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검색결과 총 7,998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고입기획- 대진여고 2020학년도 학교설명회 현장스케치 지난 11월 28일 오후 7시 대진여자고등학교(교장 조영동, 이하 대진여고) 자양관 5층 소강당에서 2020학년도 중3 학부모 대상 입학설명회가 개최됐다. 조영동 교장선생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연구기획부 김정남 부장의 ‘본교 교육활동 소개’, 김진석 진로진학상담부장의 ‘본교 입시 결과와 대책’, 학부모 질의응답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400여명 이상이 참석해 대진여고에 대한 관심과 인기를 엿볼 수 있었다. 내용을 간략히 정리했다.교육부 정시확대, 전통적으로 강한 대진여고에서 준비해야조영동 교장선생님은 28일 대진여고 설명회 당일 발표된 교육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에 대해 “정시전형의 40% 확대가 주요 변화인데 본교는 정규수업에서 무엇보다도 충실하게 관련 학습을 반영하고 있고, 다양한 교과 방과후 수업, 담당교사들의 지극한 애정과 관심으로 지도되는 자율학습 등 전통적으로 정시 준비에 강한 학교입니다”라고 인사말을 전하며 학생들에게는 ‘질감이 있는 인간’ 즉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가 있는 인재가 되라는 당부를 남겼다. 이어진 김정남 부장의 교육활동 소개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의 멘트로 출발했다. “그는 2001년 한국정부가 의뢰한 교육에 대한 보고서 ‘위기를 넘어서’에서 ‘한국의 학생들은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는 존재하지도 않을 지식과 미래에는 있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하루 10시간 이상 낭비하고 있다고 일침을 놓았습니다. 한국의 현재 교육 시스템은 산업화체제에 맞춰진 시스템이라고 지적하면서 시급히 한국의 교육이 창의성 교육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라며 저자들과의 자유로운 토론으로 진행되는 대진여고만의 고품격 독서활동에 대해 소개했다.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은 학생들과 질의응답이 끝나고 나서 도서관을 보고 싶다며 3만권의 장서를 쭉 둘러보고 가시더니 본인의 책 2박스를 기증하셨습니다. 이이화 역사학자는 자기가 어디 가서 강연을 해도 질문이 없는데 여기는 한시간반 동안 줄기차게 하니 너무너무 재미있다고 하셨고, 구본권 기자는 질문수준이 유명 자사고 학생들보다 더 뛰어나다,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보는 것 같다는 말을 했습니다”라며 대진여고 학생들의 토론 능력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다.우리 학교 선배가 직접 해주는 인성교육이라 효과 백배1학년은 수학·과학·인문 영재학급, 2학년은 융합과학·공학·인문사회학 아카데미로 단계별 심화 되는 영재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에 이어 대진여고의 차별화된 인성교육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인성이라는 것은 사람 간에 좋은 관계 맺기가 아닐까합니다. 선배, 후배의 관계 맺기를 위해 우리는 개교부터 체육대회 시 1, 2, 3학년 동일학급을 한 팀으로 묶어서 경기도 같이하고 응원도 같이합니다. 또한 우리학교 출신들을 모셔서 특강을 하고 있는데 5회 졸업생 부산지법부장판사, 2회 졸업생 생명공학연구원, 9회 졸업생 다큐멘터리 ‘할머니의 먼집’ 감독 등 유명인뿐만 아니라 서울대 의대, 경영학과 입학생들이 슬럼프를 어떻게 극복했고 고교 생활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하는 내용도 있었는데 질문이 쇄도해 시간을 훌쩍 넘겨 운영했습니다.”. 더불어서 졸업생 전문가와 함께하는 ‘전문가와의 만남’ 행사도 운영하고 있다. “매년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는 어제 했습니다. 초·중학교 교사, 심리상담사, 육사교관, 고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건국대 간호학과 교수, 정신과 의사, 대기업 직장인, KBS방송작가까지 후배들이 자신이 갖고 싶은 직업에 따라 빙 둘러 앉아 이야기를 듣습니다. 제 수업시간보다 더 열심히 듣더라고요.”. 지난 30여 년간 배출한 졸업생이 각계 많은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어 선후배간 다양한 인성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모습이 돋보였다.입시는 우리가 전문가, 학생만큼 공부하는 선생님들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연구·학습하는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에서 지원하는 ‘중등학교와 함께하는 맞춤식 직무연수’에 선정되어 2013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강사도 우리가 섭외하고 주제도 우리가 정해서 연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표 참조) 첫 과정으로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을 모셔서 진학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리고 나서 선생님들이 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 입시에 대해 설명하는 태도가 당당해졌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에 대해서도 “학생부에 탁월하다, 잘한다고 쓰는 것이 잘 써주는 것이 아닙니다. 근거가 명확해야 합니다. 2016년도에 '학생부를 토대로 한 진로·진학 전략과 교사의 자세'라는 주제를 가지고 했을 때 41명의 선생님들이 10개의 모둠을 정해 똑같은 학생부를 각각 분석해 장단점, 보완할 점을 이야기했는데 그 이후로 학생부 내용이 정말 좋아졌습니다.”. 결국 수업이 학생부에 맞춰 변화되었고 좋은 학생부는 선생님들의 수업 변화 노력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2018, 2019 동률, 서연고서성한이대에 의대포함 106명 합격김진석 진로진학상담 부장의 ‘본교 입시 결과와 대책’ 발표는 2018학년도와 2019학년도 진학 결과에 대한 비교로 시작되었다. “2018, 2019 입시결과를 보면 2018학년도와 2019학년도는 동일하게 106명 정도(중복합격 포함)가 서성한까지 합격했습니다. 단, 2018학년도에는 서울대 숫자가 조금 많았고 2019학년도에는 이화여대 합격자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중경외시는 35~6명, 건동홍숙도 36명 정도 합격했습니다”. 특이하게 2018학년도에는 수시가 71.25%의 합격률을 보였던 반면에 2019학년도에는 정시가 57.61%로 높은 합격률을 나타냈다. “올해도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3학년 담임들은 지금부터 정시전형에 대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정도는 오로지 성적 분석 작업만 합니다. 12월 15일 경이되면 정시원서 마감까지 3학년 담임 13분이 전부가 개별 상담을 진행합니다.”. 