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검색결과 총 25,949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아파트 공용안테나로 위성방송 시청한다 이제 아파트에 설치된 공용 안테나로 지상파방송은 물론, 위성방송도 시청할 수 있게 됐다. 정보통신부는 공동주택 입주자가 방송공동수신설비(MATV)를 통해 디지털지상파TV, 위성방송은 물론 FM라디오방송까지 수신할 수 있도록 ‘텔레비전공동시청안테나시설등의설치기준에관한규칙’을 개정, 26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정통부는 지난 해 11월부터 관련 사업자 및 전문가로 ‘MATV전문협의회’를 구성, 위성방송공동수신설비 정책방안을 준비해 왔으며, 지난 9월 관련 규칙을 개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금까지 MATV를 통해서는 아날로그 지상파TV만이 시청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입주자가 위성방송을 시청할 경우, 건물외벽에 가구별로 위성 안테나를 설치함으로써 건물미관이 훼손되거나 안전상 문제가 있었다. 또 주상복합 건물과 같이 베란다가 없는 경우에는 아예 위성방송 안테나 설치가 어려워 위성방송을 시청하고 싶어도 시청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번 규칙개정으로 공동주택 입주자들이 무료·보편적 디지털 지상파TV를 별도의 유료방송에 가입하지 않고도 방송공동수신설비를 통해 시청할 수 있게 됐다. 또 원하는 경우 위성방송이나 종합유선방송중에서 자유로이 골라 볼 수 있어 시청자의 매체선택권을 보장받게 됐다. 이번 규칙개정에는 또 광케이블 설치방법과 성능기준도 마련해 방송통신융합 환경에 맞춰 MATV망을 고도화할 수 있게 했다. 규칙개정에 따라 향후 신축되는 건물에는 새로운 기술기준에 맞게 방송 공동수신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다만 이미 건축됐거나 건축허가를 신청 중인 건물은 입주자 또는 건축주가 자유로이 설치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정통부 관계자는 “그동안 케이블TV 업계에서 반발하기도 했으나 꾸준한 대화를 통해 시청자의 매체선택권 보장 및 매체간 공정경쟁 기반강화라는 의미있는 정책 결실을 이끌어 내게 됐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아파트 거래 ‘반토막’ …거래시장 동맥경화 양도세·대출규제에 막혀 ‘샌드위치’ 신세 양도소득세 부담과 대출규제 등으로 인해 주택시장이 침체되면서 아파트 거래건수가 작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거래시장의 동맥경화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26일 건설교통부의 건축물 거래현황에 따르면 9월에 거래된 아파트는 모두 5만4천84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의 10만550가구와 비교하면 54.5%에 그쳤다. 이는 또 건교부가 아파트 거래건수를 집계해 발표하기 시작한 작년 1월 이후 최저수준으로 거래가 가장 많았던 작년 11월(15만2013채)에 비하면 36.1%에 불과하다. 올해 들어 9월까지 거래된 아파트는 총 60만3919채, 월평균 6만7102채로 작년에 월평균 9만4041채였던 것과 비교하면 71.4%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아파트 거래가 부진한 것은 매도자는 과도한 양도소득세로 인해 팔기를 꺼리고 매수자는 대출규제 강화로 자금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인해 값싼 가격에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 거래시장보다는 분양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많이 늘어난 것도 이유로 꼽힌다. 주택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가격 안정 대책은 주택 거래도 꽁꽁 묶었다”면서 “지금 상황은 가족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집을 넓혀 가려는 욕구조차실현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건축물 거래현황과 별도로 1991년부터 집계되고 있는 토지거래현황에 따르면 아파트를 매매할 때 함께 매매되는 ''아파트 부속 토지''는 9월에 5만3642필지가 거래돼 2003년 9월(5만3636필지) 이후 3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여기에는 지목이 ‘대지’인 땅에 세워진 아파트만 포함되고 대지 이외의 땅에 세워진 아파트의 거래는 제외되기 때문에 실제 아파트 거래건수보다는 다소 적다. 그렇지만 2005년 이전의 아파트 거래건수가 집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아파트 거래 시장의 침체 정도를 더 긴 시점에서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명박 동영 공약발표 이명박 “일류국가 희망공동체” 경제성장 7%·대운하 등 담은 공약집 발표 “일류국가·희망공동체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집권 뒤 청사진이 나왔다. 이 후보는 26일 국회헌정기념관에서 가진 일류국가비전선포식에서 자신의 대선 주요공약이 담긴 공약집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공약집은 요약판이며, 본판은 내달초 판매용으로 나온다. 이날 공개된 공약집은 크게 ‘잘사는 국민’ ‘따뜻한 사회’ ‘강한 나라’ 세 분야에서 일류국가를 향한 구체적 계획을 담고 있다. 