 차고지 56개소를 2010년까지 163억원을 들여 수목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우선 시범대상지로 면목·시흥·온수·신림차고지를 선정했고, 2008년 문래·가산·평창차고지, 2009년 석수·신림한남·독산·도봉차고지 등을 순서대로 진행한다. 개인·업체 소유차고지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연차별로 매년 15개소를 목표로 시행, 민선4기내에 서울시 소재 버스차고지 102개소중 55%인 56개소의 녹화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업체 차고지는 리모델링과 수목 조성비용의 50%(2억~3억원)를 서울시가 지원하고, 설계 단계에 지역주민이 참여한다. 사업대상 우선순위는 △주택 밀집지역 △주차 여유 공간 △시 소유차고지 및 참여의사가 있는 업체 소유 차고지 등이다. 시 교통국 관계자는 “차고지 건물 화장실을 현대화하고 사무실 운영체계를 교체하는 등 근무환경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입주버스를 빨리 CNG로 교체해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8-01
- 학교복합화시설도 강남북 차별? (표-학교복합화시설현황) 주민도 이용 가능 학교복합화시설 강남북 차별 심해 서초강남, 1000여평 규모 수영장 헬스장 간이골프장까지 자치구 재정 어려운 노원도봉, 300평 체육관도 감지덕지 학교복합화시설도 강남북 차별? 서초강남, 수영장 헬스장 간이골프장까지 … 노원도봉, 체육관도 감지덕지 서울 강남·북 지역 아이들이 학교 체육시설에서도 차별받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대규모 예산을 투자해 짓고 있는 학교복합화시설 역시 자치구간 재정격차에 따른 지역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서초·강남구와 강북권 노원·도봉구가 대조적이다. 서초·강남은 이름 그대로 복합화시설인데 반해 노원·도봉은 체육관뿐이다. 2005년 문을 연 포이초등학교는 2168㎡(656평) 규모에 수영장과 체육관 헬스장을 갖춰 시설이 가장 작은 편이다. 지난해 개장한 서초구 신동·서일중은 체육관에 수영장 헬스장 에어로빅장까지 갖췄다. 이들보다 2주가량 앞서 개관한 언남중고는 3738㎡(1131평) 규모에 수영장 헬스장 에어로빅장을 넣었다. 공사가 진행중인 강남구 3개 초등학교는 체육관과 헬스장 수영장에 문화교실까지는 기본이다. 도서관과 멀티미디어실, 학교에 따라서는 어린이집과 간이골프장같은 특화시설도 예정돼있다. 재정여건이 어려운 서울 노원구와 도봉구는 복합화시설이라는 말이 무색하다. 4개 초·중학교에 학교복합화시설 공사를 끝낸 노원구는 990㎡(300평) 안팎인 체육관이 전부다. 2003~2005년 문을 연 당현 수암 중현초등학교는 물론 지난해 문을 연 중평중도 마찬가지다. 올해 신규사업으로 상원·하계중 두곳이 공사 중이지만 둘 다 체육관만 예정돼있다. 도봉구도 사정은 같다. 도봉 창일 창동중은 모두 990㎡(300평)이 안되는 체육관뿐이다. 지난해 말 개관한 초당초등학교만 체육관에 수영장을 더했다. 체육시설 지역격차는 기본적으로 자치구간 재정격차 때문이다. 교육청과 시비 지원율이 50%와 40%로 일정하고 지원한도도 같다. 건축면적 3.3058㎡(1평)당 600만원, 1653㎡(500평)까지다. 그러나 강남권은 교육청·시비 지원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시설을 중심으로 짓고 나머지 금액을 구청에서 부담한다. 실제 운영중인 시설에 강북권 구청이 1억2000만~6억7500만원, 강남권은 54억~141억원을 투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남지역은 예산지원 신청도 않는다”고 밝혔다. 강북지역은 체육관만이라도 감지덕지라는 입장이다. 억단위 예산도 부담스러워 복합화시설 내용물보다는 빠른 시일 내 확충하는 데 무게를 둔 것이다. 그러다보니 교육청 예산이 강남권에 더 많이 투입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했다. 강북권은 5억~11억원, 가장 금액이 큰 곳이 22억5000만원인데 반해 강남권은 14억4500만~30억원이다. 강북지역 한 구청 관계자는 “체육관은 주민들이 가장 이용하기 쉬운 생활체육시설”이라며 “서울시에서 특별지원을 해준다면 모를까 현재로서는 인구 10만명당 한곳이라는 제한을 풀어 체육관을 더 지을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학교시설복합화는 자치단체가 학교 내 체육시설을 다목적시설로 확장하도록 지원하는 대신 학생들이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인구 10만명당 한곳씩 지을 수 있으며 7월 현재 서울시내 34곳에 운영 중이다. 공사가 진행중인 학교가 12개, 10곳은 설계·준비 중이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2007-07-27
- 건물분 재산세 최고액 ‘송파 호텔롯데’ <도표>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전용면적 244㎡)의 올해 재산세 1차 납부액은 537만 7500원으로 전년 대비 50% 올랐다. 서울시내 건물분 재산세 중 최고액은 송파구 호텔롯데로 13억원, 다음으로 서초구 센트럴시티 10억 7800만원, 강남구 스타타워가 10억 6800만원을 기록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올해 6월 1일 현재 주택 및 상가·사무실 등의 건물, 선박, 항공기 소유자에게 재산세 8956억원을 부과했다. 이번에 부과된 재산세는 연간 서울시민이 납부해야 하는 재산세 2조 4792억원의 36.1% 규모로 지난해 부과액인 2조 365억원보다 4427억원 증가했다. 시세인 도시계획세 등에서 지난해보다 18.5% 오른 1조 1401억원을, 구세인 재산세는 지난해보다 24.6% 많은 1조 3391억원을 부과했다. 재산세 인상은 지난해보다 주택 공시가격이 평균 24.5% 올랐기 때문이다. 3억원 이하 주택에는 지난해보다 275억원 줄어든 1476억원을 부과했다. 감소 원인은 3억 이하 주택이 16만 1000호 줄었기 때문이다. 3억원 초과 6억원 사이 주택은 지난해보다 9만 7000건 늘어난 48만 7000호에 총 1438억원을 부과했다. 6억원 초과 주택에는 지난해보다 108.4%(1564억원) 늘어난 3007억원을 부과했다. 6억원 초과 주택의 재산세가 급상승한 이유는 지난해보다 10만 9000호가 증가했고, 특히 지난해에는 20개 구에서 주택재산세 탄력세율을 적용해 인상률을 완화했지만 올해는 탄력세율을 적용하지 않아 대폭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재산세 6억원을 초과한 주택 25만 8000호는 전체 주택재산세 부담액 5921억원의 50.8%를 부담한다. 올해 부과된 자치구별 재산세는 강남구가 2573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1519억원, 송파구 1217억원 순이다. 강북구는 176억원으로 가장 적었고, 금천구 194억원, 중랑구 198억원 등이다. 지난해 대비 재산세 증가액 역시 강남구가 608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초구 385억원, 송파구 322억원 순으로 늘어났다. 가장 적게 증가한 자치구는 도봉구 20억원, 금천구 23억원, 강북구 23억원 순으로 강남구와 도봉구의 재산세 증가액 격차는 30.4배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