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검색결과 총 41,560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학원 교습시간 11시까지 일시허용 검토 학원 교습시간을 밤 10시로 규제하는 조례안이 18일 서울시의회 본회를 통과했지만 앞으로 3개월 정도 현재와 같이 밤 11시까지 학원을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교육청이 정책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런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3월 구 교육부의 개정된 ‘학원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법’이 효력을 발휘하자 밤 10시를 원칙으로 하되 관련 조례가 개정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교습시간을 밤 11시까지 허용했다. 그러나 서울시의회가 마련한 조례안이 조만간 공포되면 이같은 유예조치는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동안 서울시내 대부분 학원들은 한시적 허용 방침에 따라 밤 11시까지 학원을 운영해왔다. ‘밤 10시’ 규정을 근거로 갑자기 단속을 감행할 경우 학원들의 강한 반발은 물론 비밀과외 등 단속을 피하기 위한 불법행위까지 기승을 불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서울시의회가 전면 자율화를 추진하다 비판여론이 부딪히자 강한 규제로 방향을 선회하는 등 혼란을 가중시켜 유예기간 설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울지역 학원들도 “교습시간을 제한하기에 앞서 일선 학교들이 실시 중인 보충 자율학습부터 폐지하라”며 반발하고 있다. 일선 학교들이 학생들의 자율 의사와 관계없이 심야시간까지 하교를 시켜주지 않기 때문에 학원들이 심야교습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학원 조례 개정안을 만들 때만 해도 이런 식으로 교습시간이 바뀔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며 “학원 및 서울시의회 등의 의견을 참고해 충격을 완화한다는 의미에서 유예기간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코오롱, 올해 임단협 타결 코오롱은 노사간에 임금 동결 및 성과급제 적용을 골자로 하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을 타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코오롱 노사는 지난달 27일 교섭을 시작해 보름만인 이달 11일 임단협에 합의했으며 이날 노조원 찬반 투표를 통해 임단협을 마무리지었다. 이는 보통 임단협이 3월에 시작해 7, 8월에야 타결되던 전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앞당겨진 것으로 노사가 상생의 정신을 공유했기에 가능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구본홍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내일의 눈]정부 조달단가부터 현실화해야 최근 납품단가 현실화를 주장하는 중소기업의 눈물겨운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인들이 국회와 정부청사 앞에서 집회를 개최하더니 급기야 공장가동을 포기하는 사태로 확산되고 있다. 중소 레미콘제조업체들은 오늘부터 레미콘 생산을 중단했다. 중소 주물업체들도 납품을 거부한지 이틀째다. 아스콘 콘크리트 플라스틱 제조업체들도 3월 말을 기점으로 집단행동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제 원·부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중소기업은 채산성 악화를 넘어 적자경영으로 돌아서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키워온 회사인데 오죽하면 생산중단을 하겠는가. 공장을 가동할수록 적자만 늘어 납품단가 현실화 없이는 생산은 불가능하다.” 중소기업인들의 하소연이자 각오다. 중소기업의 납품거부와 생산중단이 계속될 경우 산업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하다. 해결의 열쇠는 없는 것일까. 중소기업인들의 주장에 답이 있다. 중소기업계는 ‘정부 조달가격의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가 민간기업간의 거래에 깊숙이 관여하면 오해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집행하는 막대한 조달물량의 적정한 가격책정은 정당한 행위인데다 국내 가격기준을 제시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즉 정부가 적정한 조달가격을 책정한다면 기업간 중소기업 납품단가가 조정된다는 논리다. 