또한 수능체제 개편에 따라 현 중3 학생들이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EBS연계율이 70%에서 50%가 된다는 것입니다. 예전 EBS 교재로만 준비했던 분위기에 안주해서는 안 되고 기타 다른 교재까지 확장학습을 해야 합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수능이 4~50%가 되는 국면에서는 1학년부터 지속적 자기주도 학습을 통한 심도 있는 준비가 필수입니다“. 김 부장은 많은 학부모님들의 조언이 있다면 그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해서 더 좋은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임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발표를 마쳤다.설명회는 김영기 교감선생님을 비롯한 10여분의 부장교사와 학생·학부모간의 열띤 질의응답으로 9시를 넘겨 마무리되었다.표. 중등학교 함께 하는 맞춤식 직무연수연도연수 주제참여 인원이수시간2013(1학기)학생을 행복으로 지도하는 진로진학전문교사가 되다37명15시간2013(겨울방학)꿈과 희망을 주는 행복 논술 교실29명15시간2014수업 혁신을 위한 공감, 어떻게 나눌 것인가39명15시간2015(1학기)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이는 교실 수업29명15시간2015(여름방학)질문과 토론이 있는 교실 수업20명15시간2016생활기록부를 토대로 한 진로·진학 전략과 교사의 자세41명15시간2017창의인성 수업 혁신 교원학습공동체(영어, 수학, 한문 2019-12-05
- 중계동수학학원, 이투스수학학원 중계점 윈터스쿨 운영! ‘이투스’만의 독보적인 수학학습 콘텐츠와 학생별 학습 능력을 고려한 1:1 개별 맞춤 수업으로 학부모의 신뢰를 받고 있는 이투스수학학원 중계점이 겨울방학을 맞아 윈터스쿨을 운영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결합으로 재원생의 90%가 성적 상승의 결과를 누리고, 개원 5년차에도 불구하고 매년 약대, 의대, 카이스트 진학생을 배출하고 있는 이투스수학학원. ‘무조건 성적을 올린다.’는 남다른 각오로 수업에 임하고 있다. 이미 20여 명의 학생이 등록한 이투스수학학원 윈터스쿨의 수업과 특화된 수업 방식을 소개한다.이투스는 온라인 강의, 온·오프라인 강의의 결합 & 치밀한 코칭 관리이투스수학학원을 ‘온라인 강의’로만 생각했다면 오해다. 이투스수학학원의 수업 중 온라인 강의 비중은 10%에 불과하고, 콘텐츠 역시 일타 강사진이 참여하여 우수한 전달력을 자랑한다. 또한 자체 교재와 학생이 사용하는 펜과 연동되어 단원별 개념과 기본 문제 풀이에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한다. 더불어 단원별 개념은 필요하면 언제든지 수업시간 이외에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개념강의를 듣고 나면 학생별 전담 강사가 배운 개념 강의에 대해 추가 설명을 진행하며 학생의 습득 과정을 코칭한다. 특히 방학동안에는 전담 강사와의 수업이 매 등원때 마다 진행되며, 개념 반복 설명, 유형별 문제집 풀이, 오답에 대한 피드백 설명, 오답에 대한 유사문제 풀이 등에서 학생을 밀착 관리한다. 주중 내신 대비 & 주말 모의고사 수업, 과정별 완수률 높은 탄탄한 학습시스템이투스수학학원은 주중에는 내신 준비, 주말에는 모의고사 수업으로 진행한다. 모의고사 수업은 담당 강사가 1:1로 모의고사 킬러문제를 풀리고, 해설해주는 과정이다. 수학 학습 진도 단계별(수학상, 수학하, 수I, 수II 등)로 모의고사 수업 시간을 정해놓으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필요한 단원 수업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실제 고2 학생들은 오전 10시부터 수I, 수II 모의고사 풀이와 해설 강의까지 듣고, 강사와 1:1로 질의 응답을 하기도 한다.이투스수학학원의 모든 수업은 개념서- 유형풀이집- 심화문제집 순으로 학생별로 학습 능력과 진도를 고려해 맞춤식 1:1로 진행된다. 유형풀이집 B단계를 풀고 나면 심화문제집 B단계- 유형풀이집 C단계 - 심화문제집 C단계 순으로 단원별로 80~90%의 완수를 목표로 구성되어 있다.윈터스쿨, 선착순 30명 집중도 높은 수업과 개별 목표에 맞춘 학습 완수이투스수학학원 윈터스쿨은 고등부 대상으로 내년 2월말까지 30명만을 대상으로 10주간 운영된다. (월-토 오전10시~오후6시/ 주3일 지정 등원 및 2일 자율 등원) 특히 자율 학습시간에는 이투스 고등수학 강의(수학상, 수학하, 수I,수II, 확통, 미적분, 벡터 전 범위)를 자유롭게 들을 수 있고, 요일별로 심화특별반과 기초개념반을 운영하여 학생별로 약점도 관리할 수 있다.특히 학생 개인별 취약단원 집중학습과 개별진도 지정반을 운영한다. 학부모와의 개별상담과 평가를 통해 10주간 학습 목표를 세우고, 주단위 진도, 교재, 하루 단위의 상세한 학습량까지 (교재의 페이지 분량)정리된 학습계획서를 작성하여 학부모와 공유하고 있다. 또한 담당강사가 2명 이상이 참여하여 학습 실행에 대한 코칭 역시 치밀하게 관리하게 된다.<이투스수학학원 윈터스쿨 등록 학생 사례># 이성민 (가명, 자사고 진학 예정)중등 내신에만 집중해 온 성민이의 수학성적은 늘 100점. 고교 진학을 앞두고 고등수학 학습이 전혀 되어 있지 않아 고민스럽다. 차 원장과의 상담을 통해 겨울방학 동안 수학 공부시간을 대폭 늘려서 ‘’수학 상, 수학 하‘ 개념과 유형문제 풀이, 심화문제 풀이까지 내년 2월까지 끝내기로 목표를 세웠다. 차 원장이 제시한 학습계획은 8시간씩 주 3회 또는 5시간씩 주5일 수업이다. 성실하고 꾸준함이 강점이 성민이 역시 수업 참여에 적극적이다.# 이희영 (가명, 일반고 진학 예정)희영이의 중학교 수학성적은 80점대. 차 원장은 고교 진학 후에는 30~40점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알리고, 윈터스쿨에 등록해 고1 수학 50~60점을 목표로 ‘수학 상’의 기본개념- 유형문제집- 심화문제집 일부 완성을 목표로 수업을 시작했다. 겨울방학에 몰입수업으로 고교 진학 후 바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내년 여름방학에는 ‘수학 하’ 과정에 집중할 계획이다.문의 : 02-930-0919, 010-4525-0919 2019-12-05
- 최상위권과 중상위권의 영어학습 포인트 영어는 글로벌 시대의 필수적인 수단입니다. 그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입시에서 중요한 과목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과목으로서의 영어가 실용영어(회화)에서 도움이 되느냐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있어왔습니다. 결론적으로는 과목 영어는 회화에 기본적인 배경은 될 수 있으나 완성시킬 수 없습니다. 심지어 유창성과 신속성이 중요한 영어회화에 오히려 방해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회화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자발적인’ 학습자에게 일정 시간 이상의 듣고, 말하기에 대한 ‘무작위적’ 환경노출이 꼭 필요합니다. 엄밀히 보면 실용적 영어학습으로 분류되는 영어유치원, 단기 어학연수, 원서독서, 학원의 말하기 위주의 학습을 통해서도 회화를 완성시키기에는 노출이 많이 부족합니다.하지만 더 중요한 현실은 올바르게 균형 잡힌 방법을 모르고 공부한 학생들이 중고등학교에서 받을 수 있는 점수가 최대 90점 초반 대까지가 한계라는 것입니다. 결국 영어과목에 대한 정확한 대비가 있어야 90점~100점으로 상승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치 우리말을 아무리 잘해도 국어과목 공부를 하지 않으면 국어시험을 100점 맞을 수는 없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게 학생들은 학교와 학원에서 영어를 배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리이해를 못하고 시간과 비용을 허비하고 있습니다.