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 검색결과 총 2,253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영업정지처분 취소 미끼 돈 받은 지구당 간부 영장(제목 두줄로) 서울 노량진경찰서는 12일 영업정지처분을 취소해주겠다며 단란주점 업주로부터 돈을 받아 챙긴 모 정당 지구당 간부 한 모(44.서울도봉구 방학동)씨에 대해 변호사법 위반 혐의로 구 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한씨는 서울 동작구 N단란주점 업주 송 모(55)씨가 지난해 10월초 3개월 영 업정지 처분을 받자 “고위층을 통해 이를 풀어주겠다”고 속여 같은 달 14일 동작구청 주 차장에서 평소 알고 지내던 윤 모(43)씨 등 2명을 통해 송씨로부터 400만원을 건네 받은 혐 의다. 한씨는 경찰에서 “돈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윤씨로부터 당 운영비와 용돈으로 받은 것일 뿐 영업정지 처분 취소를 미끼로 받은 것은 아니다”고 부인했다. 2001-07-12
- 북한산국립공원 관통 고속도로 환경단체 “국립공원 해제운동 벌이겠다” 북한산국립공원을 8차선 터널로 관통하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산―퇴계원 구간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협의가 7월 11일자로 환경부를 통과했다. 환경부 환경평가과 관계자는 11일 오후 “오늘 날짜로 평가협의를 했다”며 “환경부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경제성과 환경영향, 경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에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노선은 북한산국립공원을 길이 4.6㎞, 왕복 8차선 터널로 지나 수락산과 불암산까지 터널로 관통하는 안이어서 국립공원 우회노선을 주장해 온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 협의조건으로 터널 양쪽 600m~1000m를 도로건설 후 덮개를 씌우고 그 위에 나무를 심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도로공사는 “1000억원 이상의 추가비용이 들어간다”며 정부의 예산지원이 없으면 이 안마저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서울외곽순환 고속도로 북부구간은 경기도 고양시 오금동을 출발,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를 잇는 왕복 8차선 고속화도로(설계속도 시속 100km)로 고양시―양주군―의정부시―구리시 사이의 상호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된다. 이 구간은 총 25.3km의 구간 중 터널구간 11.796km(사패산터널 수락산터널 등 5개), 교량구간 5.056km(송추 1·2·3교 등 24개)를 포함한다. 현 실시설계노선은 벽제―노고산(터널 2곳 및 지상구간)―송추(지상 및 교량구간)―도봉산(사패산터널)―의정부(교량 및 지상구간)―도봉동(교량구간)―수락산(수락터널 및 교량 구간)―불암산(불암터널)―남양주―퇴계원으로 이어진다. 이 문제에 대해 ‘북한산국립공원·수락산·불암산 관통도로 저지를 위한 시민연대’(시민연대)는 “만약 도봉산 밑으로 8차선 고속도로를 낸다면 북한산국립공원은 더 이상 국립공원으로서 가치가 없다”며 “차라리 국립공원을 해제하고 북한산 인수봉 밑으로 통과하는 게 더 경제적일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식물원협회 오병훈 이사는 “90년대 초까지 군사통제구역으로 묶여 있었던 도봉산 북서면 일대는 같은 습지식물과 각종 자생란 등 수많은 희귀식물이 생육, 북한산국립공원에서 생태적인 가치가 가장 높은 곳”이라고 말한다. 이 일대에는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이 곳에서만 온전한 서식지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 아놀드수목원이 고품위 관상수로 개발, 세계적인 유명상품이 된 의 한국자생종인 △한국특산식물인 △환경부가 특정야생식물 75호로 지정하고 산림청도 희귀 멸종위기식물 6번으로 지정한 식충식물 등이 자라고 있다. 2001-07-11
- 방학맞이 청소년행사 곳곳서 이어져 여름방학을 맞은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위해 서울시내 자치단체들이 풍성한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9일 서울시와 자치구 등에 따르면 자치단체들은 여름방학을 맞이한 학생들을 위해 각종 탐사교실, 체험학교 등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 한강관리사업소는 오는 26일부터 이틀동안 모두 6회에 걸쳐 여의도샛강 생태공원에서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여의도샛강생태공원 자연탐사교실’을 연다. 