실제 대기업들은 조달가격을 보고 납품단가를 정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조달가격이 기업간 거래가격보다 낮게 책정되는 관행도 바로잡아야 한다. 레미콘의 경우 정부조달가격은 루베당 4만6000원으로, 수도권 일반가격 5만원보다 낮다. 이명박 대통령은 ‘기업 프랜들리 정부’를 내세우고 있다. 대통령 후보시절에는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첫 번째 대통령 현장방문 장소로 중소기업을 찾았다. 이 대통령은 요즘 ‘정부의 머슴론’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대기업에 상생을 요구하기 전에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모범이 없는 정부요구는 협박이다. 이번 중소기업계의 납품거부와 생산중단 사태는 이명박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원칙을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관문임을 직시해야 한다. 산업팀 김형수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승관원 부산지원, 119구조대 교육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원장 이화석) 부산지원은 3월 12일 부산지원 회의실에서 관내 부산진 소방서 119구조대원을 대상으로 승강기 구출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교육은 △승강기 구조 및 원리 △갇힘사고 관련 모의훈련 △비상 구출요령 △ 승강기 기종별 마스터키 사용법 △승강기 수동조작방법 △승강기사고 유형별에 따른 구조기법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한편 지난해 승강기 갇힘 등 안전사고로 119구조대가 출동한 것은 8006번에 이른다 이재호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원자바오 총리, 국무원 부장급 인선 2008년 3월 17일 오후 3시 제11차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가 인민대회당에서 제7차 전국회의를 열어 국무원 부총리, 국무위원 각부 부장, 각 위원회 주임, 인민은행 은행장, 회계 감사, 국장비서실장을 선출했다. 또한 이 자리에서 제11차 전국인민대표대회 각 전문 위원회 주임위원 부주임위원 명단 초안이 제출됐다. 이어 국무원 원자바오 총리가 정부 주요 부처를 이끌어 갈 차기 부장급 인선자 명단을 아래와 같이 제출했다. 현지 관측통들은 여성 3명을 포함한 이 명단이 대체로 수정 없이 통과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지에츠 외교부 부장 △량광리에(梁光烈) 국방부 부장 △처우치(周濟) 교육부 부장 △완강(萬鋼) 과학기술부 부장 △리이중(李毅中) 공업과 정보화부 부장 △양징(楊晶몽고족)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주임 △멍지엔주(孟建柱) 공안부 부장 △겅후이창(耿惠昌) 국가안전부 부장 △마원(마원(마원, 여) 감찰부 부장 △리쉬에쥐(李學擧) 민정부 부장 △우아이잉(吳愛英, 여) 사법부 부장 △시에쉬런(謝旭人) 재정부 부장 △인웨이민(尹蔚民) 인력자원과 사회보장부 부장 △쉬샤오스(徐紹史) 국토자원부 부장 △쟝웨이신(薑偉新) 주택과 도시농촌건설부 부장 △리우즈쥔(劉志軍) 철도부 부장 △리성린(李盛霖) 교통운송부 부장 △천레이(陳雷) 수리부 부장 △쑨정차이(孫政才) 농업부 부장 △저우성시엔(周生賢) 환경보호부 부장 △천더밍(陳德銘) 상무부 부장 △천주(陳竺) 위생부 부장 △리빈(李斌, 여)국가인구와 가족계획위원회 주임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은행장 △리우쟈이(劉家義) 회계감독국 국장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무협, 농수산식품 미국시장 진출 지원 시장개방 압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수산식품 업계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한국무역협회가 발 벗고 나섰다. 한국무역협회(회장 이희범)는 3월 21일, 22일 양일간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제3회 한국 농·특산품 엑스포를 개최한다. 이번 엑스포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로 농수산업계 지원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는 충청남도, 경상북도 등 7개 시도가 무역협회와 손잡고 48개사의 미국 시장 공략을 지원할 계획이다. 무역협회는 이번 행사에 캘리포니아 지역의 대형마트, 홈쇼핑, 유통업체 및 아시아·히스패닉계 바이어들을 초청하여 국내 기업과 1:1 비즈니스 미팅을 주선할 예정이다. 