일단 우리나라에서 대학까지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과목으로서의 적절한 영어학습 로드맵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중·고등학교 내신 영어 1등급은 보통 20~30%입니다. 반면 수능의 1등급은 5.3%(2019학년도)였습니다. 이는 내신 90점 이상인 학생들을 다시 최상위권과 중상위권으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이 학생들의 영어학습법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만 합니다. 정확한 상태진단과 구체적인 학습법훈련을 통해서 자신의 약점을 보완해야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영어 최상위권 학생들은 기본영어능력(어휘, 독해, 리스닝등)이 우수한 학생과 보통인 학생들이 섞여있습니다. 내신은 범위가 정해져 있어서 영어능력인 보통이더라도 많은 노력으로 커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법이나 어원학습과 같은 원리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없으면 1~2문제로 변별되는 최상위권 경쟁에서 언젠가는 한계가 오게 됩니다.중상위권 학생들은 기본영어실력이 우수하지만 노력이 부족한 학생들이나 실력과 노력이 애매한 학생들이 혼재합니다. 이 학생들은 모두 기본원리에 대한 올바른 재학습 (잘못된 학습으로 본인들이 알고 있다고 착각하나 완벽히 문제를 맞추지 못함)이 필요합니다.사실 어학적인 감각이라는 면을 빼면 영어과목도 원리이해와 규칙적인 학습, 꾸준한 노력이 우수한 학생을 만든다는 점에서 다른 주요과목과 대동소이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본인이나 학부모의 노력과 관심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전문적인 지도와 관리를 받는 것도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징학습법최상위권학생(95점이상)영어능력 우수 + 많은 노력세밀한 약점을 찾아 최단기간에 보완해야만 함 영어능력 보통 + 많은 노력확실한 원리 이해와 오답원인에 근본적 보완 중상위권학생(85점이상)영어능력 우수 + 적은 노력어법 원리 복습과 서술형빈출오답 보완영어능력 보통 + 보통 노력규칙적인 어휘학습, 어법원리 복습+학습 동기와 학습시간 확보중하위권이하영어능력과 학습량부족기초학습과 학습동기와 규칙적인 학습시간 확보하정국 대표원장와이즈학원 2019-12-04
-
스스로 더불어 즐겁게 ‘나’를 찾아가는 곳 ‘삶과 배움의 주인으로 성장하는 청소년’이라는 모토 아래, 학생들이 인문학 책을 읽고 토론하고 글을 쓰며 ‘나’를 찾아가는 길 안내자 역할을 하는 곳이 있어 화제다.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는 ‘거꾸로 수업’을 통해 삶과 배움의 주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며 인문학의 힘을 제대로 보여주는 곳, ‘인문학의 창’을 찾아가 보았다.스스로 배우는 즐거움을 찾는 초등 인문학 수업‘인문학의 창’의 초등 담당 안혜경 선생님은 초등반 인문학 수업은 “선생님이 주도하는 수업이 아닌 아이들이 주인공이 되어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방식”이라고 소개하며, “선생님은 관찰자로 아이가 가진 다양한 면을 관찰하고 아이에게 맞는 길을 함께 찾아 나가는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밝힌다. 또한 “정답이 아닌 다른 생각을 찾고, 다양하게 질문하는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하고 표현한다”며 “자아 존중감이 자연스럽게 높아져, 배우는 재미를 느끼게 된다”고 강조한다.초등 인문학 수업은 광고, 기사, 그림, 영화 등을 활용한 다양한 인문학 주제 수업과 다양한 장르의 글 읽기, 책을 읽고 자신만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기, 자신의 관심사를 탐구하는 프로젝트 수업 등으로 진행된다.자신의 꿈을 찾고 실현할 힘을 키우는 청소년 인문학 수업청소년 인문학 담당인 정범진 선생님은 “청소년 인문학 수업에서는 ‘나는 누구인가?’ ‘이 세상은 어떤 곳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 것인가?’라는 인문학의 근원적인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또래 친구들과 함께 인문학 책을 읽고 토론하고 글을 쓰며 이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 나간다”고 소개한다. 이때 학생들이 스스로 과제를 준비해 수업을 만들어가는 방식이며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질문만을 던지며 생각을 찾을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는, 길라잡이 역할을 한다.중‧고등 과정은 독서토론과 글쓰기를 바탕으로 하는 ‘청소년 인문학’과 진로 탐색과 주제연구로 구성되는 ‘꿈틀 인문학’의 두 과정이 함께 진행된다. 2주에 1권꼴로 소화하는 깊이 있는 독서와 각자의 관심사를 탐구해 진로 탐색 포트폴리오를 형성해 나가는 심도 있는 수업으로 구성된다.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함께 토론하는 과정과 자신이 쓴 글을 친구들과 돌려가며 읽고 글을 스스로 완성해나가는 등의 수업은 이곳 ‘인문학의 창’만의 수업방식으로 삶과 배움의 주체가 바로 ‘나’라는 교육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있다.스스로 영어의 질문과 답을 찾아가는 영어 인문학 수업영어 인문학 수업 역시 주제연구와 발표를 기본으로 자발적, 능동적 학습 훈련을 통해 문제와 답을 학생 스스로 찾아내는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영어 인문학을 담당하고 있는 조수진 선생님은 “일방적 강의 방식의 수업보다 시간은 걸리지만 철저한 지문 분석과 주요 문제를 학생들 스스로 예상해 보는 훈련은 고등 내신과 입시에서 그 빛을 발한다”고 강조한다.중‧고등반은 내신 대비 기간 역시 학생 스스로가 주인이 되어 수업을 준비한다. 문법 각 파트를 맡아 발표하고 예상문제도 직접 만들고 함께 풀어본다. 시험 예상문제 풀이 역시 토론을 통해 답을 찾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인문학 창의 영어 인문학 학습 방식은 고등에서 꼭 필요한 자기 주도 학습의 발판을 마련하는 기회가 된다.인문학의 창 교육 설명회일시 : 12월 7일(토) 오후 2시장소 : 효자촌 삼환종합상가 3층(서당초 맞은편)내용 : 초등인문학, 청소년인문학, 영어인문학 과정 설명문자예약 : 010-4488-3641(학년, 이름)문의 : 070-4156-3655 2019-12-02
-
