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난' 검색결과 총 33,698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고양시 3월부터 노상유료주차제 실시 경기도 고양시 주택가 및 간선도로상에서의 무상 불법 주차가 금지된다. 14일 시는 일산신도시와 본일산, 주교동과 성사동지역 등 7개 지역의 주차난 해결을 위해 주차면수 3073면을 설치하고 3월 4일부터 유료주차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는 유료주차제 시행과 병행해 불법 주정차단속을 강화하고 상반기내에 민간 견인대행업소를 지정, 운영키로 했다. 시는 유료주차제 실시에 따라 주택가 이면도로의 경우에는 내집앞 주차시 가능한한 무료로 주차할 수 있도록 유료주차시간을 조정할 예정이다. 고양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2002-02-14
- 도촌택지예정지구지정 주민공람 성남시는 ‘성남도촌택지개발예정지구지정’을 위한 주민 및 이해 관계인등의 의견을 듣기 위해 15일부터 28일까지 성남시청(도시개발과)에 열람장소를 설치하고 일반주민을 대상으로 공람을 실시하고, 공람기간 동안 의견을 서면으로 제출 받고 있다. 도촌지구택지개발사업은 20만호 국민임대주택 조성계획의 원할한 수행을 위해 택지개발 예정지구지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약 7300호의 주택을 건설하게 된다. 또한 건설되는 주택은 수정·중원구 재개발사업을 위한 순환용 주택으로 활용된다. 이에따라 철거재개발구역의 가옥주에겐 재개발사업기간 동안 거주할 임시 거주처로 제공되며 수복재개발구역의 가옥주에겐 분양아파트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철거·수복재개발구역 세입자에겐 임대아파트로 공급된다. 도촌동 일대 신규아파트가 이주단지로 활용됨에 따라 재개발사업시 예상되는 전·월세가격급등의 방지 등 주택시장을 안정화시키고, 순환 재개발이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성남시가 전국 최초로 시도하는 이주단지는 도촌지구외에 판교개발지구에도 2000세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도촌동 개발사업은 주민공람 절차를 거쳐 올 3월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되며 12월까지 개발계획 수립을 마치고, 용지보상과 실시계획을 수립한 후 내년 3월부터 주택건설사업을 착수할 계획이다. 2002-02-14
- 서울시 장지·발산지구 택지개발 추진 택지개발예정지구로 거론됐던 장지지구와 마곡지구내 내·외발산동 일대가 올 상반기부터 개발이 추진되고 그 동안 논란이 돼 왔던 양천구 칼산지구는 개발에서 제외됐다. 서울시는 서민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활성화 계획의 일환으로 송파구 장지동 일대 55만2120㎡(16만7000평)과 강서구 내·외발산동 일대 58만3130㎡(17만6396평)의 부지를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장지지구에는 공공임대 4200호, 일반분양 2800호 등 7000호의 아파트가 들어서고 발산지구에는 공공임대 4000호, 일반분양 3900호 등 7900호가 건립돼 총 1만4900호의 아파트가 2008년까지 서울시에 공급된다. 그러나 3개 택지개발예정지구 중 하나로 물망에 올랐던 양천구 칼산지구는 사업성 검토에서 택지개발지구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개발이 유보됐다. 서울시의 마지막 노른자위땅으로 분류돼 왔던 마곡지구는 당초 2011년까지 개발이 유보됐으나 그 중 일부인 내·외발산동 일대가 지하철 5호선 발산역, 마곡역 등과 인접해 있고 공항로 및 남부순환로 등의 도시기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주택개발이 적합한 곳으로 선정됐다. 장지동 역시 마곡지구와 마찬가지로 개발유보지역으로 묶여 있었으나 주변에 지하철 8호선 장지역이 위치해 있고 구리∼판교 간 고속도로가 인접해 있어 교통에 유리하고 주변 여건이 쾌적해 최근 강남지역의 주택부족현상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장지·발산지구에 대해 올 상반기에 주민공람공고를 거쳐 올해 말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보상절차를 마친 후 2004년 공사에 들어가 2008년 공사를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2002-02-14
