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미' 검색결과 총 827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19년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 진학률 심층 분석 지난 5월말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2019년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이 공시됐다. 강남 못지않은 높은 교육열을 보이고 있는 송파지역의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은 어떨까? 전국, 서울과 비교해 2019년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들의 대학교 진학률, 전문대학 진학률, 취업률 등을 살펴봤다. 또한 송파 학생들이 다수 진학하고 있는 인근 지역 몇몇 학교 참고 자료도 취합했다.대학교 진학률 - 전국 대비 강동 > 송파 > 서울전문대학 진학률 - 전국 대비 서울 > 강동 > 송파송파지역 학생들의 전체 진학률을 살펴보면 전국(76.5%) 대비 다소 낮은 수준(59.2%)을 보인다. 강동구의 전체 진학률은 서울시(59.6%)보다 높은 61.9%이다. 이는 송파구, 서초구(53.2%), 강남구(46.8%)보다 높은 수치다. 송파구 고교 졸업생의 대학교 진학률(42.0%)은 서울시(41.4%)보다는 높지만 전국(55.0%)대비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지난해와 비교하면 전국 진학률이 77.2%에서 76.5%로 0.7% 낮아진 데에 비해 송파구는 58.4%보다 0.8% 높아졌으며, 대학교 진학률 역시 38.9%에서 42.0%로 다소 올랐다.전문대학의 경우는 전국 진학률이 21.2%, 강동이 17.7%, 송파가 17.0%, 서울이 17.8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문대학 진학률은 강동과 송파가 각각 19.8%와 19.1%로, 올해는 두 곳 모두 지난해에 비해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송파구의 대학교 진학률은 강남구(39.9%)보다 높으며, 전문대학 진학률에 있어서는 강남구(6.5%)과 서초구(8.1%)가 송파구와 강동구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표1) 2019학년도 전국, 서울, 송파와 인근 지역 진로현황표2) 2018학년도 전국, 서울, 송파와 인근 지역 진로현황국외 대학 진학 및 취업률, 송파구 > 전국 > 서울 기타, 송파,서울 > 강동 > 전국 순국외 대학 진학률의 경우 집계에서 누락된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다. 송파구 졸업생 중 단 18명의 학생이 국외진학을 했는데 정신여고에서 9명의 학생이 국외 진학을 선택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취업률의 경우는 전국(1.9%)과 서울(1.6%) 대비 송파는 2.0%의 취업률을 보인데 비해 강동구는 0.8%로 다소 낮았다. 취업률은 2018학년도 역시 송파구(3.0%)가 전국(2.0%)보다 높았다. 취업률은 집계에서 누락되거나 한시적으로 일자리를 얻은 경우가 있어 신뢰도가 낮은 편이다. 취업자 수를 표기하지 않은 학교도 다수 있다.고교 졸업 후 진로가 진학이나 취업이 아닌 기타로 분류된 학생들은 송파구가 38.8%로 서울시 전체와 같았으며 강동구는 37.4%, 전국의 경우 21.6%(지난해 20.8%)로 나타났다. 재수를 선택한 학생들이 기타에 포함되는데 강남구가 53.%로 월등히 높은 것이 눈에 띈다.전체진학률, 여고 > 남녀공학 > 남고대학교진학률, 여고 > 남고 > 남녀공학2019년 2월에 졸업한 송파지역 일반고 16개 학교의 졸업생은 5978명이다. 이 중 대학교로 진학한 학생은 42.0%인 2472명이며, 1023명(19.1%)의 학생이 전문대학으로 진학했다.송파지역의 고교를 남녀공학(8곳), 남고(4곳)와 여고(4곳)로 나누어 진학률을 살펴보면 어떨까? 남고 4개교(보성고·보인고·배명고·잠실고)의 대학교 진학률은 44.8%이다. 배명고와 보인고가 각각 50.8%, 49.2%였으며 보성고가 40.4%, 잠실고가 38.7%이다.송파지역 여고 4개교(영파여고·잠실여고·정신여고·창덕여고)의 대학교 진학률 평균은 46.0%를 나타낸다. 영파여고가 60.3%로 눈에 띄는 높은 진학률을 보이고 있으며 잠실여고가 42.8%, 정신여고가 42.5%, 창덕여고가 38.3%의 진학률을 보인다.남녀공학 8개교의 평균 대학교 진학률은 38.2%이다.대학교와 전문대학, 국외대학을 포함하는 전체진학률은 송파구 여고 평균이 62.2%, 남녀공학 평균이 59.5%, 남고 평균이 54.1%이다. 지난해에는 남고 4개교의 전체 진학률이 60.55%, 여고 4개교의 전체진학률 평균이 59.3%로 남고가 근소한 차로 높았다.전체 진학률 공립고, 사립고 거의 동일대학교 진학률 사립고 > 공립고전문대학 진학률 공립고 > 사립고송파지역 일반고는 공립고가 9개교, 사립고가 7개교이다. 전체 진학률의 공립고 평균은 58.88%이며 사립고 전체 진학률 평균은 58.80%로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진학률 역시 공립고 평균 59.3%, 사립고 평균 57.5%로 큰 차이가 없다.대학교 진학률을 살펴보면 공립고가 36.7%, 사립고가 46.4%로 사립고가 다소 높다.전문대학 진학률은 9개 공립고 평균이 20.1%로 나타나며 사립고 평균은 11.9%로 나타났다. 공립고 중에서 전문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방산고로 48.5%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잠실고가 8.7%로 가장 낮다. 사립고 중에서는 영파여고가 21.8%로 가장 높으며 잠실여고가 20.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립고 중에서 전문대학 진학률이 가장 낮은 학교는 자사고인 보인고로 1.2%인 5명의 학생이 전문대학에 진학했다.재수 예상되는 기타 분류 송파 평균 38.8%보성고 > 잠일고 > 잠신고 > 창덕여고 > 보인고고교 졸업 후 진로가 진학이나 취업이 아닌 기타로 분류된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보성고로 54.7%의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잠일고(54.1%), 잠신고(54.0%), 창덕여고(51.2%), 보인고(49.6%)였으며 영동일고 역시 49.0%로 높았다. 기타로 분류되는 학생들에는 재수생이 대거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기타로 분류된 학생 비율이 낮은 학교는 방산고로 2.4%밖에 되지 않는다. 방산고는 대학교 진학률 45.6%, 전문대학 진학률 48.5%로 94.1%의 진학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영파여고가 17.9% 비율을 보였는데, 영파여고 역시 대학교 진학률 60.3%, 전문대학 진학률 21.8%로 82.1%의 높은 진학률을 보이고 있다.표3)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 (단위 : 인원-명, 비율-%)송파학생이 관심 많은 인근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송파지역 학생들이 강동구의 동북고와 한영고, 자사고인 배재고와 중동고에도 관심이 많다. 하지만 자사고 폐지로 인해 앞으로의 고교 지원율은 예측이 힘든 상황. 2019학년도 진로현황을 참고 자료로 함께 게재한다.강남구에 있는 중동고는 기타 학생 비율이 61.9%로 재수생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대학 진학률도 1.2%로 매우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송파학생들에게 고교선택제 2단계까지 배정이 가능한 강동구의 선호도 높은 고등학교는 동북고와 한영고가 대표적이다. 남학생 선호도가 높은 동북고의 경우 59.0%의 전체 진학률을 보이며 대학교 진학비율은 46.3%이다. 한영고는 전체진학률 60.2%, 대학교 진학률 45.9%로 나타났다.한편, 국외대학 진학은 3개 구에 있는 자사고 세 학교 보인고, 배재고, 중동고의 경우 유학을 많이 갈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외국대학 진학률이 매우 낮았다.표4) 송파학생이 다니는 인근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단위 : 인원-명, 비율-%, 취업자 없음)참고 :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시항목 ‘졸업생의 진로 현황’, 2019년 5월말 공시 기준* 자료 취합 기준 : 2019년 5월,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2019년 2월 고교별 졸업생 진로 현황 자료로 송파 고교별 분석은 송파지역 16개교의 자료를 취합했다.* 공시가이드에서 제시하는 졸업자는 2019년 2월 졸업자 인원수 (조기졸업자 2019-08-07
