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검색결과 총 41,560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흑자경영으로 안정적인 조직 구축” 서울메트로 강경호사장 서울메트로 강경호 사장의 경영전략은 단순히 적자철을 흑자경영으로 돌려놨다는 것보다 지하철 조직의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흑자경영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 임직원들에게 성과마인드를 심어준 게 결정적인 원동력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구 서울지하철공사는 적자운영과 노사갈등의 대표적인 조직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3년전부터 서서히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올 3월 철도공사 노조 파업으로 물류수송의 대 혼란을 겪었지만 하루 400만명을 수송하는 1~4호선 서울메트로는 정상적으로 운영해 대조를 보였다. 노조 파업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은 강경호 사장이 지난해부터 마음을 열고 40여 차례나 노조측과 대화를 한 게 도움이 됐다. 강사장은 “노사가 대립이 아닌 윈-윈(win-win)의 원칙으로 갈 때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흔들리지 않는 원칙을 고수했다는 점도 노사협상에 큰 도움을 줬다. 노조측이 주장하는 임금인상 대신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성과급으로 돌려받자고 설득했다. 강사장은 “노사문제는 단위사업장에서 자율성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노사가 마음을 하나로 묶는 것이 조직의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가장 큰 힘”이라고 말했다. 메트로는 부채를 매년 1000억원씩 줄여 나갔다. 당연히 경영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했으나 행정자치부에서 실시한 공기업 경영평가는 메트로 직원들에게 만족을 주지 못했다. 메트로 직원들의 불만은 커졌고 행자부와 경영평가원의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 강 사장은 “경영평가 기준도 시대 흐름에 맞게 바꿔야 하고 결과에 대한 인센티브도 약속대로 지키지 않으면 노사균형은 깨진다”고 말했다.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전략도 ‘직원 쥐어짜기’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채찍만 휘둘러서는 안된다고 꼬집었다. 정부투자기관과 공기업에 대한 엄청난 성과급 차이는 또 다른 불신과 갈등을 불러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사장은 분당 집에서 사당동 사무실까지 전동차를 타고 다니면서 승객들의 불편과 개선점을 끊임없이 찾아낸다. 강사장은 “지하철은 이제 대중교통문화로 자리를 잡았고 하루 수백만명이 지하철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며 “수명이 다한 전동차 교체비용부터 정부가 요구하는 각종 시민 안전대책에 정부와 서울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강경호 사장은 1972년 현대그룹 공채로 입사 38세 한라중공업 이사가 됐으며 대표이사와 부회장을 지낸 전문 경영인출신이다. 99년 이후 정보기술(IT)기업을 운영했다. 2003년 4월 서울시 공모를 통해 지하철공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취임 후 3년 동안 만성적장이던 서울메트로를 흑자로 바꾸어 나갔다. 지난해 10월 서울지하철공사 이름을 서울메트로로 바꿨다. 1945년 서울태생으로 경기고, 서울대 공업교육과를 졸업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9
- 한국 한국증권, 중국 동북3성으로 투자지역 확대 - 선양시 천정까오 당서기 한국증권 방문 합작의향서 체결 - 한국증권(대표이사 洪性一)은 13일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沈陽市,심양시) 천정까오(陳正高,진정고) 당서기와 동인건설 최태호(崔泰鎬) 회장과 함께 소지아툰구 쉬에쑹루(雪松路, 설송로) 재개발사업을 위한 합작의향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국증권은 이번 쉬에쑹루(雪松路, 설송로) 재개발사업에 대한 합작의향서(MOU) 체결을 통해 한동중부동산개발유한회사(韓同中房地産開發有限公司, 동인건설 100% 출자)가 추진중인 총 사업비 600억(원화기준) 규모의 소지아툰구(蘇家屯區, 소가둔구) 쉬에쑹루(雪松路, 설송로) 재개발 사업에 필요한 금융자문과 자금조달 업무 등을 담당한다. 이날 행사에 한국증권 홍성일 사장, 유상호(柳相浩) 부사장과 중국공산당 선양시위원회 천정까오(陳正高, 진정고) 서기, 선양시인민정부 쑹치(宋琦, 송기) 부시장, 수지아툰구(蘇家屯區, 소가둔구) 장쓰용(張士勇,, 장사용) 서기, 수지아툰구(蘇家屯區, 소가둔구) 왕리닝(王黎寧, 왕려녕) 상무부구장 및 동인건설 최태호(崔泰鎬) 회장, 최철호(崔哲鎬) 사장이 참석했다. 한편, 한국증권과 함께 이번 사업을 시행할 동인건설은 2004년 선양시 흐핑구(和平區, 화평구)에 아파트 및 오피스텔 1,256세대를 착공해 성공적인 분양을 마쳤고, 2008년까지 소지아툰구(蘇家屯, 소가둔) 쉬에쑹루(雪松路, 설송로)에 약2,500세대의 아파트 건설을 추진중이다. 