- 안산시, 전세자금 46억 지원 안산시는 14일 도시저소득 세입자의 주거안정을 위해 전세자금 46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상자는 안산에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으로 보증금 2500만원 이하의 세입자나 전용면적 18평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 등이다. 융자금액은 세대당 1,750만원 이내로 신규임차주택은 전세보증금의 70%이내,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거나 재계약 할 경우 증액금액 이내로 이율은 3%이다. 융자기간은 2년 만기 일시상환 조건이다. / 안산 송영택 기자 ytsong@naeil,com 2002-02-14
- ● 서울 2001년 부동산 매매 동향 지난해 서울시내 토지와 건물 매매가 활발한 가운데 특히 다가구 주택의 거래량이 크게 늘어났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2001년 다가구 주택 거래 필지는 2000년과 비교해 96.3% 증가했다. 다세대 주택의 거래량도 74.2% 늘었다. 같은 기간 건물 거래 필지가 40.9%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거래량이 훨씬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다가구 주택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저금리 현상이 계속됨에 따라 시중자금이 임대 수입을 목적으로 이들 부동산에 몰렸기 때문이다. 또 공장용 건물의 거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00년에 655필지가 거래된 공장은 지난해 1107필지가 매매돼 거래량이 69.0% 증가했다. 2001년 서울시내에서 거래된 총 건물 중 아파트가 20만4258필지로 전체의 63.0%를 차지했다. 토지 거래도 활발했다. 지난해 거래 필지는 2000년과 비교해 40.8% 늘었다. 면적도 38.1% 증가했다. 주거지역의 거래 필지가 총 거래량의 94.5%를 차지했다. 서울시내 토지 거래 가격은 평균 1.89% 올랐다. 마포구가 상암 택지개발사업과 월드컵경기장 건설 등의 영향으로 3.49% 올라 인상률이 가장 높았다. 강남구(2.34%), 서초구(2.33%) 등도 평균 보다 높았다. 반면 금천구는 0.91% 올라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서구(1.26%), 중랑구(1.40%)도 평균을 밑돌았다. 또 녹지지역의 매매량이 68.0% 늘어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해 7월 서울시에 의해 추모공원 부지로 선정된 서초구 원지동 일대의 토지 거래도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곳은 지난해 262필지가 거래돼 서울시내 개발제한구역 토지거래(1300필지)의 20.2%를 차지했다. 땅값도 평균 1.03% 올랐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서울시 녹지지역의 지가가 평균 1.52% 오른 것과 비교하면 인상률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02-02-14
- 경기북부 고도제한 대폭 완화 군용항공기지법에 적용돼 건축고도제한을 받아오던 경기북부 3개지역이 제한폭에서 완화된다. 9일 경기도 제2청은 그동안 군용항공기지법으로 건축고도 12m로 제한을 받고 있는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양주군 광적면 가납리, 포천군 포천읍 자작리 일원의 65.7㎢에 대한 고도 제한이 45m까지 대폭 완화됐다고 밝혔다. 이중 포천군과 양주군의 비행안전구역은 지난해 3월과 10월에 관할 부대로부터 10m까지 행정 위임을 받아 시행해 오던 지역이 45m까지 대폭 확대된 것이다. 이번 고도제한 완화로 경기북부지역은 고양시 화전동 8000가구, 양주군 광적면 4700가구, 포천군 포천읍 1000가구 등 1만3700가구가 수혜를 받게 된다. 특히 군용항공기지 주변에 주택가, 상가 및 공장들이 입지하고 있는 경기북부지역의 경우 건축물의 자유로운 신·증축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비행안전구역은 지난 92년 12월 법률개정을 통해 기준고도를 초과하는 자연장애물 지역중 도시계획구역에 한하여 12m까지 건축을 허용해 오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2002-01-10