- 양천구 중3→고1 학생 수 감소 학생부·내신 중시 입시트렌드 반영 지난 5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9 청소년 인구(9~24세)는 876만 5천명으로 1982년 정점(1,420만9천명)을 찍은 후 감소 중이며, 학령인구(6~21세)는 804만 7천명으로 2029년에는 624만 9천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교육 특구라 불리는 양천지역에서는 학생 인구가 어느 정도이며, 지역 내에서 학교 간 편차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지난 5월에 공시한 학교 알리미 사이트 공개용 데이터 ‘학교현황’에서 자료를 참고했다.가장 학생수 많은 초등학교-목운초(1699명), 가장 적은 초등학교-남명초(236명)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학교 현황 자료를 참고로 해 양천구 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 수를 조사했다. 양천구 지역 초·중·고 학생 수 현황 집계 시 특수학급은 제외했다. 고등학교의 경우에도 일반고와 자율고만 그 대상으로 했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양천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모두 30개 학교이고 모두 공립 초등학교다. 30개의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수가 많은 학교는 목운초로 학생 수 1699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목동초(1378명), 강서초(1243명)순이었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남명초로 236명의 학생 수를 보였다.양천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목운초로 학생수 1699명에 50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4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경인초(32.7명),월촌초(27.1명)순이었다. 반대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신남초로 15.3명을 기록했다. 양천구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 4414명이고 학급수는 1020학급이며, 양천구 초등학교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3.9명으로 나타났다.가장 학생수 많은 중학교-신목중(1423명), 가장 적은 중학교-신원중(300명)양천구 지역 조사대상 중학교는 모두 19개 학교이고, 사립 중학교는 3개 중학교(봉영여중, 양정중, 영도중)이다.19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신목중으로 학생 수 1423명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월촌중(1414명), 목동중(1368명)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가장 학생 수가 적은 중학교는 신원중으로 300명이었다. 양천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중학교는 양정중으로 전체 552명의 학생 수에 18개 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0.7명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는 신목중(29.6명), 월촌중(29.5명)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신원중으로 17.6명이다.양천구 전체 중학생 수는 1만 5723명이고 학급 수는 627학급이다. 양천구 중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5명으로 나타났다. 가장 학생수 많은 고등학교-진명여고(1388명), 가장 적은 고등학교-신서고(576명)양천구 지역 조사대상 고등학교는 모두 12개 학교이고, 공립 고등학교는 3개 학교(금옥여고, 신목고, 신서고)다. 12개 고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진명여고로 학생 수가 1388명이고 그 다음으로는 신목고(1188명)였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신서고로 576명이었다.양천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한가람고로 33.9명이었다. 그 다음으로 양정고(31.3명), 진명여고(30.8명)가 그 뒤를 이었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광영고로 22명이었다. 양천구 전체 고등학생 수는 1만 1709명이고, 학급 수는 431학급이며, 양천구 고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7.2명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양천구지역 유입 많아양천구 학생 수가 많은 초등 상위 5개교의 현황을 보면 초등 고학년이라고 일컫는 5, 6학년의 학생 수를 초등 저학년과 비교해 보면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 수 1699명으로 가장 많았던 목운초의 경우 1학년 학생 수가 256명이고 3학년의 학생 수가 275명인데 반해 6학년의 학생 수는 360명을 기록했다. 두 번째로 많은 학생 수를 보인 목동초의 경우 1학년은 208명의 학생 수를 보인 반면 5학년에 248명, 6학년에 275명의 학생 수를 기록해 양천구 중학교 입학을 위한 타지역의 유입량이 늘어남을 유추해 볼 수 있다. 2019학년도 양천구 지역 중3의 고등진학 시 학생 수 감소2019학년도 양천구 지역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 수 추이를 분석해 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 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학교 학생 수도 1학년에서 3학년으로 갈수록 학교마다 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사이의 학생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이는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과 학교 내신의 중요도가 높아지는 현실을 반영한 현상으로 보인다. 최근 입시 트렌드는 놓고 볼 때 상대적으로 내신을 받기 어려운 양천구 지역 고등학교로 진학한 학생 수가 감소한 것으로 짐작 할 수 있다. 입시 형태가 대입에 유리한 고교 선택과 이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9-07-25
-
서울외고 2020학년도 입학설명회 현장스케치 지난 6월 29일 오전 10시 서울외국어고등학교 (이하 서울외고, 도봉구 덕릉로66길 22)의 제2차 2020학년도 입학설명회가 개최되었다. 김태원 입학사정관의 진행으로 시작된 설명회는 김상겸 교감선생님의 ‘특목고 향후 전망’, 김태원 입학사정관의 ‘서울외고의 강점’, 3학년 박동훈 부장교사 ‘서울외고 진학 지도 및 진학실적’, 2020학년도 입학전형, 질의 응답 순으로 진행되었다. 추가 입학설명회는 오는 8월, 9월, 11월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참조 Tip> 설명회의 주요내용을 정리했다.서울외고 재지정 평가 전망 및 특목고로서의 강점 강조!김상겸 교감은 인사말에서 학부모의 관심이 집중된 특목고 향후 전망에 대해 입을 열었다. 특목고는 서울시 교육청이 5년 마다 운영성과를 평가하여 재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대부분의 외고들이 2020년 초에 평가를 받고 5~6월 결과를 통보받게 된다. 하지만 올해 상산고 지정 취소 등의 이슈와 정치적 변수에 따라 그 향방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주요 골자였다. 또한 특목고 재지정 여부와 관계없이 현 중3학생은 특목고 교육과정을 받고 졸업까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목고의 장점으로 선발과정을 거친 우수한 학생들이 모여 토론 수업과 발표 수업, 모둠 수업 등 자기주도적인 활동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구체화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마지막으로 왜 서울외고인가?라는 질문에서는 “가고 싶고, 머물고 싶고, 함께하고 싶은 서울외고의 의미는 인간중심적인 학습 환경에 있다.” 며 “학생의 선택을 존중하고 자율적인 학습 풍토에서 학생이 스스로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배운다. 교사와 학교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인 태도가 성적 향상으로 이어진다. 최상위권 학생은 물론 중위권 학생의 진학 결과 역시 매우 우수하다. 신중하고 현명한 선택을 기대한다.”고 전한다.외국어 심화수업 및 학년별 맞춤식 멘토링이 진학 실적으로 이어져서울외고는 영독일어과, 영스페인어과, 영러시아어과, 독일어과, 프랑스어과, 중국어과, 일본어과 7개 학과에서 외국어 특화 수업이 진행된다. 외국어 수업은 교과 수업의 약 1/2로 3년 동안 총 180단위 중 총 82단위를 배우게 된다. 기초영어 교과 10단위를 포함하여 전공어 기초, 전공어 독해와 작문, 전공어 문화, 심화 영어 회화 등 심층적인 외국어 수업을 학년별로 운영된다. 실제 학생들은 학교장 추천 전형을 통해 리츠메이칸 대학교, 와세다 대학교, 도시사 대학교, 메이지 대학교 등 일본 주요대학에도 진학하고 있다.학년별로 진학 지도도 지원한다. 1학년는 자기주도 학습 환경 조성, 토론 발표식 수업, 관심 분야 활동, 독서기록 우수상 수상 등을 통해 수업 참여를 독려하고, 2학년을 대상으로는 학생부 종합전형 대비 맞춤형 멘토링을 학교에서 무상으로 실시하는 그룹형 맞춤형 멘토링을 운영하고 있다. 3학년의 경우는 방과후 학교 형식 맞춤형 멘토링이 진행된다. 융합보건, 인문과학, 사회과학, 지역학, 경영경제 등 분야별로 그룹을 만들어 맞춤형 멘토링을 지원하고 있다.