이번 탐사교실에는 각 분야를 전공한 자원봉사자들이 참여, 학생들과 함께 꽃 풀 나무 곤충 물고기 새 등을 직접 관찰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서울 성동구는 다음달 3일 초등학교 5학년 이상 청소년 80여명을 초청, 강화군 여차리 갯벌에서 학생들에게 생태환경의 산 지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도로 떠나는 신나는 갯벌탐사’ 행사를 마련,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서울 도봉구는 8월 4일 한강뚝섬윈드서핑장에서 관내 중고등학생들에게 실제로 윈드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체험-윈드서핑’ 행사를 가질 계획이다. 도봉구는 또 초등학생을 위해 8월 14일 경기도 안산시 대부도에서 ‘갯벌체험행사’를 연다. 서울 동작구는 오는 24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15일 동안 노량진1·상도3·상도5동 경로당과 신대방1동 독서실에서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천자문 사자소학 생활한자 생활예절 등을 가르치는 ‘청소년 한문·예절교실’을 운영한다. 이밖에 서울 금천구와 동대문구도 각각 23일과 30일부터 보름간 ‘한문·예절교실’을 열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도 관내 청소년들에게 오는 24일부터 4일간 숭인동에 있는 ‘문화의 집’에서 국악전문가의 지도아래 장고와 징 북 등 전통악기를 가지고 휘모리 풍류굿 굿거리 세마치 등 전통장단을 가르친다. 또 서울 용산 마포 관악구도 각각 청소년 뮤직챔피언대회, 볼링교실, 길거리 농구대회 등 방학을 맞은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방학을 보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2001-07-09
- 우이동길 조망권 침해 제동 서울시의회가 지역주민 반발 등의 이유로 서울시에서 추진중인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에 대한 개발제한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29일 서울시의회 도시관리위원회(위원장 정태종)는 쌍문동 512번지에서 423번지 일대 우이동길 1000m 구간을 역사문화지구에서 일반문화지구로 변경, 기존 4층이상 건축불가 지역의 층수제한을 사실상 없애자는 내용의 서울시 상정안건에 대해 본회의 상정을 보류시켰다고 밝혔다.당초 도시관리위원회 상임위원회에서는 이 안건을 본회의에 상정, 의결키로 했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과 지역주민 등은 ‘고층건물이 난립, 북한·도봉산이 가려진다’며 조망권 침해 등을 이유로 시의회 본회의 통과 반대와 지구변경 철회 등을 강력하게 요구했다.이에따라 시의회 도시관리위원회는 자연경관 훼손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우려와 민원을 감안, 본회의 상정전에 현장을 둘러보고 의견을 첨부하기 위해 이 안건의 본회의 상정을 보류키로 했다.정태종 위원장은 “현장조사 등을 거치고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집행부 측에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단서조항 등 조치사항을 추가해야겠다고 생각, 상정을 보류시켰다”며 “이같은 과정을 거친 후 다음달 서울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에 넘길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서울시는 우이동길을 비롯해 도봉로, 쌍문동길 등 역사문화지구로 묶인 도로 17곳을 일반문화지구로 변경해 지정할 계획이었다.이에대해 지난 28일 ‘북한산을 사랑하는 문화인 모임’,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등은 ‘북한산·도봉산 생명평화 시민연대’를 결성, “우이동길을 일반미관지구로 변경해 고층 건물을 허용한 것은 북한산과 도봉산의 자연경관을 해치고 난개발을 부추기는 일”이라며 미관지구 변경추진을 중단해줄 것을 서울시와 도봉구 등에 요구했다.이와 관련 서울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현재보다 미관 등을 악화시키는 고층건물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역사문화미관지구를 유지시키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이와 별도로 서울시의회는 본회의를 열고 사적지 보존을 위해 현재 4층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 역사문화미관지구의 건축에 있어 도시의 미관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6층까지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개정 조례는 또 각각 5층, 2층 이상으로 짓도록 해 중심지 미관지구, 일반미관지구의 최저 층수를 제한한 규정도 도시의 다양성 차원에서 제한을 없앴고, 건폐율 30%에 용적률 200%를 적용해 고밀도 개발을 억제하고 있는 학교이적지 대상에 도시계획시설로서 도시계획이 결정되지 않은 부지도 포함시켰다. 2001-05-29