- 고양시 풍동 택지개발 일부 토지주 일방편의 고양시 일산구 풍동 일대에 추진중인 주공 택지개발사업에 고양시가 무리하게 토지주의 편의를 봐준데 따른 불법 개발이득 사례가 제기됐다. 8일 시에 따르면 지난 99년 7월 풍동택지개발지구가 고시된 이후 풍동 581번지 일대 단독 목조주택 11동이 농지전용변경을 조건부로 허가 받았음에도 아직까지 조건부로 제시한 내용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 일대 건설된 목조주택 일명 ‘비버리 힐즈’ 토지주 김 모(53)씨는 택지개발지구 고시 이전인 99년 6월 17일 세무사와 일간지 기자를 비롯한 9명 명의로 분산시켜 농지전용을 허가받았고, 택지개발예정지구로 고시된 이후에 다시 해당 주택부지면적을 1층규모에서 2층규모로 확대해 변경신청했다. 이에 대해 고양시는 관계부서 의견을 받아 택지개발주체인 주공과의 협의를 거치는 조건으로 토지주가 신청한 9건에 대해 99년 8월 26일 농지전용변경을 허가했다. 택지개발촉진법 제6조에 따르면 택지개발예정지구 안에서 건축물의 신축·증축·개축의 경우 시장·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택지개발사업시행자의 의견을 듣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양시는 변경허가 당시 택지개발사업시행자와 협의하라는 조건부에 대한 사항을 토지주가 아직까지 이행하지 않았는데도 추가 행정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건부 허가에 대해 고양시 산업과 관계자는 “변경허가 당시 조건부를 확인하고 허가해야 한다는 법 조항은 없지만 이후 조건부 이행에 대한 확인작업을 거쳐 행정처분을 내리지 못했다”고 행정처리 오류를 시인했다. 이에 대해 풍동 택지개발지구 박청구 위원장은 “예정지구 고시후에는 건축물뿐만 아니라 농작물도 경작하지 못하게 하는데 행정기관의 안일한 대처로 투기를 목적으로 들어온 비버리 힐즈의 보상가가 턱없이 높게 책정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당시 공사관계자는 “공사가 2000년 3월까지 진행됐는데도 99년 8월부터 건축물 등재신청을 구청에 받아줬다”며 “골조만 올라간 건물이 건축물 대장에 올라갔는데도 행정기관에서 현장확인을 나와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풍동 대책위는 불법 건축을 통한 토지 보상가 부풀리기 의혹에 대해 진정서를 주공측과 청와대에 접수시키고, 불법 건축과 보상가 책정 당사자 등을 고발키로 했다. 이에 대해 일산구청 건축과 관계자는 “당시 건물은 준공허가 대상 건축물이 아니어서 현장 검증을 거칠 필요가 없어 사업권자의 필요에 의해 건축물 등기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토지 실소유주인 김 모(53)씨는 인근 단독주택에 상수도를 공급하는 물탱크를 건설하며 2층에 주거용 주택을 올려, 일산구청으로부터 이행강제금을 부과받은바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2002-01-10
- 청주시 2001년 한해 건축허가 연면적68% 늘어 청주시가 2001년 건축허가 통계조사결과 2000년에 비해 주거용 동수는 47%, 연면적은 68%가 증가한 2093동, 연면적 162만8228㎡로 나타났다. 특히 주거용이 659동에서 1271동으로 93%, 세대수는 8677세대에서 1만6567세대로 91%, 연면적은 66만2362㎡에서 108만3085㎡로 91%로 크게 증가했으며 주거용 중에서도 아파트와 다가구주택(원룸형주택)의 허가건수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다가구주택 건축허가의 경우 2000년에는 411동, 4422세대, 연면적 16만1633㎡이었으나 2001년에는 951동, 1만312세대, 39만7500㎡으로 2배 이상의 증가세를 보여 건축경기를 주도하였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건축허가도 2000년에 60동, 4036세대, 연면적 48만5946㎡에서 2001년에 80동, 5947세대, 연면적 65만7478㎡로 증가되었다. 청주시 관계자는 건축경기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다가구주택이나 아파트 건설경기가 회복되고 있어 서민의 주거안정은 물론 실업자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주 정성기 tjdrl@naeil.com 2002-01-09
- 도촌동 일대 25만평 8000호 개발 예정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일원 25만평의 그린벨트가 해제되고 총 8000호가 건설된다. 성남시 관계자에 따르면 주택공사가 주도해 임대아파트와 일반분양아파트의 비율을 대략 50대50으로 건설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곳에 건설되는 임대아파트 대부분은 주택공사와 협의해 수정·중원구 순환재개발의 이주단지로 활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 8일 주택공급을 늘리기 위해 향후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을 활용, 6개 통근권으로 구분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260만평이 연내 택지지구로 지정된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12면 분당 등 5개 신도시의 1/3 규모인 총 10만호의 주택이 2003∼2004년 중에 건설된다. 