<표1> 2020학년도 1학년 교육 과정* 창체수업 : 라이프 디자인I, II, 통일교과 포함우수한 맞춤형 진학 설계와 실행, 2019학년도 대학 진학률 62.7%3학년 박동훈 부장교사는 서울외고의 경우 진학률이 가장 높은 전형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을꼽으며, 학생부 종합 전형을 어떻게 설계하고 준비해야 성공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도 전달했다. 그동안 학부모들이 궁금해하던 2019학년도 입시결과도 공개했다. 학교 알리미에 확인한 2019학년도 서울외고 졸업생 진학현황을 살펴보면 재학생 기준 대학 진학률 62.7% (4년제 대학 56.9%, 전문대 2.7%, 국외진학 3.1%)에 이른다. <참조 표2>학교측에서 발표한 2019학년도 입시 결과는 서울 소재와 수도권, 지방 국립대, 해외 대학 등을 포함한 합격자 건수가 총 219건(중복 및 재학생 기준) 이며, 재학생 총 225명 중 141명 (중복 제외)이 최종 합격하면서 51.1%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참조 표3>박동훈 부장 교사는 “서울외고 학생들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가장 많이 진학하고 있다. 재학생 기준 서울대 합격생 수는 다소 적지만, 서강대, 성균대를 포함한 상위권 대학 진학 실적은 결코 뒤처지지 않는다. 특히 중앙대, 경희대 등의 합격생의 경우는 대학 내에서 서울외고 졸업생의 비중이 높음을 인정하고 있다. 내신 2.5~3.5등급의 상위권 대학 진학에 성공하는 만큼 학교 경쟁력 역시 우수하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그 외 재수생을 포함한 수시와 정시 합격인원도 공개했다. 2017년 수시 172명과 정시 36명 총 208명, 2018년 수시 184명과 정시 11명 총192명, 2019년 수시 170명과 정시 50명 총220명이다. <참조 표4><표2> 2019학년도 서울외고 졸업생 진학현황출처 : 학교 알리미<표3> 서울외고, 대입 주요 대학 수시진학 실적<표4> 서울외고, 대임 수시+정시 합격인원 (재수생 포함)(2017~2019학년도 재수생 포함/단위 명)사회통합전형 프로그램 우수학교 선정, 다양한 전형의 기회를 잡자!서울외고 입학을 위한 다양한 사회통합전형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일반전형과 달리 지원학생이 많지 않은 기회균등 전형, 사회다양성 전형을 꼼꼼히 살펴보고 조건이 된다면 질 높은 교육을 받을 것을 조언했다. 서울외고는 사회통합 전형 프로그램 우수학교로 A(Adaptationa) H(Healing) A(Art & Ability)를 강조한다. 진학과 상담에 있어 담임 멘토링지 원, 문화 체험 프로그램과 독서 나눔 프로그램, 교육 기부단의 기초학력 증진 지원, 학습멘토링과 진로진학 클리닉, 예술 매체를 활용한 창의융합 프로그램등을 마련해놓고 학생들의 도전과 성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서울외고 사회통합전형 관련 입학설명회는 오는 9월 28일(토) 오전10시 진행될 예정이다.<표5> 2020학년도 전형일정 및 원서접수Tip. 서울외고 2020년 입학홍보 설명회 일정 (인터넷 예약) 2019-07-25
- 노원구 지역 고교 교육과정 편성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 본인의 희망 진로에 의해 필요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개방형 선택교육과정이 2018학년도(현 고2)에 도입됐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총 이수 단위는 204단위이며 교과(군) 180단위, 창의적 체험활동 24단위다. 이 중 기초교과인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와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은 94단위를 필수 이수해야 하고 나머지 86단위는 자율 편성 단위다. 현 고1은 교과서 주문 전 시기인 10월말 선택과목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때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고2, 고3 때의 학교지정과목을 먼저 살펴야 한다. 대진여고 교무부장 허의선 교사는 수능 관련 과목을 이수하게끔 하거나 학교 교원 구성 및 지역적 특색에 따라 지정 과목 구성이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자율형 사립고인 선덕고와 노원구 17개 고교의 2019학년도 입학생 기준 학교지정과목을 살펴보았다.*단위수 : 한 학기(17주) 동안 주1회 50분 수업을 하면 1단위도움말 : 대진여고 교무부장 허의선 교사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개용 데이터 ‘학교교육과정편성·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공시년월 : 2019년 5월)서라벌고, 재현고 고2 때 수학Ⅰ,Ⅱ, 확률과 통계 동시 학습서라벌고, 재현고의 현 고1 학생들은 고2가 될 때 수학Ⅰ,Ⅱ, 확률과 통계(이하 확통)를 계열 관계없이 필수로 들어야 한다. 수학Ⅰ,Ⅱ가 각 4단위씩 8단위, 확통이 4단위로 총 12단위다. 대신 3학년 때는 수학교과 지정과목 없이 미적분과 진로선택과목인 기하나 경제수학 중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재현고는 2학년에 수학 선택과목이 없지만 서라벌고의 경우 수학과제탐구를 선택할 수 있어서 최대 16단위까지 이수가 가능하다.표1. 서라벌고 교육과정 편성표(수학 교과)불암고, 선덕고, 청원여고, 한국삼육고 수학Ⅰ,Ⅱ 10단위 지정불암고, 선덕고, 청원여고, 한국삼육고는 보통 학기당 4단위씩 8단위를 학습하는 수학Ⅰ, Ⅱ를 각 5단위씩 총 10단위로 편성했다. 여기에 청원여고와 선덕고는 추가로 확통 4단위를 더 선택하게 해서 수학 교과가 14단위이고, 불암고와 한국삼육고는 기하 3단위를 선택하게 해서 16단위까지 이수할 수 있다. 단, 기하는 진로선택과목으로 ABC 성취평가를 하기 때문에 상대평가이면서 인문계열 학생 대다수가 선택하는 수능과목인 확통보다는 부담이 덜하다. 자신의 진로에 따라 한 번에 많은 수학 교과를 학습해야 하는 경우 그에 맞는 적절한 대비법이 있어야겠다.표2. 청원여고 교육과정 편성표(수학 교과)혜성여고, 영신여고, 월계고 등 고3 때 국어 교과 지정혜성여고는 2학년 때 문학과 언어와 매체(이하 언매) 8단위, 3학년 때는 독서와 화법과 작문(이하 화작) 10단위가 모두 학교지정이다. 따라서 2학년 때 고전읽기를 선택한다면 14단위를, 3학년 때 심화국어를 선택한다면 16단위의 국어 교과를 이수하게 된다.영신여고는 문학과 화작이 각 5단위씩 2학년 지정이고, 3학년 1학기 독서와 2학기 심화국어가 4단위씩 지정이다. 2학년에는 다른 국어 선택과목이 없지만 3학년 때는 고전읽기와 언매가 4단위씩 선택임으로 수능에서 언매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3학년 2학기 심화국어와 언매를 함께 이수해야 한다. 그 외 불암고, 염광고, 월계고는 독서를 대진고는 심화국어를 3학년에 지정했다.표3. 혜성여고 교육과정 편성표(국어 교과)고3 지정과목 영어 교과가 압도적으로 많아고3 때 지정과목으로 가장 많은 교과는 영어로 상명고, 영신여고, 혜성여고 등 10개 고교가 10단위에서 4단위까지 총 67단위를 지정하고 있다. 이는 6개교가 국어 교과 41단위를, 2개교가 수학 교과 14단위를 지정한 것에 비해 거의 2배로 많다. 영신여고는 1학기 영어Ⅱ 5단위, 2학기 진로영어 5단위를, 상명고는 1학기 영어Ⅱ 4단위, 2학기 영어 독해와 작문 4단위, 혜성여고는 1학기 영어Ⅱ 4단위 2학기 영어회화 4단위를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표4. 상명고 교육과정 편성표(영어 교과)지정과목 대진고 128단위로 최고, 상계고 84단위로 최저대진고는 3학년에 한문Ⅰ, 과학사, 과학융합, 교육학 등 30단위를 포함 총 128단위를 지정했다. 그 다음으로는 혜성여고가 124단위, 영신여고 120단위 순이다. 반면 가장 적은 단위를 지정한 고교는 상계고로 84단위를, 이어서 수락고 88단위, 청원고, 노원고 96단위 순이다. 3학년 때 학교지정을 최소화하고 최대한의 선택권을 부여한 고교는 2단위를 지정한 용화여고다. 선덕고, 청원고도 4단위만 지정, 학생들의 진로선택을 장려했다.표5. 상계고 교육과정 편성표(학교 지정)표6. 노원구 고교별 학교지정과목 단위 수No.고교명1학년1학년합2학년2학년합3학년3학년합합기초탐구체육예술생활교양기초탐구체육예술생활교양기초탐구체육예술생활교양국어수학영어한국사국어수학영어한국사국어수학영어한국사1대진고88861810260888--86384-4-6412301282혜성여고8886188460888--84361068--22281243영신여고88861812-601088--4-308810--4-301204염광고88861810260888--62326-6--48241165대진여고8886148860886--10638--62-28181166청원여고888614886010108--8-36-----410141107불암고88861866606106--8-306-6--24181088서라벌고886618104608126--8-34--6--44141089재현고88861686606128--8236--6--421210810월계고88861610460686--8-287-7--4-1810611한국삼육고88861414260101010--4438-----42610412선덕고8886181066410108--4-32-----22410013용화여고88861810462888--8234-----2-29814상명고88861414260886--2-24--8--4-129615노원고6886188660686--8230-----4269616청원고8886188460888--8-32-----4-49617수락고88861810260545-24222----24-68818상계고88861812-60-----8412-----481284 2019-07-25