한국증권은 지난 3월 쿤산시(昆山市, 곤산시)의 복합 산업단지인 "연호산업대 (Shanghai Bordering Industrial Zone)"개발을 위한 합작법인(J/V) 설립 후 5월 쿤산시 투자유치 설명회 개최등 적극적인 중국진출을 추진중이며, 이번 사업은 2차 투자사업의 일환으로 동북3성 지역까지 투자지역을 확대해 중국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함과 동시에 한국증권만의 새로운 해외투자 방식을 구체화 시켜 완성해 나간다는 의미가 있다. 한국증권 신사업추진실 윤성일 상무는 “ 쿤산시(昆山, 곤산시) 프로젝트로 축적한 투자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뿐만 아니라 베트남,필리핀,카자흐스탄 등 투자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이라고 밝혔다. ※ 첨 부 : 합작의향서 체결식 사진 1장 [사진설명(좌로부터)] 동인건설 최태호 회장, 한국증권 홍성일 사장, 선양시 수지아툰구 왕리닝(王黎寧, 왕려녕) 상무부구장 [자료문의] 한국증권 홍보실 김지중 3276-4157 [표 기 방 식] : 중국발음(한자,한국어) [중국 동북3성] : 중국의 최동북쪽에 위치한 지린성 [吉林省]·랴오닝성 [遼寧省]·헤이룽장성 [黑龍江省] 등 3성을 통틀어 일컫는 말. 총면적은 78.9㎢(중국 전체의 8.2%), 인구는 1억 595만 명(중국 전체의 8.3%)임. 석유·석탄 등 풍부한 지하자원과 철강·조선 등 대형 중공업이 발달해 중국 경제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나, 90년대 이후 자원고갈과 노후설비로 경제 낙후지역이 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2003년 8월부터 이 지역을 창장강 [長江] 삼각주, 주장강[珠江] 삼각주, 베이징[北京]·톈진[天津]의 3대 경제권에 이어 4번째 경제권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동북 대개발''을 추진중임. 특히 이 지역은 200만 명에 달하는 조선족 교포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이자, 한국과 역사·문화적으로 밀접한 지역임.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3
- 그들만을 위한 잔치가 시작됐다 증권업계 고액자산가 선점위한 서비스 경쟁 치열 특급호텔에 지점 … 해외여행에 경조사까지 챙겨 증권사들의 고액 자산가를 겨냥한 마케팅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증권사 입장에선 10명의 소액투자자보다 1명의 고액 자산가가 훨씬 실속있다는 현실론이 작용한 탓이다. 더욱이 기존 브로커리지 영업에서 벗어나 자산관리영업으로 변신하거나 다른 금융권과 차별화를 이루기 위해 고액 자산가를 선점해야한다는 당위론과도 맞물린다. 고액 자산가 확보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삼성증권. 전국 85개 지점의 PB(Private Banking)화를 선언한 삼성증권은 기존 증권사가 브로커리지 영업에만 매달리는 것과 달리 자산관리영업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단순히 주식매매만 중계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짜고 세무와 부동산, 상속 등 재무적 고민을 함께 풀어주는 것이다. 85개 지점 가운데 45개 지점에서는 자산클리닉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산클리닉서비스는 경륜있는 시니어급 PB들이 고객의 자산 운용상 문제점을 세밀하게 진단하고 고쳐야할 점을 제시해준다. 자산관리영업과 자산클리닉서비스는 기본 성격상 소액 고객보단 일정정도 자산을 가진 고객에게 더 필요하다. 삼성증권은 0.1%의 고객을 선점하기 위해 12일엔 아예 서울시내 특급호텔에 자산클리닉센터를 개설했다. 신라호텔내에 설치된 이 센터는 8명의 직원이 365일 상주하며, 사전예약을 통해 주식투자 세무 부동산 등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증권은 “주중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기업체 CEO나 호텔에 장기투숙하는 해외주재원 등이 이용하면 적당할 것”이라고 밝혀 0.1% 고객에 대한 욕심을 감추지 않았다. 삼성증권의 고액 자산가를 겨냥한 마케팅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1억원 이상 개인고객만 5만여명을 확보해 다른 증권사를 앞서있다. 우리투자증권과 한국증권, 굿모닝신한증권 등도 PB점을 운영, 고액 자산가들을 유혹하고 있다. 우리증권은 본사에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Advisory Group을 운영, 지점의 요청이 있을때마다 방문해 고객의 세무와 부동산 등 상담을 해준다. 굿모닝신한증권은 신한, 조흥은행과 함께 PB점을 운영, 한번 방문으로 은행과 증권사의 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증권사들은 고액 자산가들의 취향을 고려한 문화마케팅에도 주력하고 있다. 대우증권은 지난 3월 VIP마케팅을 전담하는 리테일고객팀을 만들어 고액 자산가들만을 위한 음악회나 미술전시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송석준 리테일고객팀장은 “올해내에 예탁자산 1억원 이상의 VIP신규고객을 1만명 이상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증권은 지난 2004년 6월부터 고액 자산 고객들을 대상으로 패션쇼나 뮤지컬 공연 등을 개최하고있다. PB점에 아예 갤러리를 설치, 전시회를 개최하기도했다. 