경제회생을 위한 목표인 ‘잘사는 국민’에선 △경제성장 연 7%달성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일자리 5년간 300만개 증가 △고용율 선진국 수준인 70%로 상승(2005년 63.7%) △청년실업률 현 8%대에서 4%대로 축소 △실질적 주택보급율 100% 추진 등을 내걸었다. 복지정책을 담은 ‘따뜻한 사회’에선 △생애주기별 맞춤형복지 △출산에서 취학까지 정부가 관리 △5년간 10만명의 글로벌 청년리더 양성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 대폭 확대 △희망복지 129센터 설치 등을 공약했다. 기타분야인 ‘강한 나라’에선 △세계 10위권 경제규모(2003년 13위) △세계 10위권 교역규모(2007년 12위) △세계 10위 국가경쟁력(2005년 29위) △한반도 대운하 △비핵개방 3000으로 남북경제공동체 실현단계 진입 등을 내걸었다. 정동영 “가족이 행복한 나라” 5대철도망·교육대협약 등 20대 핵심공약 발표 “국민과 함께 가족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집권할 경우 펼칠 20대 핵심공약을 내놓았다. 이날 공약은 크게 4대 비전-10대 전략-20개 주요과제로 분류된다. 첫 번째 비전인 ‘차별없는 성장’에선 △일자리창출(일자리 250만개, 6% 성장, G-10선진국 진입) △글로벌 TOP10 진입(항공우주 로봇 바이오 문화 친환경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소기업 강국(강소기업 5만개, 글로벌중견기업 2000개 양성) △한반도 5대 철도망(동해선, 호남고속철도 등 5대철도망 구축) △양극화 극복(기름값 카드수수료 통신료 등 인하, 비정규직 25%로 축소) 등을 내걸었다. 두 번째 비전인 ‘가족행복시대’에선 △사회투자로 4대 불안요소 해소(대입수능폐지, 고교졸업자격고사화, 내신위주 선발, 수도권 2억원이하 아파트, 기초노령연금 16만원으로 인상, 무상보육 전면실시) △지속가능사회(온난화해결 위한 친환경저탄소 경제구조 전환) 등을 발표했다. 세 번째 비전인 ‘부패없는 투명사회’에선 △통합의 정부(공직부패수사처 설치, 10% 예산절감, 4년연임 대통령제 개헌,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공약했다. 마지막 ‘위대한 한반도시대’에선 △평화경제(개성공단확대, 추가특구 조성) △정예강군(모병제 기반 구축, 직업예비군제 도입)을 내걸었다. 엄경용·구자홍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대선정국에 실물경제 적신호(문패) / '미분양 20조' 건설사 잇단 부도 주택전문 지방 중소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금융시장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조원대 이상으로 추정되는 미분양주택의 건설비용 대부분이 금융기관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자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부동산 경기가 나아질 전망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전국의 미분양아파트는 연말까지 10만 가구를 초과할 것으로 보이고, 부도건설사 규모도 영세업체에서 중견업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6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9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9만8235가구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 6521가구, 7.1%가 늘었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2만4463가구, 33.2%나 증가했다. 특히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업체들이 연말까지 분양물량을 대거 내놓을 예정이어서 98년 12월의 10만2701가구를 돌파하는 것도 시간문제가 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미분양주택 증가세가 두드러져 미분양아파트의 전국화 추세도 우려된다. 수도권은 서울과 인천은 소폭 감소했지만 경기에서 3454가구(77.6%)나 늘어났다. 특히 지난달 서울 등 수도권에서 분양한 30개 사업장 가운데 25개 사업장이 순위 내 청약에서 모집가구 수를 채우지 못해 미분양아파트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같은 미분양 주택의 증가세로 중소건설업체의 연쇄도산이 가시화되고 있다. 26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효명건설, KT건설 등 일반건설사 14개사가 도산했고, 올 들어서만 106개사가 부도를 냈다. 일반건설사의 하청을 받아 직접 공사를 수행하는 전문건설사도 올 들어 129개사가 도산했으며 하청특성을 고려하면 내년까지 부도건수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건설경기 관련지표도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지방경제동향’에 따르면 3분기 지방건설업체들의 수주액은 16조4280억원으로 전년보다 17% 줄었다. 건축허가면적도 2827만㎡으로 21.5%나 감소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내년 상반기까지 주택경기는 분양가상한제, 후분양가 도입으로 인한 공급위축과 지방 미분양 물량 증가로 침체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 중견 건설사 도산에 따른 대출부실화가 가져올 수 있는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2007-11-26