- 고교선택 고민, 학교알리미에서 해결하자! 대입에서 수시가 확대되면서 학부모들의 고교선택 고민이 깊어졌다. 특목고가 유리할까, 일반고가 유리할까, 또 일반고 중에서는 어떤 일반고가 좋을지, 꼼꼼히 파악해야 후회를 남기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변의 입소문에 의지하는 것보다 직접 정확한 정보를 파악해 보자. 어떻게? 학교알리미를 활용하면 관심 있는 학교에 대한 궁금증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 고교선택을 고민하는 중등 학부모들을 위해 참고할 만한 학교알리미 항목들을 짚어봤다.학생현황에서 졸업생진로현황 매년 5월 공시인터넷 검색창에 학교알리미를 입력 후 접속하면 학교알리미 메인화면이 보인다. 관심 있는 학교의 이름을 검색하고 전체항목을 클릭하면 학생현황부터 교원현황, 교육활동, 교육여건, 예결산현황, 학업성취도 등 학교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가장 먼저 학생현황을 살펴보자. 학생재학현황부터 전출입 및 학업중단 학생수, 입학생 현황, 졸업생 진로 및 장학금 수혜현황, 학생체력증진 등 항목이 있다.이 가운데 중요한 항목은 전체 학생수와 성별학생수, 졸업생 진로현황이다. 희망하는 학교의 성별·학년별 학생수를 확인하면 학생수가 얼마나 감소하고 증가하는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남녀비율은 효과적인 내신관리를 위해 내 아이의 성향을 고려하여 꼭 체크해 보아야 할 항목이다.또한 졸업생의 진로현황은 학부모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항목이며 학교 선택 시 반드시 알아보아야 할 항목이다. 졸업생의 진로현황은 매년 5월에 해당 년도 2월 졸업생의 진로현황이 공개된다. 전체 졸업자수와 전문대학, 대학교, 국외대학, 취업자, 기타로 구분하여 공개하고 있다.이 항목에서는 해당 학교가 4년제 대학 진학률이 높은지, 전문대 진학률이 높은지, 기타 비율이 높은지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전문대 진학률이 높은 학교의 경우에 비해 4년제 대학 진학률의 비율이 높은 학교가 면학 분위기가 좋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졸업생의 진로 현황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항목은 ‘기타’ 비율이다. 기타 항목은 대부분 재수를 하는 학생들로 볼 수 있고 재수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학업에 충실하며 원하는 대학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안양지역 학교 중 백영고의 올해 졸업자는 436명이었다. 전문대학 8.7%, 대학교 48.4%, 기타 비율이 41.3%이다. 이 항목에서는 아래에 안양시 동안구와 경기도, 전국의 진학률도 함께 공시되기 때문에 해당 학교의 진학률이 안양시 동안구와 경기도, 전국 기준으로 높은지 낮은지에 대해서도 비교할 수 있다. 안양시 동안구의 전체 진학률은 72.1%, 전문대학진학률 22.7%, 대학교 진학률 46.1%, 기타 30.5%이다. 백영고는 안양시 동안구 대비 전문대학진학률은 낮고 대학교 진학률과 기타 비율은 높은 편이다. 교육활동_계열과 학년에 따른 커리큘럼 확인 및 동아리 활동 내용 참고교육활동 항목에서는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 항목에서 연간학사 일정과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평가 계획이 첨부되어 있다. 이 파일의 내용을 잘 살펴보면 학년별로 어떤 과목이 편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국영수 주요 과목의 학년별 시수는 물론 탐구과목에 어떤 과목들이 들어가 있는지, 논술 수업 등 주문형 강좌가 있는지, 진로와 관련된 과목이 편성되어 있는지 등 계열과 학년에 따른 자세한 커리큘럼을 확인할 수 있다.교육운영 특색사업 계획 항목에서는 특성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자녀가 이공계를 지원할 계획이라면 과학중점학교나 과학 특화 프로그램이 잘 구성되어 있는 학교에 진학하는 게 유리할 것이고, 미술이나 음악에 관심이 있다면 예술중점학교에 지원하는 게 유리할 것이다. 특색사업은 지원금을 받아 운영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만큼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참여여부에 따라 학생부종합전형을 지원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동아리활동현황과 방과후 활동 운영계획 및 운영·지원 현황도 살펴봐야 할 항목이다. 동아리와 방과후 학교 개설이 다양하게 되어 있는 학교의 경우 비교과 관련 지원이 적극적인 학교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율동아리 수는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관심 분야의 학업능력을 키우기 위해 또는 전공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개설하게 된다. 이러한 자율동아리가 많다는 것은 학생과 학교 모두 개설을 위한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동아리 수가 많다는 것은 전공적합 활동을 많이 할 수 있다는 뜻이고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중요한 생활기록부를 잘 만들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학업성취도_교과별 학업성취도 표준편차로 시험의 난이도 및 학업 수준 파악교과별 학업성취도는 학교의 내신 수준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학교별 교과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보면 시험의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통해 재학생의 학업수준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표준편차가 낮을수록 학생들의 점수대가 평균점수에 가까운 점수대에 몰려있고 학생들의 수준별 편차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A고와 B고의 교과별 학업성취도를 비교해 본다고 가정할 때 주요과목 기준 A 학교의 1학기 과목별 표준편차는 과목별로 2~5점대, B학교는 20점대라고 하자. 성취도별분포비율 역시 A학교는 D와 E등급이 거의 없고 대부분 A등급인 반면 B학교는 E등급까지 분산되어 있다면 이는 A학교가 B학교보다 학력 수준이 높고 내신 따기가 어려운 학교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자료는 모두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다만 여러 학교를 비교하는 것은 직접 표를 만들어야 하지만 두 학교의 항목별 비교는 학교알리미 사이트의 메인화면에서 주요지표검색→ 공시항목→학교급→세부조건을 클릭하면 항목별 지표, 공시기준일 등 상세한 공시자료를 검색할 수 있고 학교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학교알리미 활용법에 대해 알아봤다. 고교선택은 대입과 연결되기 때문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차별화된 교과 교육과정과 학교별 특색사업을 통해 다양한 비교과 기회가 주어진다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분명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다만 학교알리미 자료는 학교의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진학실적 등을 알려주는 기초 자료일 뿐이다.교육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학교가 우리 아이에게 반드시 유리한 학교가 될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며 “무엇보다 내 아이의 성향과 학업 역량에 해당 학교가 부합하는지 신중하게 고민해 보는 과정이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한다. 2019-07-24