317억 조성 구미시장학재단, 체계정비 본격 활동 (재)구미시장학재단(이사장 장세용)은 지난 21일 시청 상황실에서 시 추진위원, 읍면동추진위원장 등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체계를 정비하는 장학기금조성추진위원 회의를 개최했다.이번 장학기금조성추진위원 회의는 그동안 공석으로 있던 장학기금조성추진위원장 선출과 경기침체 등으로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한 추진위원회의 추진체계 재정비로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이날 회의에서는 새롭게 영입한 신규위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장학재단의 기금조성 추진위원회를 새롭게 이끌어갈 위원장에 김광우 전 구미시사회복지협의회장을 만장일치로 선출했다.기금조성추진위원장에 선출된 김광우 위원장은 “무엇보다도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아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그동안 재단을 잘 이끌어 오신 장세용 이사장과 신광도 전 추진위원장의 공로에 누가 되지 않도록 위원장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읍면동추진위원장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이 자리에 참석한 구미시장인 장세용 이사장은 바쁜 일정에도 회의에 참석하여 주신 추진위원님께 감사의 뜻을 전하고 “오늘 선출되신 김광우 추진위원장님을 중심으로 장학기금 조성 활동에 만전을 기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재단발전에 함께 노력하자고 당부 했다.향후 (재)구미시장학재단은 기금조성 활동을 관 주도의 추진체계에서 시민의 자율적인 참여 체제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장학기금 모금활동을 이어 간다는 기본방침 아래 활용 가능한 홍보 매체를 최대한 활용하여 홍보를 강화해 나가고 기탁자의 체계적인 관리로 기탁자의 명예를 높이고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한편, 구미시장학재단은 현재까지 총 317억원의 장학기금을 조성해 매년 110명 입사규모의 서울 ‘구미학숙’ 운영과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사업으로 매년 우수학생 190명, 3억원 규모의 장학금을 지급해 지역인재육성과 구미교육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2019-11-25
-
대구 수성초등학교, 학교폭력예방캠페인 최우수교 선정 대구 수성초등학교(교장 서양심)는 지난 30일 고양시에 위치한 EBS 사옥 다목적홀에서 열린 ‘2019 교실에서 찾은 희망’ 학교폭력예방 캠페인 학교부문 최우수교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2019 교실에서 찾은 희망’ 캠페인은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즐거운 교실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구호단체인 월드비전에서 2012년부터 진행하는 학급 참여형 캠페인으로 EBS가 공동 주관하고 교육부가 후원한다.올해는 ‘따뜻하게 말해줘’를 주제로 지난 4월부터 캠페인 동영상을 시청한 후 교사와 학생이 플래시몹을 제작해 유튜브에 업로드 해 응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 기간 동안 출품된 2,082개 작품 가운데 작품완성도, 협동성과 즐거움, 미션수행, 참여소감을 기준으로 평가해 1,085개 학교가 참여한 학교부문에서 최우수교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하게 되었다.학생들의 폭력예방과 즐거운 교실문화 정착을 위해 고민해온 대구 수성초등학교는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행복한 교실 만들기 프로젝트를 구상해 행복놀이시간을 이용해 영상을 제작했다.동료 교사들의 권유로 참여하는 학급이 더욱 많아졌으며 교사 회의를 통해 전교생이 행복 놀이 시간을 이용해 캠페인을 진행 하자는 의견이 나와 전교생이 참여하는 캠페인활동으로 확산되었다. 그 과정 속에서 교사들이 전하는 메시지, 친구들에게 들으면 기분 좋아지는 말, 서로 함께 웃으며 노래 부르는 활동을 통해 즐거운 교실 문화 정착에 힘을 보태었다.플래시몹에 참여한 6학년 한 학생은 “캠페인에 참여하면서 친구들과 함께 신나는 춤을 춰서 재미있었고, 간주 부분의 미션 중 서로에게 따뜻하게 칭찬하는 말을 전하는 기분 좋은 시간을 만든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소감을 말했다.서양심 교장은 “교사와 학생들의 자발적인 캠페인 활동이 진행되며 학교 곳곳에서 들려오는 노래와 학생들의 웃음소리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이 되며 학교 폭력을 예방하고 있었는데 큰 상을 받게 되어 모든 수성가족들이 행복해하고 있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2019-11-25
-
이매고등학교 이매고등학교(이매고)는 학생부종합전형 실시 대학 제공용 고교 정보 프로파일 우수 학교다. 즉, 이매고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등 이매고의 교육이 입시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여러 대학에서 인정받고 있는 이매고의 교육은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이자 미래를 살아가는 데 있어 중요 핵심역량인 창의성, 인성,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그리고 발전가능성을 성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기회를 학생들에게 3년간 끊임없이 제공하는 것이다.경기도교육청과 성남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공교육의 내실화 기해이매고는 학교와 교사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과정과 지원이 주어진다. SW선도학교로 정보교과를 개설하고 클러스터 거점형 학교와 경기 꿈의 대학 거점형 학교로 운영하며 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부족한 심화과정을 인근 학교와 지역 사회와 연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진행한다.뿐만 아니라 경기도교육청의 일반고 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성남형 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송도 글로벌 캠퍼스 겐트대학교(벨기에 국립대)와 MOU를 맺어 학생들에게 보다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한국나노기술원과의 MOU 체결로 전문성을 높인 나노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인 ‘토요과학교실’은 학생들이 꼽는 대표 프로그램이다.이와 같은 학교의 노력은 공교육 기관인 일반고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First Mover’로의 성장을 이끌기 위함이다. 교과서에 갇힌 지식이 아니라 학생들이 여러 경험을 통해 자신들의 꿈을 개척해갈 수 있도록 살아있는 교육을 학교에서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다.정보교과 개설, 클러스터, 맞춤형 방과후 학교 등으로 선택 폭 더욱 넓혀이매고의 교육과정은 학생의 진로와 선택을 존중하는 개별화 교육과정이다.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교과 영역 간 선택 과목에 다양하게 구성된 과목 중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이매고는 변화하는 시대에서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고등학교에서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SW선도학교로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1학년부터 코딩 알고리즘(문제해결능력)의 기초가 되는 프로그래밍 과목인 정보교과를 개설하고 학생들이 직접 실습까지 할 수 있는 컴퓨터실습실을 새롭게 구축하였다. 