- 광명시 봉안당 건립 관련 소송 승소 경기도 광명시가 봉안당 건립공사와 관련 인근 안양시 연현마을 주민대표 등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승소해 사업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명시는 일직동 2만6600㎡ 부지에 3만여기의 납골을 유치할 수 있는 봉안당 건립을 추진했으나 인근 안양시 연현마을 주민들이 지난 8월부터 공사장을 점거해 착공도 못하는 등 마찰을 빚어왔다. 결국 시와 시공업체인 서원기공(주)는 인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와 투쟁위원회 등을 상대로 ‘공사방해금지가처분’을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에 신청했다. 이에 안산지원은 지난 21일 “봉안당 건축공사를 방해하는 일체의 행위를 금하며, 건축공사 현장에 출입해서는 안된다”며 “이 명령을 위반할 경우 위반행위 1회당 50만원씩을 지급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광명시는 법원의 결정에 따라 곧 공사장을 점거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철수명령을 내릴 예정이며 철수를 거부할 경우 경찰의 지원을 받아 강제 해산시킬 방침이다. 그러나 시는 법 집행에 앞서 최대한 주민들과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법원 판결은 정당한 행정을 펼치는데 힘을 실어줄 것”이라면서 “법적인 절차에 앞서 일단 주민들과 대화와 타협은 물론 계고를 통해 원만하게 일을 풀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명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대구매천 국민임대 1937가구 대한주택공사는 대구매천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국민임대아파트 1937세대를 공급한다고 26일 밝혔다. 대구연경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철거민에게 임시이주용으로 공급되는 193세대를 제외한 잔여분 1744세대에 대해 입주자를 모집한다. 모집가구수는 전용면적 39㎡ 492세대, 46㎡ 491세대, 51㎡ 471세대, 59㎡ 483세대다. 임대보증금과 월임대료는 전용면적 39㎡가 1450만원에 10만원, 46㎡가 2020만원에 13만7000원, 51㎡가 2370만원에 16만2000원, 59㎡가 2,900만원에 20만원이며, 입주는 2008년 10월 예정이다. 신청은 소득 및 소유자산 기준, 가구당 월평균 소득 241만370원(4인이상 세대의 경우 263만6380원) 이하, 토지 5,000만원(개별공시지가 기준) 이하, 자동차 2200만원 (현재가치 기준)이하의 요건을 충족하는 무주택세대주이면 가능하다. 대구매천지구는 39만9천㎡의 면적에 3300여 세대가 공급되는 택지개발지구로 대구도심으로부터 서북측 약 6㎞ 지점에 위치하고, 경부·중앙·88·구마·대구-포항간 고속도로 등이 가까이 있어 인근 도시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지구내에 초·중·고등학교가 각 1개씩 신설될 예정이고 동사무소·파출소·우체국 등의 공공청사와 각종 생활편의시설이 갖추어질 예정이다. 접수는 대구시 북구 동아백화점 인근 국민은행 관음동 지점에서 28일부터 3일간 받는다. 문의 1588-9082. 고성수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아파트값, 정권 1년차에 ''울고'', 4년차에 ''웃고'' 대통령 임기 5년과 아파트값은 어떤 상관관계가있을까?26일 부동산뱅크가 1993년 문민정부부터 국민의 정부, 현재 참여정부까지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별 전국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정권 1년차 때 아파트값이 평균 -3.52%(3.3㎡당 512만→494만원)로 가장 많이 떨어졌다.김영삼 대통령이 집권한 문민정부(93-97년) 1년차인 1993년에는 전국 아파트값이 3.47%(3.3㎡당 458만→442만원) 하락했고,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정부(98-2002년) 초기 년도인 98년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전국 아파트값이 19.09%(3.3㎡당 542만→438만원) 떨어졌다.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2003-2007년) 첫 해는 외환위기 타개를 위한 규제 완화의 후유증으로 아파트값이 12.19%(3.3㎡당 536만→601만원)로 상승했다.반면 정권 4년차는 3개 정부 평균 15.4%(3.3㎡당 500만→577만원)를 기록하면서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문민정부와 국민의정부 4년차였던 1996년과 2001년에는 각각 8.83%(3.3㎡당 466만→507만원), 11.94%(3.3㎡당 398만→445만원)가 올랐고, 참여정부 4년차였던 지난해에는 22.73%(3.3㎡당 635만→779만원)가 각각 뛰었다. 