- 2019학년도 송파구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 지난달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청소년 인구(9~24세)는 876만5000명으로 1982년 최고치(1420만9000명) 이후 감소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인구(6~21세)는 2019년 804만7000명에서 10년 후인 2029년에는 624만9000명으로 약 180만 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등학교에서 학생 수 감소는 학생들에게 매우 민감한 부분이다. 내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각 등급의 학생 수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송파 지역 고등학생 수 현황과 1, 2등급 (1학년 기준)학생 수를 알아봤다.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개용 데이터 ‘학교 현황’(공시년월 : 2019년 5월)학생 수 가장 많은 고등학교, 보인고-정신여고-영동일고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학교 현황 자료를 활용해 송파구 내 고등학교 학생 수(현황 집계 시 특수학습 제외)를 조사했다. 일반고와 자사고를 대상으로 했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송파 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총 16개 학교로 공립이 9개교, 사립이 6개교, 그리고 자사고가 1곳이다.16개 고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자사고인 보인고로 학생 수 1116명이다. 그 다음으로는 정신여고(1079명), 영동일고(1033명)로 송파구에서 학생 수가 1000명이 넘는 세 학교다. 한편, 1학년 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교는 정신여고(365명)이며, 보인고가 363명으로 다음이다.송파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잠일고로 전교생 수가 391명이다.한편, 송파구에서 학급 수가 가장 많은 학교는 잠실여고(39개)이며, 다음으로 영파여고가 38개, 그리고 보인고와 영동일고, 정신여고가 각각 36개이다.<표1> 2019년 송파구 고등학교 학생수 현황(특수학급 미포함)‘밀레니엄 베이비’ 송파구 고등학생 수 최근 5년 정점 찍어한편, 2017학년도 학교알리미 공시 내용을 함께 참고해보면 송파구 고등학생 전체수의 증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2017년 당시 2학년(2000년생) 송파 고등학생 수는 6030명에 달하며, 다음 학년부터는 꾸준히 4000명대에 머물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현 2학년 학생들의 수가 가장 적은 것이 눈에 띈다. <표2> 2017년 송파구 고등학교 학생수 현황(특수학급 포함)학급당 학생 수 보인고, 정신여고 가장 많아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보인고로 학생 수 1116명에 36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1.0명이다. 다음으로는 정신여고(30.0명), 그리고 보성고와 오금고가 각각 29.6명이다.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창덕여고(15.0명)이다.한편, 송파구 고등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강남구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전국과 서울시,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의 학급당 학생 수는 <표3>와 같다.<표3>학급당 학생 수전교 15등, 1등급? 3등급?학생부종합전형의 대세로 내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때문에 고교선택에 있어서 ‘학생 수’는 대입 전략과도 연결되어 학교 선택의 큰 지표로 작용되고 있다.그렇다면 학교별(1학년 기준)로 대략 몇 명쯤의 학생들이 1, 2등급이 될 수 있을까?<표4> 학교별 1학년 1등급과 2등급 학생수<표4>는 전체 학생 수를 감안한 1등급과 2등급까지의 학생 수이며, 계산 시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으로 처리했다(수강자수와 등급별 누적비율을 곱해 반올림한 값을 그 구간까지의 누적인원으로 한다-교육부 홈페이지).1등급 학생 수가 가장 많은 학교는 학생 수가 가장 많은 보인고와 정신여고로 각각 상위 15등까지가 1등급에 해당한다. 1등급 학생 수가 가장 적은 학교는 잠일고(5명)이며, 다음이 창덕여고이다.흔히들 많은 학생들이 ‘학생 수가 많은’ 학교를 선호하는데 내신 불이익에 대한 우려가 그 큰 이유다. 숫자만으로 봤을 때 전교 15등이 어떤 학교에선 1등급, 또 어떤 학교에선 3등급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수치는 수치일 뿐, 학교의 전체 학력이나 학생들의 수학능력상황에 따라 내신 성적이 달라질 수 있다. 때문에 자신의 학습상황을 잘 고려해 내신 유불리를 따져 봐야할 것이다. 2019-07-24
-
강남 여고 2018 교과 성취도 비교 2018학년도 고교별 학업 성취도 자료를 학교별로 살펴보면 학년별, 교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교과별 성취도 자료는 교과 평가의 과목별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 비율을 A~E로 나누어 보여준다. 강남 중학교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두 여학교 숙명여고와 진선여고의 학년별 교과별 학업성취도를 비교해봤다.참고자료 2018학년도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학교알리미)-숙명여고/진선여고※ 주요 교과(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교과별 성취도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했지만 다소 주관적인 견해도 포함됨1학년국어 숙명여고, 영어 진선여고 어렵게 평가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영어,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으로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모두 평균이 높은 편이다.특히 영어 평균의 경우 진선여고가 1학기에 11.2점, 2학기에 9.6점 낮았다. 통합사회는 1학기에 진선여고가 12.1점이나 낮았고, 통합과학도 1학기에 진선여고가 15.6점이나 낮았다. 2학기에는 다소 차이가 줄었지만 여전히 진선여고가 5점 이상 낮았다. 과학탐구실험은 5~7점의 차이로 진선여고 가 낮았다. 이 과목들의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진선여고가 대부분 크게 나타나 숙명여고보다 어려운 난이도로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를 실시했다고 볼 수 있다. 성취도 비율에서도 보다 쉽게 출제된 숙명여고의 A~B 비율이 진선여고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다.반면에 국어 평균은 진선여고에 비해 숙명여고가 1학기에 5.1점, 2학기에 4.2점 낮았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숙명여고 국어 평가는 표준편차를 고려하더라도 진선여고에 비해 어려운 평가로 보인다. 성취도 비율에서도 진선여고보다 A의 비율이 낮고 E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수학의 경우는 1학기에는 숙명여고의 평균이 높고 2학기에는 진선여고의 평균이 높았다. 평균이 비슷한데 비해 표준편차는 숙명여고가 더 크게 나타났고 성취도 E의 비율도 숙명여고가 더 높았다.▒ 숙명여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2학년수학·영어 교과 진선여고가 숙명여고보다 어렵게 평가2018학년도 2학년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학년은 아니지만 학생의 계열(인문/자연)에 따라 이수 교과목이 달라지고 같은 과목이라 하더라도 계열에 따라 단위 수를 다르게 편성할 수 있다.숙명여고는 문학, 독서와 문법 등의 과목에서도 계열별로 나누어 교과목을 편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진선여고는 국어 교과에서 계열에 따른 단위 수 구분을 두지 않고 통합 수강토록 했음을 엿볼 수 있다. 영어 과목의 단위 수가 숙명여고에 비해 진선여고가 영어Ⅱ, 심화영어독해Ⅰ 두 과목 모두 1단위씩 많으며, 사회과 과학 교과의 과목 편성은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다양했다. 2학년 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확률과통계(자연계열), 미적분Ⅰ, 미적분Ⅱ, 영어Ⅱ, 심화영어독해Ⅰ 등 주로 수학과 영어 교과였다. 특히 수학 교과에서 자연계열 학생들이 이수한 미적분Ⅰ, 미적분Ⅱ 과목의 경우 숙명여고는 1, 2학기 모두 평균이 70점대였지만 진선여고는 1, 2학기 모두 평균이 50점대로 상당히 낮아 수학 교과를 상당히 어렵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취도별 분포비율에서도 진선여고는 E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 그 구분점수를 상당히 낮게 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영어Ⅱ는 숙명여고의 평균이 71.6점인 반면 진선여고는 65점으로 6점 이상 낮았으며, 심화영어독해Ⅰ도 숙명여고는 69.6점인 반면 진선여고는 59.7점으로 약 10점의 차이를 보였다. 두 학교 모두 영어 교과의 표준편차는 높은 편으로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영어 교과의 성취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A의 비율도 높은 편이지만 두 학교 모두 E의 비율도 상당히 높아 실력이 양극화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숙명여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3학년국, 수, 영, 사회, 과학 등 전체적으로 진선여고 평가 수준 높아3학년 국어 교과는 숙명여고는 화법과작문 1과목이 진선여고는 고전과 화법과작문 2과목이 편성됐다. 진선여고는 1~2학년에 비해 3학년에서 국어 교과의 평균이 현저히 낮아 평가가 어려웠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수년 간 수능 국어가 비교적 어렵게 출제된 것에 대비하기 위해 교과 평가에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수학 교과는 숙명여고의 평가 난이도가 대체로 무난했던 것(60점대 후반~80점대 평균)에 비해 진명여고는 50점대 평균을 보이는 과목들도 눈에 띈다.