김형수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교육연합 “지체장애 특수학교 세워달라” 삼육재활학교 서울학부모회, 서울 교육감에 진정 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삼육재활학교 서울학부모회는 18일 서울시교육청 교육감에게 진정서를 내고 중증지체장애 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기관을 설립해달라고 요청했다. 학부모회는 진정서에서 “개정된 특수교육법에 따라 취학 편의를 고려해 특수교육기관을 지역별, 장애 영역별로 균형 있게 설치ㆍ운영해야 한다”며 “서울 강서와 서남부 지역에 유치부와 초·중·고등부가 있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설립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학부모회에 따르면 삼육재활학교는 내년 3월 서울 본교의 문을 닫고 경기도 광주 학교만 운영할 계획이어서 당장 서울 본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에서는 구로구 정진학교에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학급을 신설했으나 중증 장애지체장애인이 다수인 삼육재활학교 재학생의 56%가 관악구, 동작구, 용산구, 서초구 등 통학거리가 먼 지역에 살고 있어 어려움이 크다고 학부모회는 전했다. ‘퇴학 정지’ 결정에 고대 출교생 복학 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고려대는 이른바 ‘교수감금’ 사태로 학교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출교생 7명을 이번 학기에 복학시키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강영만씨 등 출교생들은 이날 오후 김한겸 학생처장과 면담을 갖고 2008학년도 1학기 등록금 납부기한인 20일까지 출교생 전원의 복학을 약속받았다고 전했다. 이들은 2006년 1학기 등록금을 납부하고 학교를 다니던 중 출교 처분을 받았기 때문에 이번 학기에 는 별도의 등록금을 내지 않고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됐다. 출교생들에 대한 복학은 징계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내용의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받아들인 데 따른 것이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는 강씨 등 출교생들이 학교를 상대로 낸 퇴학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해 본안 소송의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퇴학처분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 고려대는 강씨 등이 2006년 4월 보건대 학생의 총학생회 투표권 문제로 보직교수들을 가로막고 승강이를 벌였다는 이유로 출교 조치했다가 ‘징계가 절차상 정당성을 잃었다’는 법원 판결에 따라 지난달 학생상벌위원회를 다시 열어 퇴학으로 징계를 조정한 바 있다. 이번 결정에 대해 강씨는 “퇴학의 효력을 정지한다는 결정이 나온 만큼 학교가 복학 조치만 취하면 이 사태는 드디어 해결 국면으로 접어든다”고 환영했고, 출교생 김지윤씨도 “다시 웃으며 학교를 거닐고 리포트를 쓰고 교수님과 토론도 하고 싶다”며 기쁨을 나타냈다. ‘학력평가 문제유출’ 관련 출제위원 소환 경찰 “학원강사 프린트물 저서내용과 유사” 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유출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은 18일 저녁 해당 학력평가의 출제위원들을 불러 문제유출 가능성 등을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출제위원 9명 중 곧바로 소환에 응한 7명을 대상으로 당시 문제를 출제한 방식과 출제 뒤 문제 관리,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학원강사 A씨와의 접촉 여부 등을 집중 조사 중이다. 전날 경찰은 A씨를 소환해 유출 의혹이 있는 학력평가 19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실린 학원 프린트물 제작 경위를 살펴본 결과 학원 프린트물에 실린 19문제가 A씨 저서 8권에 수록된 문제와 유사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 관계자는 “유출된 것으로 지목된 학력평가 수리영역 19문제가 실린 학원 프린트물과 A씨 저서에 담긴 19문제가 유사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하지만 문제들간유사성을 최종 결론내리기 위해서는 전문가 감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에 따라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학력평가문제와 A씨가 만든 프린트물, A씨 저서를 제 3의 기관에 맡겨 문제간 유사성에 대해 정밀감정을 실시할 계획이다. 