- 서울시 ‘주거지역 세분화’ 벌써 삐걱 서울시가 마련하고 있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이 지역불균형발전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며 자치구 등이 벌써부터 반발하고 있어 시행에 난항이 예상된다. 19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난개발을 막기 위해 건물 용적율을 차등 적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을 시정연구단의 용역을 통해 마련, 시의회 보고와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 이번주중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달 21일 시청사에서 시 도시계획국장 등 실무자를 통해 25개 자치구청장에게 시에서 추진중인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강남 서초 종로 중구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치구청장들이 “이 방안이 추진될 경우 지역간 빈익빈 부익부를 부추기는 등 불균형을 초래할 것”이라며 반발, 귀추가 주목된다. ◇일반주거지역 세분화란 = 건교부는 지난해 도시계획법령을 바꾸면서 일반주거지역을 1, 2, 3종으로 세분화해 각각 100∼200%, 150∼250%, 200∼300%의 용적율을 적용하게 했다. 특히 건교부는 이같은 세분화 작업을 오는 2003년 6월말까지 마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일괄적으로 2종을 적용, 용적율 등의 제한을 가할 방침이다. 종 세분화 적용 이전의 일반주거지역 용적율은 300% 이내이기 때문에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이후 1종으로 분류, 100%의 용적율을 받게 되면 건축물 층수 등에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기준이 마련될 경우 낮은 종으로 분류되는 곳은 지역주민들의 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서울시 추진방안 = 시 도시계획위원회의 한 위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구청장 연석회의, 시 도시계획위원회 등을 통해 올해말까지 세분화 기준안을 마련, 각 자치구별로 내년 3∼5월에 주민의견 청취 과정을 거쳐 내년 6월께 공람공고를 할 예정이다. 이어 내년 하반기부터 이를 토대로 자치구별로 구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구단위 결정을 마치고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통해 2003년 상반기까지 서울시장의 고시로 도시계획 결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지역별로 개발상태·입지조건 등을 고려, 역세권 부근은 3종, 구릉지 등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이뤄진 곳은 1종, 일반 주거지역은 2종으로 한다는 개략적인 종 세분화 기준은 이미 마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현재의 개발밀도 등을 고려한 것으로 이렇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개발이 많이 이뤄져 있는 강남 종로 중구 등 도심권은 3종을, 성북 강북 노원 도봉 은평 강서구 등 시 외곽지역 자치구는 1종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7월 도시계획조례를 제정, 일반주거지역을 1, 2, 3종으로 나눠 각각 150%, 200%, 250%의 용적율을 적용토록 하고 시정개발연구원에 구체적 시행을 위한 매뉴얼 작성 용역을 맡겨 연내 세분화 기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무엇이 문제인가 = 도시계획관련 전문가들은 물론 일선 구청장들도 서울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서 도입키로 한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구청장들은 서울시의 방침대로 일반주거지역 세분화가 이뤄질 경우 “기존 도시개발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은 계속 낙후된 채로 남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또 일각에서는 제도 시행 일정이 내년 지방자치 시기와 맞물리게 돼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서울 강북구청장은 “도시개발은 직주근접, 균형개발, 기능분산의 원칙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서울시의 이같은 계획은 지금까지 불균형 개발 등으로 망쳐진 서울시를 한번 더 망치는 꼴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종 세분화는 현재의 도시개발수준, 도시시설,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서가 아니라 현재 낙후된 지역을 개선,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잇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ㄷ구청장은 “2종이하를 적용받게 되면 사실상 재건축, 재개발이 불가능해 격렬한 주민 반발에 부딪치게 될 것”이라며 “도시 서민들의 재건축 재개발에 대해서는 해당 자치구에 탄력적 재량권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노원구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의 일정대로라면 서울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져야 할 종 세분화 작업이 시간부족으로 졸속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의 한 위원은 “특히 종 세분화 추진일정이 내년 지방자치선거와 맞물려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장과 현 구청장들이 선거를 앞두고 지역주민에게 욕먹는 일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2001-06-20