부동산뱅크 길진홍 팀장은 "집권 1년차에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인 것은 새 정부출범 직후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강력한 부동산 안정화 대책들이 쏟아져 나온 때문이고, 그 여파로 아파트 공급 감소에 영향을 미쳐 3년 뒤인 4년차에 가격이 오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내년 아파트 시장도 정권 초기 연도임을 감안할 때 약보합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이밖에 3개 정부의 정권 2년차에는 평균 -0.61%(3.3㎡당 492만→489만원), 3년차 1.84%(3.3㎡당 490만→499만원), 5년차는 7.53% (3.3㎡당 584만→628만원)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아파트값은 당시의 경제상황과 주택 수급물량,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심리적 요인 등에 따라 더 크게 좌우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와이플래닝 황용천 사장은 "아파트 시장은 여러 복합적인 변수들이 작용해 한 가지 변수로 설명하기 어렵다"며 "새 정부의 특성과 여러가지 경제 내.외적인 변수를 종합해서 시장을 내다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미숙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6
- 아산코아루 에듀파크 잔여분 한국토지신탁은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에 원어민이 함께 생활하는 영어마을 아파트인 ‘아산코아루 에듀파크’를 분양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109㎡(33평형)~152㎡(46평형) 총700세대 규모로 구성됐다. 용적율 149.63%로 풍부한 녹지공간과 개방적인 공간 확보를 통해 친환경 건축물로 조성할 예정이며 단지전면이 시민공원과 인접되어 있어 자연친화적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 원어민 영어강사를 단지 내에 상주시키고 서울 강남 수준의 영어교육시설을 확보해 1년 365일 생생한 영어체험 및 교육서비스, 유학 상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인근의 아산신도시, 탕정 삼성LCD첨단 산업단지로의 접근이 쉽고 충남도청 이전 예정지와도 가깝다. 분양가는 450만∼550만원선으로 인근아파트 분양가보다 저렴하며 중도금 60% 중 40%는 무이자, 나머지 20%는 이자후불제로 대출해 준다. 입주는 2008년 10월 예정이다. 문의 041)592-9696. 성홍식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3
- 소비자원, 건설사에 잇단 철퇴 헬스장 등 아파트 주민 공동시설 미설치 분쟁과 관련한 집단분쟁조정 사건에 대해 사업자가 공동시설을 추가 설치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결정이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가 최근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 소재 N아파트 입주자 815명이 주민 공동시설 미설치와 관련해 N건설을 상대로 제기한 ‘시설 설치 및 손해배상’ 요구에 대해 분양계약서대로 헬스장ㆍ골프연습장ㆍ독서실 등을 추가 설치하라는 결정을 내렸다고 22일 밝혔다. N아파트 입주자들은 2005년 5월부터 N건설이 분양계약서에 명기된 공동시설 건립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민원을 제기해 왔다. 분쟁조정위원회는 이 안건에 대해 입주 때까지 주민 공동시설을 건립하도록 돼 있는 분양계약서와 전체 단지 규모(1060가구) 등을 감안해 설계도면에 표시된 관리동에 독서실을 설치하고 입주자와 협의해 단지 내 배드민턴장에 헬스장과 골프연습장을 신설하도록 결정했다. 반면 손해배상 책임 여부와 관련해서는 주민공동시설 설치에 관한 채무가 확정적으로 발생했다고 볼 수 없어 불인정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정이 성립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편익이 증대되고 사업자는 분쟁에 따른 기업 이미지 훼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원은 집단분쟁조정사건 1호에서도 건설사와 주민들 분쟁에서 주민들의 손을 들어준 바 있다. 정석용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3
- 남양주 ‘호평 파라곤’ 1275가구 동양건설산업은 11월 말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 360번지 일대에 ‘호평 파라곤’ 1275가구를 분양한다고 23일 밝혔다. 25개 동에 아파트 △84㎡(25평형) 258가구 △115㎡(34평형) 150가구 △127㎡(38평형) 118가구 △159㎡(48평형) 364가구 △182㎡(55평형) 330가구에, 테라스하우스 △225㎡(68평형) 15가구 △281㎡(84평형) 40가구 등 총 1275가구로 조성된다. 2005년 개통된 자동차전용도로(46번 국도)를 이용해 강남, 송파지역과 통행이 편리하다. 2009년 경춘고속도로, 경춘선 복선전철이, 2010년엔 수석-호평간 민자유치도로가 개통될 예정이다. 인접한 호평택지지구는 천마산 군립공원 자락에 위치한 전원형 신시가지로 주목받고 있다. 천마산 군립공원 등 뛰어난 주변경관을 살려 지상에 차가 없는 유럽형 공원으로 단지를 조성하고 자연지형을 활용한 단지배치로 일조권과 조망권을 확보해 대자연이 만든 유럽풍 명품 대단지로 특화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인근에 호평초등학교와 호평택지지구 내에 중학교, 고등학교가 들어선다. 도시개발지역으로 분류되어 원가연동제나 채권입찰제 대상이 아니며 입주 뒤 매매가 가능하다. 2010년 하반기 입주 예정이다. 문의 031)556-3330. 성홍식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