관련 시설과 정보교과는 내년에 더욱 확대될 계획이다.또한 여러 이유로 정규교육과정에서 개설하기 힘든 수업들을 클러스터와 방과후 학교에서 진행한다. 보평고와 판교고와 함께 국제경제, 스포츠, 미술과목을 클러스터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며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 장소, 강사 활용, 학습 난이도 등을 적극 수용한 맞춤형 방과후 학교에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이 많다. 더욱이 이 모든 교육과정은 성취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며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역량을 향상시키고 성장과정에 대한 학교생활기록부 기록으로 남게 된다.자기개발을 위한 다양한 활동 참여로 학생부 풍성이매고 교육은 자기주도적 활동과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학생들 스스로가 문제를 판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이매자치법정, 가르치며 배우는 또래학습멘토링, 서로 배려하는 문화를 만드는 친구지킴이를 비롯해 51개의 창체 동아리와 90개의 자율동아리 등 관심이 있는 학교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또한 이매리더십반을 운영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차세대 리더를 양성하고, 다양한 창의체험활동과 진로진학탐색의 기회를 제공하여 뚜렷한 꿈과 목표가 있는 학교생활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 교과 학습과 비교과의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하여 구체적인 진로와 진학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돕고 있다. 기초학력향상 프로그램인 이매 UP-UP활동을 통해 단 1명도 소외되지 않고 학교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교육의 내실화를 이룬 대표 활동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학교에 다양한 활동을 갖춰놓은 이매고는 학생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확실한 동기부여를 한다. 성실한 학교생활이 평가기준인 이매-꿈 키움/이룸상과 이매-꿈 세움/다짐상을 학기별, 하계·동계 방학 중에 운영하여 시상하고 있으며, 다양한 장학금제도로 많은 학생들에게 확실한 동기부여를 하고 있다.분당지역 특성에 맞는 학생부종합전형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수시전형에서 비중이 높은 학생부종합전형은 1학년부터 차근차근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이매고의 진로진학지도는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우선 1학년부터 이매고를 비롯해 분당지역 학생들의 사례분석을 통한 맞춤 전략과 컨설팅, 진로진학 전문 강사의 교실 순회 강의와 진학주치의제로 적성과 진로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구체적인 활동을 계획하도록 한다.이외에도 맞춤형 진로활동 및 체험, 진로 상담 페스티벌, 진로포트폴리오, 자소서반과 면접반 등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입시정보를 제공하는 강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특히 전공적합성, 학업역량, 인성, 발전가능성 항목의 세부 특성을 강화하고 전공에 적합한 과목별 세부능력 특기사항 기재 연구는 물론 각 항목별 체크리스트를 개발해 학생부종합전형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게 하고 있어 해마다 높은 진학결과로 이어진다.2019학년도에는 서울대와 의학계열 2명, 고려대 7명, 연세대 8명을 포함해 여러 대학에 많은 학생들이 합격했으며 이와 같은 수치는 2018학년도와 비교하면 그 수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미니인터뷰 - 이매고등학교 송광래 교장“‘First Mover’로 성장하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송광래 교장은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인재는 정확히 체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가치 있는 지식을 끌어낼 수 있는 ‘First Mover’라고 강조한다.“미래사회에서는 지식의 양 보다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자신의 배운 내용을 여러 영역으로 확장시켜 융합사고를 발전시켜나가는, 즉 무엇인가를 알고 싶어 하고 궁리하는 과정을 거쳐 창의성을 갖춘 ‘First Mover’가 필요합니다.” 덧붙여 송 교장은 많은 실패를 견뎌내는 끈기가 있어야만 ‘First Mover’로 성장할 수 있다며 결과에 두려움을 갖지 말고 학교의 여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라고 조언했다.이런 이유로 이매고가 제시하는 비전은 ‘First Mover로 성장을 이끌어주는 학교’다. 이매고 교사들은 이와같은 교육을 하기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구성해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다며 “교사들이 자신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조직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학생들의 흥미고취와 참된 학력향상의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은 입학사정관과 교내 전문가의 강의와 동료 장학 등을 통해 교사역량을 키우고 있으며 학생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학교교육은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소통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학교의 주요사항들을 학생과 학부모들과 협의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는 있으나 오히려 이런 과정을 통해 학교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견고해져 학생들은 학교생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나갈 것입니다. 따라서 보다 좋은 이매고 교육을 위해 저희 모두는 노력할 것입니다.” 2019-11-25