- <내일>자력재개발구역 제도적 보완 장치 필요 40년간이나 재산권 행사를 못해온 노원구 상계동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 풀리게 됐다.서울 노원구는 지난 22일 자력재개발사업구역으로 지정된 상계 1,2,6 (총 면적 39만1400㎡) 구역 주민들에게 재산권을 행사 할 수 있게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곳은 자력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된 후 성실하게 건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사업이 완료되지 못해 피해를 보고 있는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이번 조치로 415세대는 등기를 완료하고 그동안의 피해를 구제 받을 수 있게 됐다. 자력재개발 사업이란 구역내 공공시설은 구청장이 설치하고 조성된 대지에는 주민들 스스로 건축물을 개량하는 방식. 지난 73∼75년 지정된 자력재개발구역은 현재 도봉구 2곳, 노원구 3곳, 강북·은평·마포·영등포·관악·송파구 각 1곳 등 모두 11곳 1,121,556㎡(약34만평) 규모로 정비대상 건축물이 무려 8,476개동에 이른다. 상계동 1,2,6 구역은 1973년 종로, 서울역 등의 도심재개발에 따른 철거민이 집단 이주, 불량·노후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1973년, 1981년 건설부에서 상계동 71 111 72번지를 자력재개발구역으로 지정하였지만 자력재개발사업의 제도적 문제점으로 인해 그동안 사업이 지지부진했기 때문이다.상계동 자력개발구역은 철거민 집단 이주 정착촌이라 토지면적이 작아 혼자서는 건축이 불가능해 대지면적을 90㎡이상이 되도록 공동환지를 주었다. 이에따라 1필지에 2∼4명으로 공동환지가 지정되었고 건축시 공유자들의 전원합의가 있어야 건축이 가능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특성상 저소득층이 다수이고 정부의 지원도 전무한 상태에서 건축사업은 장기간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상계 재개발 구역은 현재 환지예정지 1,157건중 495건만이 건축허가를 받아 50%에도 못 미치는 사업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노원구 도시정비과 김운희과장은 "30년이 넘어도 사업이 완료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관련법규의 미비와 그동안 서울시에서 관리하던 사업을 지방자치에 이관하면서 부담만 안겨줬다"고 전했다.사업 진척도가 가장 낮은 상계6구역 주민들은 현재 주민 조합의 형식을 구성하여 합동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최원환 구의원(상계4동)은 "상계6구역은 현재까지 사업추진이 가장 안되고 있고 현재의 상태라면 앞으로도 뚜렷한 진척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현재 주민들은 노후주택으로 인해 피해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보수도 못하고 건축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력재개발사업의 문제점을 보완한 주거환경개선지구는 상·하수도 등 공공시설은 물론 연리 6.5%, 1년 거치 19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주택자금(세대당 2천만원∼8천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업활성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서울시는 건교부에 자력재개발지역을 주거환경개선지역으로 중복지정하는 관련법 개정안을 건의한바 있다.노원도봉 김창배 기자 goldwin@naeil.com 2001-05-27