경찰은 A씨 저서들이 학력평가 문제 출제시점인 1월 22일 이전에 모두 출간된 사실을 확인했지만 학원 프린트물은 2월 8일 제작돼 17일 배포된 것으로 파악하고 A씨가 유출된 문제를 프린트물에 활용했을 가능성은 여전히 남겨 두고 있다. 하지만 경찰 수사결과 문제가 된 A씨 프린트물에 실린 19문항이 모두 A씨 저서에서 인용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학력평가 출제위원들이 오히려 사설학원 기출문제나 시중에 출간된 문제집을 베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A씨와 친분이 있는 학력평가 출제위원인 B교사는 현재 병가를 내고 학교에 출근하지 않은 상태다.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경부고속도로는 아직도 ‘호재’ 나들목 인근 아파트 가격상승률 2007년 대비 20% 육박 판교이어 광교, 동탄1·2기 등 경부축 신도시 확장도 관심 경부고속도로 나들목 인근 아파트 매매가가 지난해 초에 비해 20%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공된 지 40년이 다 되가는 경부고속도로가 강한 ‘호재’로 작용한 셈이다.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형성된 수도권 남부 ‘경부축’의 위력도 여전하다. 대규모 산업단지와 유통단지가 몰려 있어 수요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서울 접근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경부축은 산업·유통단지 밀집한 ‘부의 축’ = 부동산 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2007년 연초에 비해 올 3월 18일 용인지역 전체 아파트가격은 평균 2.56% 하락한 반면 나들목(IC) 인근 아파트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수원IC 인근 용인 영덕동 두진아파트(82㎡)는 1억2500만원에서 36% 오른 1억7000만원, 신일아파트(79㎡)는 1억4000만원에서 21.43% 상승한 1억7000만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오산IC 인근 아파트가격 상승률도 전체 평균(4.97%)을 훨씬 웃돌았다. 오산시 원동 운암주공아파트(76㎡)도 8.16% 상승해 1억3250만원 선에 매매가 이뤄지고 있다. 안성시도 전체 아파트가격은 0.75% 상승하는데 그쳤지만 안성IC 인근 평택시 비전동 SK(109㎡)는 12.20% 올라 2억500만원에서 2억3000만원 선에 거래가 형성되고 있다. 이미영 스피드뱅크 분양팀장은 “경부축을 중심으로 판교·동탄 등 신도시가 개발되고 있고 용인 흥덕·죽전지구 등 택지개발사업과 도시개발사업이 꾸준한 것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제2경부고속도로, 서울-용인고속화도로, 지하철 분당선 등이 개통될 경우 심각한 교통난도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여 장기전망도 밝은 편이다. 특히 경부축을 중심으로 판교-광교-동탄1·2기-국제평화신도시 주거벨트가 점점 남하하고 있는 것도 호재다. 다만 올 하반기 분양에 들어가는 광교신도시의 경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나들목 인근 아파트 올해 1만여가구 공급 = 성남 용인 수원 오산 안성 평택 등 경부축 인근 지역에서 올해 공급되는 아파트는 7만여 가구로 수도권 전체 물량의 40%나 된다. 이 중 경부고속도로 나들목과 가까운 아파트는 1만3000여 가구다. 분당보다 경부고속도로와 더 가까운 판교신도시에서는 올 하반기 대우건설과 신구건설이 분양하는 948가구가 공급된다. 올해 판교신도시 분양아파트 중 가장 좋은 입지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급면적 122~339㎡로 구성된다. 수도권 남부 분양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광교신도시에서는 오는 9월 울트라건설이 분양에 나선다. 광교신도시 분양으로는 처음으로 10개동 34층 규모의 1188가구가 공급될 예정. 수원IC를 이용하면 경부고속도로가 가깝지만 영동고속도로 이용도 편리하다. 용인 흥덕지구는 광교신도시와 인접해 후광효과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경부고속도로 수원IC가 인접해 강남 접근성이 우수하다. 현대건설은 흥덕지구 2-3블록에서 570가구를 일반에 분양할 예정. 공급면적 113~116㎡으로 중소형으로만 구성된다. 성원건설과 성원산업개발은 오산시 원동에서 2254가구 대단지아파트를 하반기 분양한다. 최고 26층인 23개 동으로 구성되며 단지주변이 산으로 뒤덮여 있어 여가활동을 즐기기 편리하다. 