- 유아 영어교육, 재미있게 하는 것이 효과적 Q.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국가에서 영어교육을 한다면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은가요?A. As early as possible, children’s brains are wired to absorb and naturally language, as a mother tongue from birth until the age of 6(Korean age 7), after this, learning a new language becomes gradually harder with age.가능하다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아이들의 뇌는 7살까지는 모국어처럼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새로운 언어를 받아들이기가 점점 어려워지죠.Q. 유아영어교육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요?A. The same way Korean children learn to speak their mother tongue. Background hearing, songs, fun, and lots of encouragement and positive reinforcement. After their ears and brains are familiar with the language, context through fun activities and games to make them want to speak should be ideal.Just a side note, Teaching children to read and write and especially grammar rules, before they can speak, can prevent natural spontaneous speach in the language (imagine doing it to your children before they could speak Korean…).한국아이들이 모국어를 습득하듯이 영어교육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계속해서 많이 들려주고요, 노래를 통해서 접하게 해 주며, 재미있게 해 주고요, 칭찬과 함께 긍정적인 동기부여 역시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아이들의 귀와 뇌가 영어에 익숙하게 되면 그 다음엔 그들이 원하는 말을 할 수 있도록 재미있는 활동과 게임들을 통해서 문맥을 파악하고 문장을 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죠.참고로, 아이들이 잘 말하지도 못하는데 읽기와 쓰기, 특히 문법을 가르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발화와 자발적인 말하기를 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될 수가 있습니다. 마치 아이들이 모국어인 한국어 배울 때를 생각해 보면 잘 이해 할 수 있을 겁니다. 어린 아이가 말을 조금 할 수 있다고 해서 더 말을 잘 하라고 이 시기에 읽기, 쓰기를 가르치거나 문법을 가르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이죠. 오히려 좀 더 말을 잘 할 수 있도록 재미있는 많은 활동들을 통해 한 단어 한 단어씩 자신이 원하는 말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칭찬과 동기부여를 통해 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죠. 이와 같이 바로 이 시기의 영어교육도 모국어 습득하듯이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Q. 아이의 영어교육을 위해 가정에서 어머니들이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A. A lot of background listening, positive reinforcement, games, and songs. Make it fun, they should be naturally motivated if they have fun, they will love learning. The more successful they feel, the more they love learning, so always keep feedback positive.많이 들려주고 게임과 노래들을 통해서 재미있게 해 주며 끊임없는 칭찬과 동기부여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영어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즐거울 때 더 습득이 잘 되며, 그들이 하는 것들이 잘 했다고 칭찬 받을 때 더 빠른, 더 많은 습득을 하게 됩니다. 매 순간마다 작은 행동이나 말이라도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세요. 아이들은 그것을 통해 더 많은 것들을 습득하려고 할 것입니다.헬렌도론에듀케이셔널그룹헬렌도론 대표문의 031-966-8833 2019-11-22
-
우리 동네 독립서점을 말한다 동네서점은 언젠가부터 학습용 참고서와 문제집을 팔고 한쪽에는 캐릭터 문구용품을 파는 곳으로 바뀌었다. ‘서점’이 제 기능을 못 하면서 동네 서점은 서서히 사라졌다. 그러다 요즘 다시 개성을 담뿍 담은 독립서점들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독립서점 탐방을 하는 모임도 생겼다. 특색과 매력을 가진 우리 동네 독립서점의 대표들에게 독립서점이 가진 장점을 들어보았다.도심 속의 작은 숲 책방목동 ‘꽃 피는 책’의 ‘김혜정 대표’책방 ‘꽃 피는 책’을 운영하는 김혜정 대표는 원래 다큐멘터리 방송작가 일을 했다. 원래 숲, 식물 마니아로 자연에서 행복감을 얻고 감동과 위로를 받곤 했다. 자연에서 얻은 행복감을 나 혼자 누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책방을 열게 되었다. 1년 반 정도 운영해왔고 600여 권의 책을 만날 수 있다. 꽃 피는 책에서는 ‘숲’이 전체적인 맥락을 이루고 있다, 숲, 생태, 식물과 관련된 책을 판매한다. 숲을 주제로 한 신간을 소개하고 작가와의 만남, 강연회를 연다. 또, 꽃과 식물을 판매하고 반려 식물을 키우는 행복을 많은 사람에게 알린다. 성인들에게 숲을 산책하며 숲 해설을 해주기도 하고 아이들에게는 숲 체험 활동을 하기도 한다. 김 대표는 몇 년 전부터 다방면으로 숲, 식물 공부를 해왔다. 국가 공인 숲해설가, 숲길 등산지도사, 유아숲지도사 자격 등을 취득했고 시민정원사나 화훼장식사, 원예치료사 공부를 꾸준히 하고 있다. 책방에서는 정기적으로 생태독서 모임, 시모임을 진행하고 있고 비정기적으로 작가와의 만남이나 생태강좌를 열고 있다. 생태 드로잉, 식물 세밀화, 꽃누르미, 들꽃자수 등의 강좌도 진행하는데 인기가 높다.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반기부터는 숲 활동을 하고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사진을 찍어 나만의 책을 만드는 ‘어린이 생태작가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우종영 작가의 <나는 나무에게 인생을 배웠다> 책을 추천했다. 김 대표는 “독립서점은 책을 매개로 사람들을 모으고 관계를 키우는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바쁜 일상 속에 지친 사람들에게 저희 책방이 숨 쉴 틈을 주는 공간, 숲과 같은 공간이 되었으면 해요” 한다.페이스북 : facebook.com/bloomingbooks2018인스타그램 : instagram.com/blooming__books다른 삶, 의미 있는 세계를 찾는 책방문래동 ‘청색종이’의 ‘김태형 대표’‘청색종이’책방의 김태형 대표는 시인이다. 92년 <현대시세계>로 등단했다. 시집 <로큰롤 헤븐>,<코끼리 주파수>,산문집<하루맑음> 등 다수의 책을 출간했다. 