- <보류>서울시, 종 세분화 방안 난항 예상 서울시가 마련하고 있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방안이 지역 불균형과 교통난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며 자치구 등이 반발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난개발을 막기위해 건물 용적율을 차등적용하는 것을 골자로한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을 시의회 보고와 의견수렴등 절차를 거쳐 이번주안에 공식발표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달 21일 시청사에서 시 도시계획국장 등 실무자를 통해 25개 자치구청장에게 시가 추진중인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대해 대부분의 자치구청장들은 반대하고 있으나 이 방안이 추진될 경우 빈익빈 부익부를 부추기는 등 지역간 불균형을 초래할것이라며 반발했다. ◇종 세분화란=건교부는 지난해 도시계획법령을 바꾸면서 일반주거지역을 1, 2, 3종으로 세분화해 각각 100∼200%, 150∼250%, 200∼300%의 용적율을 적용하게 했다. 특히 건교부는 이같은 세분화 작업을 오는 2003년 6월말까지 마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일괄적으로 2종을 적용, 용적율 등의 제한을 가할 방침이다. 종 세분화 적용 이전의 일반주거지역 용적율은 300% 이내이기 때문에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이후 1종으로 분류, 100%의 용적율을 받게 되면 건축물 층수 등에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주거지역 세분화 기준이 마련될 경우 낮은 종으로 분류되는 곳은 지역주민들의 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서울시 추진방안=시 도시계획위원회의 한 위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구청장 연석회의, 시 도시계획위원회 등을 통해 올해말까지 세분화 기준안을 마련, 각 자치구별로 내년 3∼5월에 주민의견 청취 과정을 거쳐 내년 6월께 공람공고를 할 예정이다. 이어 내년 하반기부터 이를 토대로 자치구별로 구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구단위 결정을 마치고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해 2003년 상반기까지 서울시장이 이같은 내용을 고시, 도시계획 결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지역별로 개발상태, 입지조건 등을 고려 역세권 부근은 3종, 구릉지 등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이뤄진 곳은 1종, 이외의 대부분 일반주거지역은 2종으로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현재의 개발밀도 등을 고려한 것으로 이렇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개발이 많이 이뤄져 있는 강남, 종로, 중구 등 도심권은 3종을, 도봉, 강북, 성북구 등은 1종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에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7월 도시계획조례를 제정, 일반주거지역을 1, 2, 3종으로 나눠 각각 150%, 200%, 250%의 용적율을 적용하도록 하고 시정개발연구원에 구체적 시행을 위한 매뉴얼 작성 용역을 맡겨 연내 세분화 기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무엇이 문제인가=일선 구청장들과 도시계획관련 전문가들은 서울의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기 위해 서는 일반주거지역 세분화가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구청장을 제외한 대부분 구청장들은 일반주거지역 세분화가 이뤄질 경우 "기존 도시개발 과정에서 낙후된 지역은 계속 낙후된 채로 남게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또 일각에서는 일정상 내년 지방자치 시기와 맞물리게 돼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서울 강북구청장은 "도시개발은 직주근접, 균형개발, 기능분산의 원칙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서울시의 이같은 계획은 지금까지 불균형 개발 등으로 망친 서울시를 한번 더 망치는 꼴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종 세분화는 현재의 도시개발수준, 도시시설,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서가 아니라 현재 낙후된 지역을 개선, 지역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세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 노원구의 한 관계자도 일반주거지역 세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전제, "서울시내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해야 하는데 서울시의 일정대로라면 시간부족으로 시가 마련한 기준에 따라 졸속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한 위원은 "주거환경 개선이라는 원칙에서 종 세분화를 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종 세분화 기준이 마련되면 지역주민의 이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주민반발이 격렬히 일어날 것"이라며 "특히 종 세분화 추진일정이 내년 지방자치선거와 맞물려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장과 현 구청장들이 선거를 앞두고 지역주민들에게 욕먹는 일을 적극적으로 할 수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2001-06-19