현대증권은 현대백화점과 함께 고액자산가를 위한 재테크 설명회를 열어 호응을 이끌었다. 굿모닝신한증권은 연간 온라인 약정을 240억원 이상 올리는 최우수고객은 해외여행과 건강검진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경조사까지 챙겨준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형증권사 PB지점장은 “현실적으로 증권사 입장에선 주식투자만하는 다수의 소액투자자보단 거액의 자산을 맡겨 주식은 물론 다양한 금융상품을 구입하는 한명의 고객이 더 실속있다”고 말했다. 주식매매 수수료율이 바닥권에 이른 상황에서 소액주식투자자는 더 이상 반가운 손님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이 지점장은 “향후 증권업종이 다른 금융권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자산관리영업을 앞세워 고액 자산가들을 선점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3
- ‘금호강 수질개선’ 세계가 인정 대구시의 금호강 수질개선사례가 국내 최초로 국제환경산을 수상했다. 대구시는 13일 금호강수질환경개선사례가 환경전문 국제기구인 아시아태평양 환경개발포럼(APFED, Asia Pacific Forum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으로부터 국제환경상 은상(Silver Prize)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환경상 신청은 31건이며 우리나라를 대표해 대구시의 금호강 수질개선 성과가 신청됐다. 금상은 ‘솔로몬 군도’가 차지했고, 은상은 대구 금호강을 포함하여 호주의 ‘애델레이드’등 2개 기관이 수상했다. 또한 장려상에는 ‘필리핀과 중국’이 받았다. 시상식은 오는 7월 31일 호주 애덜레이드에서 열린다. 아시아태평양 환경개발포럼(APFED)은 아시아 태평양지역 환경개선과 지속발전을 위한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Paradigm)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문 국제기구로서 2001년 10월 아·태 환경장관회의시 설립돼 UN 아·태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가 운영 지원하고 있다. 대구시는 금호강 수질개선 사례를 국제적으로 알리기 위해 지난 6월 23일 UN 아·태지역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주최로 동경 UN대학교에서 개최된 국제환경 워크숍에서 금호강 수질개선 사례를 발표한 바 있다. 대구시의 금호강 수질개선사례는 2002년 3월 국무총리실 ‘물관리종합평가 최우수기관’ 표창을 비롯 2002년 10월 환경부 ‘전국하수처리장 운영실태평가’ 전국 1위등 수차례의 각종 국내평가에서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3
- 전국 ‘비수도권 단체장 협의회’ 뜬다 수도권 규제완화 요구가 거센 가운데 비수도권 13개 지방자치단체들이 권역별 연대를 모색하며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단체를 압박하고 나섰다. 대구·경북이 권역별 경제통합의 틀을 마련한 것을 시작으로 부산·경남·울산권과 대전·충남·충북권, 광주·전남권 등 13개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권역별 통합모임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는 수도권 지자체의 거듭된 요구에 1994년 마련된 공장총량제와 같은 수도권 규제가 2003년 이후 완화되고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대수도론은 국가경쟁력 강화 위한 것” =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광역단체는 민선 4기 출범을 전후로 수도권 경쟁력 강화론을 들고 나왔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선거공약으로 ‘대수도론’을 제시하면서 절정에 다다랐다. 대수도론은 서울·인천·경기를 아우르는 그랜드메트로(Grand metro) 개념의 대수도권 행정협의체 구성을 통해 환경·교통·복지분야 등에서 통합행정을 구현해 베이징권, 상하이권, 도쿄권 등에 대응하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자는 논리다. 김 지사는 “대수도론은 지방을 죽이고 그 위에 수도권이 살겠다는 논리가 아니다”며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상생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수도권을 다 합쳐도 중국 북경의 66%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연천, 남양주, 광주, 양평 등 경기동북부지역의 저개발지역을 지원해야 한다는 현실론도 제기했다. 