제4회 시와 사상 문학상을 받은 오랜 경력을 가진 시인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청색종이는 문래동 한자리에서 4년이 넘어가는 책방으로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4천여 권 정도를 보유하고 있는 책방으로 문학과 인문학 서적이 많다. 특히 윤동주, 백석, 정지용 등 초간본 수제본 시집은 다른 서점에서는 만날 수 없는 희귀본이다. 또 출판업을 함께 하고 있는 출판사 겸 서점이라서 청색종이에서 출간한 책들을 중심으로 독자들을 만나오고 있다. 책방이 있는 곳이 문래 예술창작촌으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만날 수 있어 책 디자인 측면에서 화가들과 협업을 하고 시를 중심으로 여러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김 대표의 시 한 편을 윈도우 갤러리에 전시하면서 시각 예술작가들과 협업을 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책방은 60년대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공간으로 작은 마당도 있어 책과 잘 어울리는 분위기를 만든다. 실용적인 강좌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독립출판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편집 디자인 강좌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시 창작 강좌는 몇 년째 이어지고 있고 계절마다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달 말에는 김연수 작가가 독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책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만나고 대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 책방입니다. 그러다 보면 다른 생각이 태어나고 또 지역의 개성도 찾을 수 있는 공간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한다. 청색종이가 세상을 따라가기보다 여기서만 할 수 있는 일을 책을 통해 다가가려고 노력하고 있다.블로그 : https://blog.naver.com/theotherk뜻밖의 책을 찾아가는 기쁨 주는 책방신월동 ‘새벽감성 1집’의 ‘김지선 대표’‘새벽감성 1집’책방은 서점 겸 카페로 운영되고 있다. 책방을 운영하는 김지선 대표는 여행 작가다. <인조이 유럽>, <인조이 파리>, <인조이 스페인 포르투갈>의 여행서나 <커피 한 잔 값으로 독립출한 책 만들기> 등의 책을 펴내며 독립출판을 하고 있고 현재 <곰돌이를 부탁해> 책을 제작 중에 있다. 책방은 1년이 넘었고 1000여 권의 책들을 만나 볼 수 있다. 여행서나 사진, 음악 관련 책 등 취향을 맞추는 다양한 책들이 있다. 책방에서는 양천구 유일하게 독립출판물을 만날 수 있고 고양이를 동반할 수 있다. 음료와 함께 맥주와 와인을 함께 판매하는 카페 공간이 있어 책도 보고 차 한 잔 하는 감성적인 카페다. 독립출판 수업, 여행특강,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진행한다. 심야 책방, 작은 서점 지원 사업 등 문학과 놀이를 겸한 행사를 많이 구상해 펼친다. 김 대표는 “독립서점은 대형서점에서 만나지 못하는 소소한 감성이 있어요. 주인장의 색깔이 깊이 녹아 있어서 같은 취향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좋은 큐레이션 책방이 됩니다” 한다. 그러면서 독립서점은 어떤 상품을 찾아오는 곳이 아니라 그냥 들렀다가 무언가를 발견하는 기쁨을 느꼈으면 한단다. 그래서 책들도 분류에 따라 진열하지 않고 여기저기 마구 꽂혀 있다. 둘러보다가 새로운 세계를 발견할만한 책을 만났으면 하는 게 김 대표의 바람이다. 지역의 작은 서점들과 함께 북 팜 행사를 한 달에 한 번 진행한다. 김 대표가 추천하는 책은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이고 새벽감성 1집만의 색깔을 보여 줄 수 있는 북 큐레이션에 집중할 재미있는 요소들을 많이 만들어 어른들이 힐링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인스타그램 : instagram.com/dawnsense_1.zip책과 문화를 공유하는 우리 동네 문화발전소화곡동 ‘악어책방’의 ‘고선영 대표’‘악어책방’을 운영하는 고선영 대표는 교육콘텐츠를 기획 개발하는 일을 했고 부모 교육을 맡아 하다가 책방을 열게 되었다. 저서 <감정도 디자인이 될까요?>가 올해 1월에 출간되었고 그 책을 기반으로 하는 감정디자인 클래스와 북 토크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악어책방은 다양한 세대가 어우러져 지역의 문화를 공유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고 1년이 되었다. 그림책을 포함해 약 3천여 권의 다양한 책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동안 초등학생 40여 명이 회원으로 있는 악어새 북클럽이 활성화되었다. 책을 자발적이면서 주도적으로 읽고 느낀 점을 쓰거나 대화를 통해 나누고 게임도 하면서 재미있게 책을 받아들이는 활동을 한다. 악어새 북클럽의 어린이 회원들은 책을 주도적으로 읽고 사고한다. 어린이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부모들을 위한 양질의 수다를 지향하는 ‘부모 살롱’, 월요일엔 글쓰기와 글 읽기 ‘월글’, 그림책 대화 수업 ‘상상해 클래스’, 저자 북 토 2019-11-21
-
야탑고등학교 대입에서 수시전형 선발 비중이 높아지면서 각 학교의 교육과정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중요해졌다. 고교 3년간 학교에서 여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각 대학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입시의 흐름을 읽고 빠르게 수시전형에 맞는 시스템을 갖춘 학교가 바로 야탑고등학교(야탑고)다. 5년 전부터 학생들의 진학지도에 맞춘 교육과정과 각종 프로그램을 갖추고 ‘학생부종합전형에 강한 즐거운 학교’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학생부종합전형 시스템 벤치마킹하기 위해 연수하러 오는 학교야탑고는 수시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율이 높아지는 입시의 변화에 맞춰 학교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학교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개편해 학생들이 학교생활에만 집중해도 대학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끌어내기 위한 노력이었다. 이런 학교의 노력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는 서울대를 비롯해 상위 대학의 일반전형 합격자 수로 확인할 수 있다.1학년부터 학생들의 꿈을 찾고 진로를 설정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학교에서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갖춰진 아탑고의 학생부종합전형 시스템은 이제 여러 지역의 학교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연수를 올 정도다. 