- 서울 땅값 ‘조심스레’ 회복 서울시 땅값이 소폭이나마 상승했다.7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서울시 지가변동률은 1월 1일 기준으로 0.1% 상승, 지난해 전 기간동안의 상승률 0.05% 보다 약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특히 서울시는 지난해 4/4분기 지가변동률이 금융시장 불안 등 실물경기 하강으로 -1.08% 하락됐던 점을 감안, 본격적인 회복세는 아니더라도 조심스럽게나마 땅값 회복조짐이 보이고 있는게 아니냐는 분석이다.지역적으로는 상암동 택지개발지구 보상완료 등의 영향으로 0.36%의 변동률을 보인 마포구의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도봉구 0.26%, 강북구 0.2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주택지가 많은 강동구가 -0.18%의 변동률을 보여 가장 낮은 변동폭을 나타냈으며 은평구(-0.14%), 송파구(-0.12%) 등도 땅값이 떨어졌다.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 0.1%, 상업지역 0.09%, 공업지역 0.07%, 녹지지역 0.17% 등의 변동률을 보여 공업지역의 변동폭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주거지역은 중구가 0.45%, 은평구가 0.33%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강동구(-0.2%) 등 6개구가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냈으며 상업지역은 도봉구 0.78%, 강북구가 0.56%로 높은 상승률을 보인 반면 강서구가 -0.15%, 은평구가 -0.13%로 하락된 변동률을 보였다.반면 토지와 건물의 거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계속 감소했다.토지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 감소한 6만353필지(4636㎡)가 거래됐으며 특히 상·공업지역 거래가 각각 -20.5%, -28.4% 줄어 지난해 4/4분기의 경제여건 침체 등 실물경기 변동의 영향이 1/4분기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건물도 5만9578필지가 거래돼 전년동기대비 필지수에서 -6.5%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 지적과 관계자는 “회복세를 나타내는 구체적 지표는 없으나 수치면에서 땅값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금리가 내려가면서 여유자금이 아파트 등 부동산으로 돌아서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레 내다봤다. 2001-05-07
- 5월중 아파트 2만6000가구 분양 5월중 전국에서 2만6000여가구의 아파트가 분양된다.29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삼성물산, 대림산업, LG건설, 대우건설, 대한주택공사 등은 5월에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각각 18곳 등 전국 49곳에서 2만6184가구의 아파트를 분양한다.분양 물량은 작년 5월(3만6616가구)에 비해 28.5%가 감소한 것이며, 서울과 경기지역의 물량이 전체의 1만7517가구로 66.9%를 차지한다.서울에서는 삼성물산이 송파구 문정동에서 377가구, LG건설이 강동구 길2동에서 315가구, 대림산업이 구로구 신도림동에서 216가구 등을 각각 공급한다.경기도에서는 대림산업이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에서 702가구, 대우건설이 안산시 고잔 5차 택지개발지구에서 1113가구, SK건설이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에서 1124가구 등을 분양한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공급현황은 다음과 같다.시도별 업체명(연락처) 건설위치 세대수(일반) 서울 대림산업(02-368-7095) 구로구 신도림 362(216) 대주건설(02-780-4830) 서초구 잠원동 49(25) 마포구 망원동 203(102) 은평구 응암동 204(110) 삼부토건(02-3706-2337) 은평구 신사동 116(52) 삼성물산(1588-3588) 송파구 문정동 1696(377) 구로구 구로동 1243(333) 삼혜건설(02-690-2390) 양천구 신월동 27(270 (주)삼호(02-2170-5071) 도봉구 창동 205(92) 우정건설(02-2056-1020) 관악구 신림6동 124(124) LG건설(02-518-2459) 강동구 길2동 596(315) 강남구 개포동 211(211) 중앙건설(02-3271-8418) 성북구 정릉동 433(199) 코오롱건설(02-3677-6319) 은평구 갈현동 191(119) 한신공영(02-3393-3407) 은평구 신사동 296(151) 현대건설(02-795-7114) 용산구 보광동,한남동 165(165) 현대산업개발(02-2008-9251) 서초구 