그는 “정부가 약속한 대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수도권 낙후지역을 정비발전지구 대상지역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대수도론에 대해 서울시와 인천시가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도권규제에 대해서 만큼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취임 후 한명숙 국무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서울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과도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며 규제완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최근 “수도권 규제를 푸는 문제는 정치적인 방법 보다는 사안별로 정부를 설득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면서도 “각종 규제 때문에 수도권 발전이 저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지자체, “뭉쳐야 산다” 공동대응 = 수도권 지자체의 이러한 움직임에 전국 13개 광역지자체는 한 목소리로 우려를 제기하고 나섰다. 비수도권 13개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지난달 25일 공동성명을 통해 대수도론을 반박했다. 이들은 “정부는 수도권의 요구에 밀려 외국인 투자기업 첨단산업공장 신·증설 기한 3년 연장, 성장관리지역 내 8개 업종 국내대기업 공장 신·증설허용하고 최근 3차 수도권정비계획안을 의결했다”며 “수도권 규제완화정책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싹을 움트기도 전에 짓밟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인근 시·도와 공동경제권 형성을 모색하는 등 연대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3월 경제통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데 이어 대구경북 경제통합 포럼 및 연구단을 구성하고 7월중 경제통합추진위원회를 발족할 예정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 2003년 엘지필립스 엘시디 파주공장 신설허용으로 직격탄을 맞은 경험이 있다”며 “더 이상 수도권 규제가 완화될 경우 경부고속도로를 가로막는 물리적인 행동에 들어가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부산·울산·경남 3개 시도지사도 지난달 22일 수도권의 대수도론에 정면 대응하는 협력체계를 다른 비수도권 광역단체와 구축키로 하고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허남식 부산시장과 박맹우 울산시장, 김태호 경남도지사는 “지방경제의 막대한 위축과 지역불균형을 고착화시키는 수도권 규제완화를 저지하기 위해 동남권 3개 시도는 물론 비수도권 광역단체와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3개 시도지사는 지역경제 교통 관광개발 환경 등 광역 행정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3개 시도지사로 구성된 ‘부울경 발전협의회’를 정례화하고, 기획관리실장들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도 운영키로 했다. 대전·충남·충북도 ‘충청권 경제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충청권 경제협의체는 지난달 19일 당선자 시절이었던 3개 시도지사 회동에서 처음 제기됐다. 대전충청권 3개 광역자치단체는 8월까지 실무자 협의를 거쳐 9월에는 공식 출범, 충청권 경제 광역벨트를 형성할 방침이다. 비수도권 13개 지자체는 오는 28일 ‘13개 시도지사협의회’를 별도로 구성하는 등 공동대응 수위를 높일 계획이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은 “수도권 팽창이 이미 대전 충청권까지 미치고 있다”며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수도권에 흡수되지 않기 위해서는 영남권과 호남권, 중부권 등이 광역경제벨트를 형성, 독자적인 경제권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박사는 “수도권만을 국가경쟁력 강화의 유일한 대안으로 생각하는 것은 수도권의 지역이기주의적 발상이고 근시안적 시각”이라고 지적하고 “수도권 중심의 성장논리에 대응해 비수도권의 연대를 통한 공동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세호 기자·전국종합 seho@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3
- 지방광역단체장, 대수도론 맞서 연대 모색 수도권 규제완화 요구가 거센 가운데 비수도권 13개 지방자치단체들이 권역별 연대를 모색하며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단체를 압박하고 나섰다. 대구·경북이 권역별 경제통합의 틀을 마련한 것을 시작으로 부산·경남·울산권과 대전·충남·충북권, 광주·전남권 등 13개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권역별 통합모임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는 수도권 지자체의 거듭된 요구에 1994년 마련된 공장총량제와 같은 수도권 규제가 2003년 이후 완화되고 있다는 위기감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대수도론은 국가경쟁력강화 위한 것” =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광역단체는 민선 4기 출범을 전후로 수도권 경쟁력 강화론을 들고 나왔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선거공약으로 ‘대수도론’을 제시하면서 절정에 다다랐다. 