경부고속도로 오산IC가 인접해 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기자수첩> 정부 조달단가부터 현실화해야 최근 납품단가 현실화를 주장하는 중소기업의 눈물겨운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인들이 국회와 정부청사 앞에서 집회를 개최하더니 급기야 공장가동을 포기하는 사태로 확산되고 있다. 중소 레미콘제조업체들은 오늘부터 레미콘 생산을 중단했다. 중소 주물업체들도 납품을 거부한지 이틀째다. 아스콘 콘크리트 플라스틱 제조업체들도 3월 말을 기점으로 집단행동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제 원·부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중소기업은 채산성 악화를 넘어 적자경영으로 돌아서고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키워온 회사인데 오죽하면 생산중단을 하겠는가. 공장을 가동할수록 적자만 늘어 납품단가 현실화 없이는 생산은 불가능하다.” 중소기업인들의 하소연이자 각오다. 중소기업의 납품거부와 생산중단이 계속될 경우 산업계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하다. 해결의 열쇠는 없는 것일까. 중소기업인들의 주장에 답이 있다. 중소기업계는 ‘정부 조달가격의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가 민간기업간의 거래에 깊숙이 관여하면 오해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집행하는 막대한 조달물량의 적정한 가격책정은 정당한 행위인데다 국내 가격기준을 제시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이다. 즉 정부가 적정한 조달가격을 책정한다면 기업간 중소기업 납품단가가 조정된다는 논리다. 실제 대기업들은 조달가격을 보고 납품단가를 정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 조달가격이 기업간 거래가격보다 낮게 책정되는 관행도 바로잡아야 한다. 레미콘의 경우 정부조달가격은 루베당 4만6000원으로, 수도권 일반가격 5만원보다 낮다. 이명박 대통령은 ‘기업 프랜들리 정부’를 내세우고 있다. 대통령 후보시절에는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첫 번째 대통령 현장방문 장소로 중소기업을 찾았다. 이 대통령은 요즘 ‘정부의 머슴론’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대기업에 상생을 요구하기 전에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모범이 없는 정부요구는 협박이다. 이번 중소기업계의 납품거부와 생산중단 사태는 이명박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원칙을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관문임을 직시해야 한다. 산업팀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
- 국내 주식형펀드 자금 유입 급등락 (서울=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 국내 주식형펀드가 글로벌 증시 침체기를 맞아 자금 유입의 급등락 현상을 보이고 있다. 19일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식형펀드는 지난 17일 기준 2천450억여원의신규 자금이 들어왔고 3천450억여원의 기존 자금이 빠져나가 990억여원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순유입액이 1천억원을 넘은 지 하루만이다. 해외 주식형펀드에서는 610억원이 유입되고 590억원이 유출돼 10억원의 순유입을 나타냈다. 해외 주식형펀드는 3월 들어 자금 유입세의 둔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및 해외 펀드를 합친 전체 주식형펀드의 경우 유입 3천60억원, 유출 4천40억원으로 980억원 순유출을 기록했다. 올 들어 큰 폭의 조정을 보인 증시에서 이탈한 자금이 유입되면서 급팽창한 머니마켓펀드(MMF)와 채권형펀드에서는 각각 4천380억원, 860억원의 순유출이 발생했다.주식형펀드의 순자산총액은 전날보다 2조9천790억원 감소한 120조5천340억원으로 파악됐다.양현민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식형펀드는 코스피 지수가 장중에 전저점을 밑돌았음에도 대형 성장형펀드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고 자금 유출입이 정체현상을 빚고 있는 해외 주식형펀드에서는 브릭스와 이머징펀드를 중심으로 소규모 자금 유입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hadi@yna.co.kr(끝)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