영어 교과는 두 학교 모두 심화 과목으로 편성됐으며, 변별력 있는 평가 난이도를 보였다. 숙명여고는 1, 2학기 모두 60점대의 평균을 보였고, 성취도 E의 비율도 1, 2학기 각각 37%, 43.6%에 달해 쉽지 않은 평가였다. 진선여고는 이보다 더 어려워 1, 2학기 모두 45점대의 평균이었고, 성취도 E의 비율도 1, 2학기 모두 무려 70%를 넘었다. 수능 영어는 절대평가를 실시하지만, 특히 진선여고의 경우 영어 교과의 평가는 1~3학년 모두 상당히 어렵게 평가했다고 할 수 있다.사회와 과학 교과의 경우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다수의 과목을 편성했으며, 과목별 평균과 성취도 분포 비율 등을 볼 때 평가의 난이도는 진선여고가 숙명여고에 비해 다소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교과 과목별성취도 A~E 등급 분할 기준고등학교의 학교생활기록부 교과학습발달상황에서 교과 성적이 기재되는 부분에는 학교에서 시행한 평가에 따라 교과, 과목, 단위 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성취도(수강자 수), 석차등급 등이 기록된다. 이때 교과 과목별 성취도는 학생들의 교과 성취율에 따라 A, B, C, D, E로 기록되며 바로 옆의 괄호 안에 그 과목의 수강자 수가 기록된다.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영역별 기재요령’에 따르면 고1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 등 보통교과 일반과목과 심화과목의 성취도는 성취율에 따라 A~E로 구분하며, 그 산정 기준은 A(성취율 90% 이상), B(80% 이상~90% 미만), C(70% 이상~80% 미만), D(60% 이상~70% 미만), E(60% 미만)로 평정하되, 기준 성취율에 따른 분할점수를 과목별로 학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학교별로 A부터 E까지 분할점수가 다를 수 있다. 실제로 평균이 극히 낮음에도 성취도A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학교들이 있는데, 이는 성취도A를 가르는 점수를 상당히 낮게 산정했음을 시사한다. 2019-07-18
-
강남 대치동 남고 2018 교과 성취도 비교 2018학년도 고교별 학업 성취도 자료를 학교별로 살펴보면 학년별, 교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교과별 성취도 자료는 교과 평가의 과목별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 비율을 A~E로 나누어 보여준다. 강남 대치동에 있는 단대부고(일반고)와 휘문고(자율형사립고)는 두 학교 모두 남학교이면서 강남 중학교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학교이다. 두 학교의 학년별 교과별 학업성취도를 비교해봤다.참고자료 2018학년도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학교알리미)-단대부고/휘문고1학년 : 휘문고가 단대부고에 비해 수학·과학 어렵게 평가1학년 교과 편성에서 단대부고는 휘문고보다 음악과 미술의 단위가 1단위씩 높고, 휘문고는 음악과 미술이 1단위씩 적은 대신 제2외국어와 한문이 편성돼 있음을 알 수 있다.체육, 음악, 미술, 제2외국어와 한문 등을 제외한 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수학, 영어,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으로 휘문고가 단대부고에 비해 평균이 낮다. 특히 수학 평균은 1학기에는 휘문고가 12점이나 낮았고 2학기에는 5.7점이 낮았다. 영어 평균은 1학기는 비슷한 편이나 2학기에 휘문고가 6.5점이 낮았다. 통합과학 평균은 1학기에 휘문고가 5.5점이 낮았고, 과학탐구실험 평균은 1학기에 휘문고가 6.8점, 2학기에 8.8점이 낮았다. 이 과목들의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휘문고가 대부분 크게 나타나 단대부고보다 어려운 난이도로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를 실시했다고 볼 수 있다.과목별 성취도 비율에서는 국어와 수학은 휘문고가 A~B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단대부고는 A~D의 비율이 휘문고에 비해 고르게 분포했다. 영어는 두 학교 모두 A~E의 분포가 고른 편이다. 통합사회는 두 학교 모두 A~B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통합과학은 통합사회에 비해 A~E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 편이다.▒ 단대부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 휘문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2학년 : 휘문고가 단대부고에 비해 확률과통계, 미적분Ⅰ, 영어Ⅱ 어렵게 평가2018학년도 2학년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학년은 아니지만 학생의 계열(인문/자연)에 따라 이수 교과목이 달라지고 같은 과목이라 하더라도 계열에 따라 단위 수를 다르게 편성할 수 있어서 다수의 교과목이 편성된다.단대부고는 문학, 독서와 문법, 영어 등의 과목에서도 계열별로 나누어 교과목을 편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휘문고는 국어, 영어 등은 계열에 따른 단위 수 구분을 두지 않고 통합 수강토록 했음을 엿볼 수 있다.2학년 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확률과통계, 미적분Ⅰ, 영어Ⅱ 등이다. 사회와 과학의 2학년 교과 편성은 두 학교가 차이를 보였다. 확률과통계는 자연계열 수강생의 경우 단대부고의 평균이 1, 2학기 각각 78.5점 80.3점이었던 것에 비해 휘문고는 67.3점으로 10점 이상 낮았으며, 인문계열 학생들이 수강한 확률과통계의 경우도 단대부고 평균이 73점인 반면 휘문고 평균은 63.2점으로 약 10점 차이를 보였다. 미적분Ⅰ 과목은 단대부고의 자연과 인문계열 평균이 각각 77.3점과 71.3점인 반면, 휘문고는 자연과 인문계열 평균이 각각 72점과 54.8점으로 낮았다. 특히 휘문고의 인문계열의 미적분Ⅰ 평가는 평균이 54.8점으로 상당히 낮고 표준편차는 26.9로 매우 큰 편이며 성취도 E의 비율이 68.1%나 돼, 어려우면서도 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로 볼 수 있다.영어Ⅱ는 단대부고의 평균이 69.9점, 71.9점인 반면 휘문고는 49.4점, 64.8점으로 역시 단대부고에 비해 현저히 점수가 낮았다. 휘문고는 2학년에 영어독해와작문도 편성했는데 2학기 평균이 40.9점으로 상당히 낮고, 성취도 E의 비율이 72.9%나 돼 상당히 어려웠던 평가로 보인다. 영어 교과의 성취도별 분포비율도 단대부고는 휘문고에 비해 A~E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한 편이며, 휘문고의 경우 E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 어려운 평가이면서도 성취도 구분점수를 낮게 산정했음을 알 수 있다.▒ 단대부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 휘문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3학년 : 국어 제외한 주요 과목 휘문고가 단대부고보다 어렵게 평가3학년 교과는 두 학교 모두 국어는 고전, 화법과작문이 편성됐고, 수학은 확률과통계, 기하와벡터, 미적분Ⅰ, 미적분Ⅱ가 편성됐다. 영어 교과는 차이를 보여 단대부고는 영어독해와 작문, 실용영어독해와작문이 휘문고는 심화영어와 심화영어독해Ⅰ이 편성됐다. 3학년 사회교과는 두 학교 모두 수능에서 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 위주로, 3학년 과학 교과는 두 학교 모두 과학Ⅱ 과목 위주로 편성됐음을 알 수 있다.국어 교과인 고전, 화법과작문을 제외하면 수학과 영어 교과의 주요 과목들이 모두 휘문고의 평균이 낮은 편이다. 휘문고는 확률과통계, 기하와벡터, 미적분Ⅰ 등의 수학 교과에서 40~50점대의 평균과 상당히 큰 표준편차를 보인 반면, 단대부고는 같은 과목에서 60~70점대의 평균점수를 기록했다. 영어의 경우도 휘문고는 두 과목 모두 50점대 평균을 보였으나 단대부고의 평균은 60~70점대였다. 사회 교과의 두 학교 평균 차이도 상당히 큰 편이다. 특히 휘문고의 경제 과목은 1, 2학기 모두 평균은 30점대이며 성취도 E의 비율이 1, 2학기 각각 90.9%, 84.8%로 인문계열 최상위권 극소수 학생들을 제외하면 상당이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볼 때 휘문고는 3학년 평가의 변별력을 높여 최상위권의 내신 경쟁력을 확보해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단대부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 휘문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교과 과목별 성취도 A~E 등급 분할 기준고등학교의 학교생활기록부 교과학습발달상황에서 교과 성적이 기재되는 부분에는 학교에서 시행한 평가에 따라 교과, 과목, 단위 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성취도(수강자 수), 석차등급 등이 기록된다. 이때 교과 과목별 성취도는 학생들의 교과 성취율에 따라 A, B, C, D, E로 기록되며 바로 옆의 괄호 안에 그 과목의 수강자 수가 기록된다.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영역별 기재요령’에 따르면 고1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 등 보통교과 일반과목과 심화과목의 성취도는 성취율에 따라 A~E로 구분하며, 그 산정 기준은 A(성취율 90% 이상), B(80% 이상~90% 미만), C(70% 이상~80% 미만), D(60% 이상~70% 미만), E(60% 미만)로 평정하되, 기준 성취율에 따른 분할점수를 과목별로 학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학교별로 A부터 E까지 분할점수가 다를 수 있다. 실제로 평균이 극히 낮음에도 성취도A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학교들이 있는데, 이는 성취도A를 가르는 점수를 상당히 낮게 산정했음을 시사한다. 2019-07-12