대수도론은 서울·인천·경기를 아우르는 그랜드메트로(Grand metro) 개념의 대수도권 행정협의체 구성을 통해 환경·교통·복지분야 등에서 통합행정을 구현해 베이징권, 상하이권, 도쿄권 등에 대응하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자는 논리다. 김 지사는 “대수도론은 지방을 죽이고 그 위에 수도권이 살겠다는 논리가 아니다”며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이 힘을 모아야 한다는 상생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수도권을 다 합쳐도 중국 북경의 66%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연천, 남양주, 광주, 양평 등 경기동북부지역의 저개발지역을 지원해야 한다는 현실론도 제기했다. 그는 “정부가 약속한 대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수도권 낙후지역을 정비발전지구 대상지역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대수도론에 대해 서울시와 인천시가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수도권규제에 대해서 만큼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취임 후 한명숙 국무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서울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과도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며 규제완화를 요구하기도 했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최근 “수도권 규제를 푸는 문제는 정치적인 방법 보다는 사안별로 정부를 설득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면서도 “각종 규제 때문에 수도권 발전이 저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지자체, “뭉쳐야 산다”며 공동대응 착수 = 수도권 지자체의 이러한 움직임에 전국 13개 광역지자체는 한 목소리로 우려를 제기하고 나섰다. 비수도권 13개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지난달 25일 공동성명을 통해 대수도론을 반박했다. 이들은 “정부는 수도권의 요구에 밀려 외국인 투자기업 첨단산업공장 신·증설 기한 3년 연장, 성장관리지역 내 8개 업종 국내대기업 공장 신·증설허용하고 최근 3차 수도권정비계획안을 의결했다”며 “수도권 규제완화정책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싹을 움트기도 전에 짓밟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정치적 수사에 머물기 보다 인근 시·도와 공동경제권 형성을 모색하는 등 연대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3월 경제통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데 이어 대구경북 경제통합 포럼 및 연구단을 구성하고 7월중 경제통합추진위원회를 발족할 예정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 2003년 구미시장 재직 당시 엘지필립스 엘시디 파주공장 신설허용으로 직격탄을 맞은 경험이 있다”며 “더 이상 수도권 규제가 완화될 경우 경부고속도로를 가로막는 물리적인 행동에 들어가겠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부산·울산·경남 3개 시도지사도 지난달 22일 수도권의 대수도론에 정면 대응하는 협력체계를 다른 비수도권 광역단체와 구축키로 하고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 허남식 부산시장과 박맹우 울산시장, 김태호 경남도지사는 “지방경제의 막대한 위축과 지역불균형을 고착화시키는 수도권 규제완화를 저지하기 위해 동남권 3개 시도는 물론 비수도권 광역단체와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3개 시도지사는 지역경제 교통 관광개발 환경 등 광역 행정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3개 시도지사로 구성된 ‘부울경 발전협의회’를 정례화하고, 기획관리실장들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도 운영키로 했다. 대전·충남·충북도 ‘충청권 경제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충청권 경제협의체는 지난달 19일 당선자 시절이었던 3개 시도지사 회동에서 처음 제기됐다. 대전충청권 3개 광역자치단체는 8월까지 실무자 협의를 거쳐 9월에는 공식 출범, 충청권 경제 광역벨트를 형성할 방침이다. 비수도권 13개 지자체는 오는 28일 ‘13개 시도지사협의회’를 별도로 구성하는 등 공동대응 수위를 높일 계획이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 원장은 “수도권 팽창이 이미 대전 충청권까지 미치고 있다”며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수도권에 흡수되지 않기 위해서는 영남권과 호남권, 중부권 등이 광역경제벨트를 형성, 독자적인 경제권을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박사는 “수도권만을 국가경쟁력 강화의 유일한 대안으로 생각하는 것은 수도권의 지역이기주의적 발상이고 근시안적 시각”이라고 지적하고 “수도권 중심의 성장논리에 대응해 비수도권의 연대를 통한 공동대응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최세호 기자·전국종합 seho@naeil.com 사진설명 경기지역 시민환경단체로 구성된 ‘경기환경보전공동행동’이 12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도권의 환경을 파괴하고 주민 삶에 악영향을 미치는 김문수지사의 대수도론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3