서초동 115(55) 혜수종합개발(02-654-4530) 은평구 녹번동 111(72)경기 국도이앤시(02-555-3378 용인 수지읍 648(648) 대림산업(02-368-7429) 용인 구성면 133(133) 안양시 호계동 1752(702) 대우건설(031-414-7799) 안산시 고잔동 1133(1133) 동진(02-3451-2600) 시흥시 대야동 230(230) 동원개발(051-647-1118) 성남시 야탑동 166(166) 동익건설(02-783-7734) 고양시 벽제동 1142(1142) 삼성물산(02-1588-3588) 용인시 구성면 1219(1219) 성원건설(02-3404-2109) 고양시 풍동 295(120) 영풍산업(02-543-9310) 용인시 수지읍 149(149) SK건설(02-3700-7745) 부천시 소사본동 224(미정) 한라건설(031-872-2220) 의정부시 송산동 636(636) (주)한화(031-966-7755) 고양시 화정동 122(122) 현대건설(031-265-4266) 용인시 수지읍 173(173) 부천시 소사구 946(946) 용인시 수지읍 295(295) (주)효성 (02-707-4449) 안양시 안양동 350(350) 주택공사(02-3416-3561) 동두천 송내동 577(577) 2001-04-29
- 올 하반기 서울지역 대단지 1만5천여 가구 입주 올 하반기 강북 미아동 SK북악산시티 5327가구를 비롯해 서울지역에서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 1만5375가구가 입주한다. 주로 구로 영등포를 제외하고는 용산 은평 성동 등 대부분 강북지역에 몰려있는 것이 눈에 띈다. 공급평형이 14평형∼59평형까지 다양한 가운데 중소형 평형 위주로 공급된다. 대단지 아파트는 생활편의시설의 잘 갖춰져 있어 특별히 입지가 나쁘지 않다면 언제나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다. 게다기 요즘 입주하는 신규아파트는 대부분이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이후에 공급된 아파트 들로서 고품질이기 때문에 재테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내집마련정보사의 김영진 사장은 “신규아파트는 입주시작 6개월 전부터 가격이 상승, 입주 후 1∼2개월 시점이 최고점이므로 입주 3∼4개월전에 미리 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 SK북한산 시티= 재개발 사업으로 추진된 국내 최대규모의 단지다. 지하철 4호선 미아삼 거리역과 도시순환고속도로 진입용 램프가 주변에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특히 이 단 지는 조경을 위해 100억원의 추가공사비를 투입, 눈길을 끌었다. 총 5327세대 중 일반분양분은 1721세대다. ◇ 도원동 삼성 래미안= 용산구 도원동 2만1000여평에 1992가구가 공급되며 이중 649가구 가 일반분양된다. 15평(534가구), 24평(462가구), 33평(610가구) 등 중소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효창공원 및 전자상가가 인접해 쾌적성과 편리성이 돋보인다. 최근 개통한 지하철 6호선 효창역과 5호선 공덕역이 가까워 교통도 편리한 편이다. ◇풍림산업= 공릉동 하계 1구역 재개발사업 아파트다. 총 14개동 1601세대중 1220세대가 일반분양이다. 지하철 7호선 공릉역 하계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며 동부간선도로를 통해 공사예정중인 외부순환도로와 중부고속도로로 연계가 가능하다. 미도파, 한신코아, 백병원 원자력병원 등 편의시설의 이용이 용이하다. ◇ 행당동 대림 강변타운= 성동구 응봉동 행당 재개발지구에 23층 14개동의 아파트 1150가 구가 들어선다. 이중 720가구가 일반분양이다. 도보 10분거리에 지하철 2호선 왕십리역과 5호선 행당역이 위치한 역세권 아파트다. 성수대교를 통해 강남과 연계가 용이하고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의 진출입이 용이하다. 한강조망이 가능하다. ◇ 문래 LG빌리지= 문래동 방림방적 공장터에 들어선다. 중대형 아파트 위주로 1302세대가 공급되며 모두 일반분양이다. 전체세대중 80% 이상이 정남향이고 단지 중앙에 1, 2층이 없는 필로티 설계로 개방감을 살렸다. 지하철 2호선 문래역이 인근에 있고 1호선 영등포역과 는 도보로 10분 거리다. 2001년 하반기 대단지 입주 아파트 입주월 위치 건설사 총세대수 평형 세대수 전화번호 8월 은평구 수색동 대림산업 1440 15(임대) 464 376-8900 25 256 32 445 42 275 9월 용산구 도원동 삼성물산 1992 15 534 1588-3588 24 462 33 610 42 386 노원 공릉동 풍림산업 1604 14 175 978-0632 23 476 33 718 44 232 10월 성동구 응봉동 대림산업 1150 24 480 449-0002 32 441 43 229 도봉구 방학동 고려산업개발 1278 24 166 3491-5200 33 608 38 162 49 260 59 82 11월 구로구 신도림 대림산업 1242 23 76 2635-9421 24 232 32 588 38 108 49 238 12월 영등포 문래동 LG건설 1302 35 644 728-2483 47 520 56 138 강북구 미아동 SK건설 5327 14(임대) 1497 983-3399 24 1195 33 1786 43 849 200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