야탑고는 오랜 시간 축적된 졸업생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부모와 학생들과의 소통으로 보다 실질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들을 운영해 나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수학과 논리학 중심의 교육과정과 수준 높은 심화 프로그램올해 1학년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기초과목에 일반 선택 교과로 수학과제탐구와 미적분, 진로 선택 교과로 경제수학과 실용수학을 편제했으며, 사회와 문화, 경제, 한국지리, 세계사,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의 I과 II과정, 그리고 융합과학, 사회문제 탐구, 여행지리, 생활과 과학, 과학사 등 22개의 탐구교과 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특히 야탑고는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된 자유수강제지만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습력을 좌우하는 수학과 논리학을 강화하고 있다. 수학과 논리학이 강화된 수업은 논술과목으로 이어져 학생들이 논리적 사고를 확장시킨다.또한 교육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은 누구나 참여하는 수준 높은 심화 학습 프로그램으로 해결한다. 2018학년도에는 1학기에 82개, 2학기에 57개의 모둠이 활발한 활동을 한 심화학습 모둠은 지도교사와 함께 3~5명의 학생들이 모둠을 이뤄 자발적으로 교과와 연계된 내용을 주제로 교과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는 야탑고의 핵심프로그램이다.교육과정 편성으로 학생부에 고스란히 기록되는 비교과 활동수시전형에서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비교과활동에서 강점이 드러나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참여하는 것 못지않게 학생부에 상세히 기록되는 것이 중요하다. 야탑고는 이 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비교과 활동을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활동 등 학생부의 각 영역에 기재한다. 즉, 야탑고의 많은 비교과 활동은 학업역량과 심성 함양은 물론 수시전형에서의 경쟁력까지 갖게 되는 것이다.60여 개가 넘는 다양한 분야의 정규 동아리와 자율 동아리들의 활동, 진로선택에 도움이 되는 인문·자연 계열별 특강과 진로탐색 진로포럼, 수리탐구대회, 철학 페스티벌, YHMUN(야탑모의유엔) 대회 등 분야별 경시대회뿐만 아니라 인근 중원청소년수련관과 MOU를 맺어 진행하는 1인기 2기 예체능 프로그램, 인근 지역사회(사랑의 학교, 예가원)와 연계한 봉사활동 등을 학교 교육과정 안에 편성했다.야탑고 전통의 주말아카데미도 빼놓을 수 없다. 주말과 공휴일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열려있는 안정적인 학습공간을 제공하고 졸업생 중 명문대 재학생들로 구성된 멘토단이 함께 하며 학습방법 상담과 구체적인 교과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줌으로써 학습의 멘토를 받는 것은 물론 자기주도 학습을 물론 희망 학과에 대한 생동감 있는 조언을 구할 수 있다.대입전략부 운영으로 지난 3년간 급속도로 대입 실적 상승지난 3년간의 야탑고 진학실적은 놀랍다. 특히 의과대학 합격 실적이 두드러진다. 2017학년도 2명의 합격자를 시작으로 2018학년도에는 서울대 의예과와 치의예과를 포함해 10명, 2019학년도에는 7명이 합격했다. 서울대 또한 2017학년도와 2018학년도에 각각 4명을 합격시킨데 이어 올해도 역시 5명이 합격했으며 이외에도 연・고대를 포함한 상위대학에 많은 학생들이 합격하고 있다.이렇듯 꾸준히 증가하는 실적 뒤에는 ‘학생부종합전형에 강한 학교’라는 목표에 맞춘 진학지도가 비결이다. 각각의 명문대가 제시하는 인재상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그에 맞게 교육과정의 설계와 진학상담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다. 개별 학생들에 집중해 최선을 다하는 지도는 2년 전 서울대에 동시에 합격한 쌍둥이 자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대입전략부에서는 1학년부터 꾸준한 동기부여와 상담으로 성적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학생들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고 합격할 수 있도록 자소서와 면접까지 함께 한다.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꿈을 명확하게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도서, 동아리 등 활동은 물론 어떤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설계할 것인지 충분히 안내해준다.야탑고 특별 프로그램• 1인 2기 예체능 프로그램• 나를 성장하게 하는 봉사활동• 다양하고 알찬 경시, 경연 대회• 언제나 열려있는 주말아카데미• 내 인생을 밝혀 줄 진로 탐색과 진로포럼• 영혼을 풍요롭게 하는 인문학, 자연과학 특강• 누구나 참여하는 수준 높은 심화학습 프로그램• 전공관련 학습 동리와 다양한 자율동아리 활동미니인터뷰 - 야탑고등학교 조광호 교장“날마다 배우고 익혀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겠습니다”조광호 교장은 지난 3년간의 대입 실적에도 안주하지 않고 더욱 발전하는 야탑고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앞으로도 우리 야탑고는 빠르게 진행되는 교육환경 변화를 능동적으로 이끌어가는 미래지향작인 학교교육과 교육시스템,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학교교육활동 프로그램을 하나하나 개선하면서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입니다”라며 “야탑고의 학교교육이 문과와 이과가 만나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융합적인 혁신을 만들고, 그리하여 학문의 분과영역을 뛰어넘어 타 분야 인재들과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배양될 수 있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야탑교육은 진학뿐 아니라 1인2기, 봉사활동을 통해 미래사회의 공감문명에 대비하여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학생으로 성장하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아픔과 기쁨을 함께 나누는 공감의 가치체계를 실천하는 훌륭한 인재가 되도록 책임교육을 해나갈 것입니다.”무엇보다 학생들이 지덕체를 겸비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책임교육에 힘쓸 것이라는 조 교장은 “최근에 우리 학교의 교기인 야구부가 ‘제45회 봉황대기 전국대회’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거두었습니다. 고교 야구의 최정상에 선 야구부 못지않게 야탑고임을 자랑스러워하는 학생들을 보며 날마다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야탑인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끼며 성장하도록 저희 교사들은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 201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