- <내일의 눈>도 넘은 롯데월드 ‘안전사고’ 11일 서울 롯데월드에서 놀이기구 운행이 10분간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롯데월드측은 “한전에서 송전선 공사중 순간 전기가 끊겨 발생한 사고”라며 사고원인이 내부가 아닌 ‘외부’에 있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석연찮은 구석이 많다. 일단 한전측은 전기공급 중단이 아닌 전압강하라고 표현하고 있다. 완전히 끊긴 게 아니라 전압이 약해졌다는 것이다. 또한 롯데월드측 설명대로 전기가 끊겼다면 모든 놀이기구가 중단됐어야 옳다는 지적이다. ‘혜성특급’이라는 한 개의 기구만이 멈췄다는 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롯데월드 사고는 올 들어서만 벌써 4차례다. 지난 3월 6일 이 회사 직원이 놀이기구의 안전장치가 풀리면서 10여미터 바닥으로 추락해 숨졌다. 같은 달 26일에는 주변의 위험 경고에도 불구하고 무료개장을 강행하다 인파가 몰리면서 35명이 다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게다가 지난달 27일에는 놀이기구 천장 마감재에 10세 어린이가 머리를 맞아 다치기도 했다. 안전사고가 연이어 터지면서 급기야 소방방재청이 긴급안전점검에 나섰지만 현재까지만 놓고 본다면 별 다른 개선 흔적을 찾기 어렵다. 기껏해야 ‘놀이기구 운행중단’이 고작이다. 크든 작든 사고가 잦은 것은 시민에게 큰 불안감을 준다. 롯데월드측은 돌이킬 수 없는 사고를 당하기 전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기획특집팀 김선철 기자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2
- ICU, ‘글로벌 IT 기술전문가 과정’ 11명 선발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총장 허운나)는 최근 모집한 ‘2006년 가을학기 글로벌 IT기술전문가(ITTP) 과정’에 카타르, 오만 등 9개국 11명이 최종 합격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ICU가 운영중인 ‘글로벌 IT기술 전문가(ITTP) 과정’에서 공부하는 학생은 18개국 24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오는 8월 28일 입학해 앞으로 2~3년간 기숙사 생활을 하며 집중교육을 받게 된다. ITTP 과정은 ICU가 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아시아,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등 주요 자원국가에서 매년 20여명씩 선발, 첨단 IT기술과 정책은 물론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는 석·박사 과정이다. 올 3월 처음 모집한 봄학기 ITTP 과정에는 13개국에서 68명의 지원자가 몰려 이중 13명이 최종 합격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2
- 이통사 무선인터넷 매출 정체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이 매출 및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등 정체상태에 빠졌다. 무선인터넷은 음성통화 매출 침체에 직면한 이통사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분야로, SK텔레콤의 경우 올 1분기 전체 매출의 28.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특히 데이터 서비스에 강점이 있는 HSDPA(초고속데이터전송기술)가 상용화되는 등 무선인터넷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앞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데이터 ARPU는 나아지지 않은 채 정체상태에 놓여있다. SKT는 지난해 5월 데이터 ARPU가 1만556원이었으나 올 5월에는 1만1090원을 기록, 5.1% 증가에 그쳤다. 연말·연초 특수로 지난해 12월 1만2226원으로 올라갔을 뿐 전체적으로 1만~1만1000원대를 오락가락하고 있다. 올들어 무선인터넷 매출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 1월 2304억5400만원이었던 매출액이 △2월 2047억9100만원 △3월 2279억3000만원 △4월 2219억3200만원 △5월 2197만4100만원으로 하락했다. 그나마 SKT는 후발사업자에 비하면 나은 편이다. KTF는 1년전 6588원원이었던 데이터 ARPU가 올 5월에는 6722원이었다. 거의 제자리걸음이다. 지난해 5월 3400원의 데이터 ARPU를 나타낸 LGT는 오히려 올해는 3330원으로 감소했다. 