정부는 8일 오전 과천 정부청사에서 김진표 재정경제부 차관주재로 건설교통부·행정자치부·교육인적자원부 차관, 국세청 차장, 서울시 부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택시장 안정대책’마련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를 갖고 이같이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서울 반경 20㎞이내(분당·일산 23㎞이내)에 있는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을 동북통근권(의정부·남양주), 동남통근권(하남·성남), 서북통근권(고양), 서남통근권(광명·부천), 남부통근권(의왕·군포), 시흥·안산권(시흥·안산) 등 6개 통근권 11개 지구로 구분해 올해 안으로 그린벨트의 해제절차도 끝내고, 이들지역을 공영개발방식에 의한 복합적인 용도로 개발해 쾌적성을 높이면서 투기도 방지하기로 했다. 향후 개발제한구역 조정을 위한 광역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시·도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발제한구역 해제절차와 택지지구 지정절차를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2003년 택지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또 무주책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료가 시중의 40∼50% 수준인 국민임대주택을 서울1만5000가구를 포함해 전국 52개지구에서 5만2500가구를 건설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간투자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임대주택 조합제도’를 도입하고, 법인세를 5년간 50%를 감면하는 등 세제지원을 통해 임대주택에 투자하는 리츠산업도 활성화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최근 강남지역의 아파트 가격의 폭등현상이 투기성 아파트 분양권 전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실제 거래가격을 낮춰 신고하는 방법으로 이득을 챙기는 ‘떳다방’과 부동산중개업소등 부동산 투기자들에 대한 세무조사를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아파트투기혐의자의 양도소득세 성실신고 실태와 자금출처 확인을 강화하고 판교 등 신도시 예정지등 택지개발예정지구내 위장전입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백왕순·서원호 기자 wspaik@naeil.com 2002-01-09
- 성남교육청, 2003년까지 5개교 신설 성남교육청(교육장 박신섭)은 교육부에서 발표한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응한 교육여건개선 추진계획’에 따라 현재 초등학교 47명, 중학교 46명인 학급당 학생수를 2003년부터 35명으로 축소 편성한다는 계획에 따라, 5개 학교를 신설키로 결정했다. 2003년까지 신설예정인 학교는 상대원 상은 매화 머내 초등학교와 구미중학교 등 5개교다. 상대원동 54번지 일원에 소재하는 상대원초등학교는 총 24학급으로 2002년 9월 1일 개교예정이며, 36학급으로 구성될 상은 초등학교는 현재 양지동에 소재한 성남동중학교를 금광동 3272번지로 이전하고 성남동중학교를 보수해 2003년 3월 1일에 개교하게 된다. 야탑동 260번지에 소재하는 매화초등학교는 18학급의 도심형 소규모학교로 시범 운영할 계획이며, 현재 도시계획시설결정 요청 중에 있으며 2003년 3월 1일 개교 예정으로 다양한 형태의 학교신설 모델로 운영계획 중에 있다. 또한 머내 초등학교는 정자동 174-1번지에 소재, 백궁역 주변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학생수용을 위하여 입주시기에 맞춰 2003년 3월1일 개교예정이다. 당초 2002년 3월1일 개교 예정이었던 구미중학교는 부지확보 지연 등으로 인해 내년인 2003년 3월 1일로 개교가 연기됐다. 한편 성남교육청은 5개교 시설 외에도 지역 내 초 중교 88개교(초등 55교, 중등 33교)중 대부분의 학교(77개교)가 학교마다 많게는 24교실 적게는 1교실의 증축 공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정재은 리포터 nieve12@hanmail.net 2002-01-09