-
노원 도봉 지역 학생 수 지난달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청소년 인구(9~24세)는 876만5천명으로 1982년 정점(1,420만9천명)을 찍은 후 감소 중이며, 학령인구(6~21세)는 2019년 804만7천명에서 10년 후인 2029년에는 624만9천명으로 약 180만 명이 감소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교육 특구라 불리는 노원도봉 지역에서는 학생 인구가 어느 정도이며, 지역 내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인지 조사해보았다.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개용데이터 ‘학교 현황’(공시년월 : 2019년 5월)가장 학생 수 많은 초등학교 - 을지초(1688명)·중평초(1603명)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학교 현황 자료를 활용해 노원구, 도봉구 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 수 현황을 조사했다. 노원도봉 지역 초, 중, 고 학생 수 현황 집계 시 특수학급은 제외했다. 고등학교의 경우 일반고와 자율고만 대상으로 했으며, 특성화고는 제외했다.노원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42개 학교로, 상명초, 청원초, 태강삼육초, 화랑초 4개 학교는 사립이고 나머지는 공립이다. 42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을지초로 학생 수 1688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중평초(1603명), 불암초(1020명), 태랑초(976명), 중계초(9447명) 순이다. 반대로 노원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상월초(201명)이다.도표1. 노원구 초등학교 학생수 현황노원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태강삼육초로 학생 수 764명에 24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1.8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을지초(29.6명), 화랑초(28.5명), 청원초(27.7명), 상명초(27.3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상월초(14.4명)이다. 노원구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 6809명, 학급 수는 1173학급이며, 노원구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2.9명으로 나타났다.도봉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23개 학교이며, 이 중 동북초, 한신초는 사립이다. 23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초등학교는 창림초로 학생 수 1049명이다. 그다음으로는 누원초(1009명), 초당초(1000명), 창경초(991명), 창일초(975명) 순이다. 반대로 도봉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신창초(338명)이다.도표2. 도봉구 초등학교 학생수 현황도봉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동북초로 학생 수 694명에 24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28.9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창일초(24.4명)이고 한신초, 누원초, 창도초가 24.0명으로 동일하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신창초(18.8명)이다.도봉구 전체 초등학생 수는 1만 5438명, 학급 수는 683학급이며, 도봉구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2.6명으로 나타났다.가장 학생 수 많은 중학교-하계중(1046명)·불암중(1003명)노원구 지역 조사 대상 중학교는 총 26개 학교이고, 사립은 5개 중학교(광운중, 상명중, 염광중, 재현중, 청원중)이다. 26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하계중으로 학생 수 1046명이다. 그다음으로는 불암중(1003명), 중계중(903명), 중평중(793명), 상명중(771명) 순이다. 반대로 노원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신창중(307명)이다.도표3. 노원구 중학교 학생수 현황노원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중학교는 을지중으로 학생 수 717명에 24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29.9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중계중(29.1명), 불암중(28.7명), 상명중(28.6명), 하계중(27.5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신창중(18.1명)이다. 노원구 전체 중학생 수는 1만 5521명, 학급 수는 635학급이며, 노원구 중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4.4명으로 나타났다.도표4. 도봉구 중학교 학생수 현황도봉구 지역 조사 대상 중학교는 총 13개 학교이며, 사립은 2개 중학교(선덕중, 정의여중)이다. 13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중학교는 창일중으로 학생 수 781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선덕중(691명), 창동중(672명), 창북중(558명), 신도봉중(517명) 순이다. 반대로 도봉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효문중(360명)이다. 노원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중학교는 선덕중으로 학생 수 691명에 26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26.6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창일중(26.0명), 신도봉중(24.6명), 창동중(23.2명), 정의여중(22.8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효문중(20.0명)이다. 도봉구 전체 중학생 수는 6715명, 학급 수는 293학급이며, 도봉구 중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2.9명으로 나타났다.가장 학생 수 많은 고등학교-청원고(1296명)·서라벌고(1221명)노원구 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총 17개 학교이고, 5개 학교(노원고, 불암고, 상계고, 수락고, 월계고)가 공립이고, 12개 학교가 사립이다. 17개 고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청원고로 학생 수 1296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서라벌고(1221명), 대진고(1099명), 청원여고(1064명), 대진여고(1049명) 순이다. 반대로 노원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한국삼육고(494명)이다.도표5. 노원구 고등학교 학생수 현황노원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혜성여고로 학생 수 1042명에 38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28.9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청원고(28.8명), 서라벌고, 재현고(28.4명), 대진고(28.2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월계고(21.3명)이다. 노원구 전체 고등학생 수는 1만 5247명, 학급 수는 581학급이며, 노원구 고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6.2명으로 나타났다.도봉구 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총 8개 학교이며, 사립이 3개 학교(서울외고, 선덕고, 정의여고), 공립이 5개 학교이다. 8개 고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고등학교는 선덕고로 학생 수 1166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창동고(1109명), 정의여고(875명), 자운고(727명), 서울외고(648명) 순이다. 