특히 올들어 이통 3사 모두 1월을 정점으로 상반기 내내 하향곡선을 긋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정액요금제 출시를 주요 요인으로 꼽고 있다. SKT와 KTF는 올 3월 각각 ‘데이터안심정액제’, ‘범국민안심데이터요금제’를 출시했다. 두 요금제는 모두 일정 금액까지만 사용토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폰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데이터 매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초 DMB가 활성화될 경우 상대적으로 무선인터넷 이용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게다가 과도한 요금지출과 성인콘텐츠 노출 등 청소년에 대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이통사들이 무선인터넷의 주요고객인 청소년의 접근을 제한한 것도 매출감소에 일조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사업자의 반응은 엇갈렸다. KTF 관계자는 “음성통화 매출이 정체된 상황에서 데이터 매출을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데 이마저 정체돼 고민”이라며 “과도한 요금으로 무선인터넷 이용이 청소년층에 집중될 뿐 이용자층이 넓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반면 SKT 관계자는 “정액요금제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지난해에 비해 크게 하락하지 않았으며 (정액요금제가) 장기적으로 매출증가에 도움을 줄 것을 본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그동안의 무선인터넷이 오락위주의 콘텐츠였다는 반성과 함께 생활과 결합된 콘텐츠 생산에 주력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어 주목된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1
- 박광태 광주시장 독주체제로 가나 시의장 선거개입 의혹 일어 공기업인사 측근 심기 논란 재선에 성공한 박광태 광주광역시장(사진)이 시의장 선거에 개입해 의회를 ‘무력화 시키려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박 시장은 특히 선거 때 자신을 도왔던 사람과 측근 인사를 시 산하 공기업과 법인 간부에 임명토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논란에도 휩싸여 있다. 시의장 선거에 나선 나종천 의원 등 시의원 8명은 최근 “박광태 광주시장이 의회 원구성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박 시장 지지를 받아 의장 선거에 나선 K 모 후보는 즉각 사퇴하라”고 주장했다. 손재홍 시의원은 “박 시장이 시정을 자기 마음대로 운영할 목적으로 시의회 선거에 개입했다”고 박 시장의 사과를 요구했다. 손 의원은 이어 “박 시장이 특정인을 거명하며 도와주라고 얘기했을 뿐만 아니라 시장 비서도 특정인 선거운동에 개입한 증거를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일축했다. 박 시장은 “조용히 시정을 챙기고 있는 시장을 흠집 내려는 일련의 행동이 중지되기를 바란다”며 “의회 원 구성 불개입 입장을 끝까지 지킬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나 의원 등 시의원 8명은 박 시장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사과를 거듭 요구하고 있다. 박 시장이 시 산하 공기업과 법인 인사에도 개입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시 산하 공기업인 김대중 컨벤션센터(김대중 센터)는 최근 공석중인 경영본부장에 조 모(46) 전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 사무국장을 특채 임명했다. 또 시 관련 법인인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광주문진위)도 이달 초 공석인 사무국장에 위 모(57) 전 김대중 컨벤션센터 경영본부장을 이사회 승인 절차를 밟아 임명했다. 두 기관이 특정 간부를 특채와 이사회 승인 절차를 밟아 ‘맞바꾸는 인사’를 단행한 것이다. 박 시장 측근으로 알려진 위 씨는 지난 3월 김대중센터 누수·화재사고와 조직 내 위화감 조성 등이 말썽이 돼 직위해제 됐다가 지난달 26일 사표를 제출했다. 지난 4월 광주문진위 사무국장을 사임한 조씨는 5·31 지방선거 때 박광태 광주시장 후보 선거 대변인을 맡았다. 이번 인사와 관련, 광주시 한 간부는 사견을 전제로 “정에 약한 박 시장이 징계중인 위 씨를 생각해서 광주문진위에서 일 할 기회를 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박 시장 인사 개입을 사실상 인정했다. 광주 시민단체는 박 시장의 의장선거 개입 의혹과 공기업 측근 인사 심기 논란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재석 광주경실련 사무처장은 “박 시장이 실익이 없는 일을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민주당 일색인 지방권력을 시민단체가 감시해야 한다”고 박 시장을 비난했다. /광주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06-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