반대로 도봉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도봉고(265명)이다.도표6. 도봉구 고등학교 학생수 현황도봉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선덕고로 학생 수 1166명에 34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4.3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창동고(27.7명), 정의여고(24.3명), 자운고(24.2명), 효문고(21.7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도봉고(15.6명)이다. 도봉구 전체 고등학생 수는 5768명, 학급 수는 233학급이며, 도봉구 고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4.8명으로 나타났다.노원·도봉 수업교원1인당 학생 수(초등), 서울특별시 및 전국보다 다소 낮아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를 노원구, 도봉구, 서울특별시, 전국 단위로 비교해 봤다. 자료는 학교알리미 공시항목 ‘학교현황’이며,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학생 수 합계를 전체 교원 수로 나눈 수치이다.그래프1.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 비교 (단위:명)초등학교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의 경우, 노원구(18.6명), 도봉구(18.2명) 모두 서울특별시(18.7명)와 전국(18.7명)에 비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다. 중학교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노원구(13.0명)가 서울특별시(13.0명)와 동일했고, 도봉구(12.2명)는 전국(13.8명)보다 많이 낮았다. 마지막 고 2019-07-11
- 용인지역 일반고 진학률 67% 상현고 92.7로 가장 높아 지난 5월말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고교별 졸업생의 진로 현황이 공시됐다. 학교별로 공시된 자료를 바탕으로4년제 대학교, 전문대학, 국외 대학을 포함한 상위 학교로 진학한 인원수와 비율, 그 외에 취업과 기타로 분류되는 인원수와 비율을 살펴보고용인지역의 학교별, 항목별 비교를 통해 특성을 알아보았다.단, 용인지역 중 인구가 집중된 수지와 죽전학군에 포함된 15개 고교를 선택해 분석했다.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시항목 ‘졸업생의 진로 현황’, 2019년 5월 공시 기준* 자료 취합 기준: 2019년 5월,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2019년 2월 고교별 졸업생 진로 현황 자료를 취합했다. 용인시 수지·죽전지역에서 선택한 15개 일반고와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의 진로현황을 포함했지만 자사고인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는 도표 분석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2019학년도 졸업생의 진학률 67.0%, 기타 30.4%용인지역에서 인구가 집중된 용인 서부지역 수지·죽전학군 15개 고교의 2019학년도 졸업생들의 진로현황을 살펴보았다. 2019년 2월에 졸업한 이 지역 고교생은 총 5,771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상위 학교로 진학한 졸업생은 대학교로 진학한 졸업생이 2,853명(49.43%), 전문대학 진학이 972명(16.8%), 국외 대학이 41명으로 전체 졸업생의 67.0%가 진학으로 진로를 정했다. 단, 국외 대학 진학률은 집계에서 누락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졸업과 동시에 취업한 졸업생의 비율은 0.7%에 불과했으며, 진로를 정하지 못해 기타로 분류된 졸업생이 1,757명으로 30.4%를 차지했다. 기타로 분류된 대부분의 인원은 재수생으로 예상된다.<2018학년도 수지·죽전학군 15개 고교의 졸업생의 진로현황>과 올해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졸업생이 지난해 5,530명에서 241명 증가했으며 진학률은 지난해 67.95%에서 올해 67.0%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대학교 진학률은 49.6%에서 49.43%, 전문대학 진학률은 18.15%에서 16.8%로 줄었다. 이때 비율은 줄어들었지만 인원수를 비교하면 올해 졸업생들의 진학자 수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용인 수지·죽전지역 15개 일반고 진학률 현황상현고 진학률 가장 높고, 수지고 가장 낮아진학률은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국외 대학으로 진학한 졸업생들을 합한 수치다. 학교별로 졸업생 수가 다르기 때문에 인원수가 아닌 진학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용인 수지·죽전지역 일반고교 전체 진학률이 가장 높은 고교는 상현고로 92.7%라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그 다음으로 높은 학교는 87.2%인 성복고와 86.8%인 용인백현고이다. 진학률이 가장 낮은 학교는 53.5%인 수지고이며 그 다음은 56.7%의 신봉고와 58.3%인 홍천고의 순이었다. 진학률이 높은 학교는 그해 졸업생들이 재수하지 않고 상위 학교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며, 진학률이 낮은 수지고와 신봉고 등은 타 학교들에 비해 재수를 선택한 학생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용인 수지·죽전지역 고교 졸업생4년제 대학과 전문대 진학 비교현황대학교 진학률은 상현고, 전문대학 진학률은 용인백현고 가장 높아용인 서부지역 수지·죽전학군 15개 고교 졸업생들 중 2,853명이 4년제 대학교로 진학했다. 그중에 대학교 진학률이 가장 높은 고교는 상현고로 74.2%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용인백현고가 61.2%, 성복고가 60.9%였다. 반대로 대학교 진학률이 가장 낮은 고교는 40.2%인 대지고이며 40.5%인 신봉고가 그 뒤를 이었다.전문대학에 진학한 졸업생은 972명이다. 전문대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는 용인백현고로 25.3%였다. 그 다음으로 흥덕고가 24.6%이고, 성복고가 23%였다. 전문대학 진학비율이 가장 낮은 고교는 수지고로 6.8%를 기록했고 12.1%인 보정고가 그 다음으로 낮았다. 이 두 학교는 지난해에도 각각 7.6%와 9.6%로 올해와 동일하게 전문대학 진학률이 가장 낮았다.용인 수지·죽전지역 15개 일반고졸업생 진로현황 – 기타, 취업기타 비율 수지고 가장 높고, 취업은 대지고가 76명으로 최고고교 졸업 후 진로가 진학이나 취업이 아닌 기타로 분류된 졸업생들은 대부분 재수생일 것으로 예상된다. 용인지역 수지·죽전학군에서 기타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수지고로 46.5%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높은 학교는 43.3%의 신봉고이다. 기타 비율이 가장 높은 수지고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타 비율이 가장 높아 졸업생들이 재수 선택을 많이 한 것으로 보여 진다. 기타 비율이 가장 낮은 학교는 상현고로 3.7%에 불과하다. 가장 높은 수지고와 무려 42.8%의 차이가 난다.대부분의 졸업생이 진학을 선택하는 용인 수지·죽전지역의 취업 비율은 0.7%로 매우 낮다. 더욱이 총 148명의 취업한 졸업생들 중에 절반이 넘는 76명이 대지고 졸업생들이며 흥덕고 또한 29명으로 취업한 졸업생들의 수가 많았다.2019학년도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현황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한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이하 외대부고)는 전국 단위 자사고로 학교 형태와 위치가 해당 지역의 일반고들과는 달라 수지·죽전학군 고교별 졸업생의 진로현황 분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인재전형으로 수지·죽전학군 중학생들의 진학자 수가 많은 외대부고의 졸업생의 진로현황은 용인지역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별도로 수치를 살펴보았다.외대부고의 진학률은 73.9%로 지난해의 63%보다도 훨씬 수치가 증가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4년제 대학 진학률은 57.9%로 지난해 50.4%보다 7.5%나 증가했다. 반면 전문대학 진학은 0명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대학에 진학한 국제계열 졸업생들도 59명이나 된다. 이는 지난해 46명보다 13명이 늘어난 수치이며 재수로 대표되는 기타 비율은 26.1%이다. 이와 같이 높은 진학률은 해마다 증가하는 외대부고의 입시 실적과 무관하지 않다. 201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